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체육교육과
이 강좌에서는 장애인 체육의 다양한 이론들을 바탕으로 하여 현재 장애인 체육의 다양한 이론들을 바탕으로 하여 현재 장애인 체육의 흐름을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국내외 장애인 체육 저널 및 논문을 소개하는 것 뿐만 아니라 토론을 통해 장애인 체육의 새로운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기회 또한 제공하고자 한다물리·천문학부
이 교과목에서는 학생들이 실제로 실험을 통하여 자연의 다양한 현상을 탐색하고, 또 주위에서 일상적으로 일어나는 일 뒤에 숨어있는 물리 법칙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 다른 목적은 물리, 자연과학, 공학 등 관련 분야의 학생들에게 실험실에서의 종합적인 경험을 갖게 하는 것이다. 이 교과목에서는 힘과 운동, 에너지, 파동, 그리고 열 현상 등과 관련된 실험을 주로 다룬다.경영학과
본 과목은 회계원리를 수강한 학생들을 위하여 중급재무회계의 다양한 주제들을 강의한다. 먼저, 자산, 부채 및 주주지분과 관련한 회계절차를 살펴본 후, 리스회계, 법인세회계, 회계변경 및 오류수정, 현금흐름표, 파생상품회계 등과 같은 특수주제도 다루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과목은 기업이 재무정보를 창출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당면하는 의사결정의 문제와 이슈도 다룬다. 본 과목을 이수한 학생은 수업 중에 다루었던 문제와 이슈들을 완전히 이해하여, 재무제표를 해석하고 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찾아낼 수 있어야 한다. 또, 逆으로 재무자료가 주어지면, 이를 이용하여 재무제표를 작성할 수도 있어야 한다. 아울러, 습득한 회계이론과 개념을 말과 글로 자신 있게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물리·천문학부
우주를 구성하는 기본 단위인 은하의 세계와 우주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학습하여 올바른 현대적 우주관을 배양한다. 우리 은하의 구조 및 진화, 정상은하의 특성, 퀘이사와 활동은하의 본질, 우주의 거대구조, 우주의 팽창과 나이, 우주배경복사, 우주론 등을 학습한다. 현대천문학에서 중요한 연구과제인 중력렌즈와 아직도 정체가 명확히 밝혀지지 않고 있는 암흑물질 등을 소개한다.
loading...
자연과학대학 물리·천문학부 / 학사
2025-2학기
권장 선수과목 생활지도 및 상담(T1831.000300) , 세포분자생물학(3346.001)
우주를 구성하는 기본 단위인 은하의 세계와 우주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학습하여 올바른 현대적 우주관을 배양한다. 우리 은하의 구조 및 진화, 정상은하의 특성, 퀘이사와 활동은하의 본질, 우주의 거대구조, 우주의 팽창과 나이, 우주배경복사, 우주론 등을 학습한다. 현대천문학에서 중요한 연구과제인 중력렌즈와 아직도 정체가 명확히 밝혀지지 않고 있는 암흑물질 등을 소개한다.
A first course in general relativity
A first course in general relativity
Recent developments in gravitation and mathematical physics : proceedings of the First Mexican School on Gravitation and Mathematical Physics, Guanajuato, Mexico, 12-16 December 1994
Recent developments in gravitation and mathematical physics : proceedings of the First Mexican School on Gravitation and Mathematical Physics, Guanajuato, Mexico, 12-16 December 1994
International conference on non-accelerator particle physics : Indian Institute of Astrophysics, Bangalore, India 2-9 January 1994
International conference on non-accelerator particle physics : Indian Institute of Astrophysics, Bangalore, India 2-9 January 1994
Astronomie spatiale infrarouge, aujourd'hui et demain = Infrared space astronomy, today and tomorrow : Ecole de Physique des Houches - UJF & INPG - Grenoble, Les Houches, Session LXX,3-28 August 1998
Astronomie spatiale infrarouge, aujourd'hui et demain = Infrared space astronomy, today and tomorrow : Ecole de Physique des Houches - UJF & INPG - Grenoble, Les Houches, Session LXX,3-28 August 1998
Electroweak interactions : an introduction to the physics of quarks and leptons
Electroweak interactions : an introduction to the physics of quarks and leptons
Origin and distribution of the elements : 31 August-4 September 1987, New Orleans, LA, USA
Origin and distribution of the elements : 31 August-4 September 1987, New Orleans, LA, USA
Evolution of interstellar matter and dynamics of galaxies :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Prague, 21-25 May 1991
Evolution of interstellar matter and dynamics of galaxies :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Prague, 21-25 May 1991Galaxies and relativistic astrophysics
Galaxies and relativistic astrophysics
Chaos and stability in planetary systems
Chaos and stability in planetary systems
Spiral galaxies in the Near-IR : proceedings of the ESOMPA Workshop held at Garching, Germany, 7-9 June 1995
Spiral galaxies in the Near-IR : proceedings of the ESOMPA Workshop held at Garching, Germany, 7-9 June 1995
Accretion processes in star formation
Accretion processes in star formation
The cosmos : astronomy in the new millennium
The cosmos : astronomy in the new millennium
Elements and the cosmos : proceedings of the 31st Herstmonceux conference held in Cambridge, England, 16-20 July 1990 : in honour of Professor Bernard E.J. Pagel
Elements and the cosmos : proceedings of the 31st Herstmonceux conference held in Cambridge, England, 16-20 July 1990 : in honour of Professor Bernard E.J. Pagel
The big bang
The big bang
Stellar interiors : physical principles, structure, and evolution
Stellar interiors : physical principles, structure, and evolution
Basic concepts of physics
Basic concepts of physics
Coronal physics from radio and space observations : proceedings of the CESRA Workshop, held at Nouan le Fuzelier, France, 3-7 June 1996
Coronal physics from radio and space observations : proceedings of the CESRA Workshop, held at Nouan le Fuzelier, France, 3-7 June 1996Astronomy : how man learned about the universe
Astronomy : how man learned about the universe
핵 및 입자물리학
핵 및 입자물리학
Getting the measure of the stars
Getting the measure of the stars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Gómez-González V.M.A.,Mayya Y.D.,Toalá J.A.,Arthur S.J.,Zaragoza-Cardiel J.,Guerrero M.A.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Costa G.,Mapelli M.,Iorio G.,Santoliquido F.,Escobar G.J.,Klessen R.S.,Bressan A.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Ratajczak M.,Pawłaszek R.K.,Hełminiak K.G.,Konacki M.,Sybilski P.,Kozłowski S.K.,Litwicki M.,Smith A.M.S.,Mikołajczyk P.,Anderson D.R.,Hellier C.Astrophysical Journal
Azadi M.,Wilkes B.,Kuraszkiewicz J.,McDowell J.,Siebenmorgen R.,Ashby M.,Birkinshaw M.,Worrall D.,Abrams N.,Barthel P.,Fazio G.G.,Haas M.,Hyman S.,Martínez-Galarza R.,Meyer E.T.NATURE
Watson, Darach; Hansen, Camilla J.; Selsing, Jonatan; Koch, Andreas; Malesani, Daniele B.; Andersen, Anja C.; Fynbo, Johan P. U.; Arcones, Almudena; Bauswein, Andreas; Covino, Stefano; Grado, Aniello; Heintz, Kasper E.; Hunt, Leslie; Kouveliotou, Chryssa; Leloudas, Giorgos; Levan, Andrew J.; Mazzali, Paolo; Pian, ElenaAstronomy and Astrophysics
Loi F.,Brienza M.,Riseley C.J.,Rudnick L.,Boschin W.,Lovisari L.,Carretti E.,Koribalski B.,Stuardi C.,O'Sullivan S.P.,Bonafede A.,Filipovic M.D.,Hopkins A.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Bose S.,Frenk C.S.,Jenkins A.,Fattahi A.,Gómez F.A.,Grand R.J.J.,Marinacci F.,Navarro J.F.,Oman K.A.,Pakmor R.,Schaye J.,Simpson C.M.,Springel V.The Astrophysical Journal
Yuki Takei; Daichi Tsuna; Takatoshi Ko; Toshikazu ShigeyamaThe Astrophysical Journal Supplement Series
Jessica Werk; Kirill Tchernyshyov; Hannah Bish; Yong Zheng; Mary Putman; Joshua Peek; David Schiminovich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Kumar B.,Eswaraiah C.,Singh A.,Sahu D.K.,Anupama G.C.,Kawabata K.S.,Yamanaka M.,Otsubo I.,Pandey S.B.,Nakaoka T.,Kawabata M.,Aryan A.,Akitaya H.Astronomy and Astrophysics
Guiglion G.,Matijevič G.,Queiroz A.B.A.,Valentini M.,Steinmetz M.,Chiappini C.,Grebel E.K.,McMillan P.J.,Kordopatis G.,Kunder A.,Zwitter T.,Khalatyan A.,Anders F.,Enke H.,Minchev I.,Monari G.,Wyse R.F.G.,Bienaymé O.,Bland-Hawthorn J.,Gibson B.K.,Navarro J.F.,Parker Q.,Reid W.,Seabroke G.M.,Siebert A.Geomagnetism and Aeronomy
Shlyapnikov, A. A.Astrophysical Journal
Trump J.R.,Haro P.A.,Simons R.C.,Backhaus B.E.,Amorín R.O.,Dickinson M.,Fernández V.,Papovich C.,Nicholls D.C.,Kewley L.J.,Brunker S.W.,Salzer J.J.,Wilkins S.M.,Almaini O.,Bagley M.B.,Berg D.A.,Bhatawdekar R.,Bisigello L.,Buat V.,Burgarella D.,Calabrò A.,Casey C.M.,Ciesla L.,Cleri N.J.,Cole J.W.,Cooper M.C.,Cooray A.R.,Costantin L.,Croton D.,Ferguson H.C.,Finkelstein S.L.,Fujimoto S.,Gardner J.P.,Gawiser E.,Giavalisco M.,Grazian A.,Grogin N.A.,Hathi N.P.,Hirschmann M.,Holwerda B.W.,Huertas-Company M.,Hutchison T.A.,Jogee S.,Juneau S.,Jung I.,Kartaltepe J.S.,Kirkpatrick A.,Kocevski D.D.,Koekemoer A.M.,Lotz J.M.,Lucas R.A.,Magnelli B.,Matharu J.,Pérez-González P.G.,Pirzkal N.,Rafelski M.,Rose C.,Seillé L.M.,Somerville R.S.,Straughn A.N.,Tacchella S.,Vanderhoof B.N.,Weiner B.J.,Wuyts S.,Aaron Yung L.Y.,Zavala J.A.Symmetry
Shamir L.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Romero M.,Ascasibar Y.,Palouš J.,Wünsch R.,Mollá M.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Camps-Fariña A.,Sanchez S.F.,Lacerda E.A.D.,Carigi L.,García-Benito R.,Mast D.,Galbany L.The Astrophysical Journal Letters
Weixiang Sun; Han Shen; Biwei Jiang; Xiaowei LiuAstronomy and Astrophysics
Bacchini C.,Fraternali F.,Pezzulli G.,Marasco A.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Paul B.,Winkler H.,Potter S.Astrophysical Journal
Molina M.,Reines A.E.,Latimer C.J.,Baldassare V.,Salehirad S.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학사
항성과 항성계(이중성, 성협, 성단 등)의 기본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이해하기 위한 기본 천체물리를 학습하며, 항성의 진화를 공부한다.전선 / 학사
20세기 중반에 시작된 전파관측천문학은 오늘날 천문학의 크고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우주의 배경온도가 약 3 K으로 매우 낮고 별과 행성이 탄생하는 영역 또한 밀도가 높고 온도가 낮은 성간의 분자운이다. 이러한 저온의 대상은 광학관측 대신 전파관측으로 연구한다. 밀도가 낮은 고에너지 플라즈마 영역에 대한 연구도 전파관측이 중요하다. 이 강의는 복사와 전파망원경과 같은 전파관측천문학의 일반적인 내용과 함께 전파간섭계의 원리와 전파간섭계 자료를 처리하고 분석하는 과정도 포함한다. 앞으로도 계속 그 중요성이 커질 전파관측천문학에 대한 이러한 지식과 경험은 천문학자의 기본 소양이 될 뿐만 아니라 지구과학 교사로서 가져야 할 천문학에 대한 폭넓은 시각을 제공할 것이다.전필 / 학사
천문학을 배우려는 학생들에게 이 강좌를 통하여 천문학의 기본개념을 명로하게 제시하여 주고, 더 높은 수준의 연구를 하는데 바탕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한다. 천체 역학, 천체물리, 태양계, 항성, 은하, 우주론등의 내용을 통해서 다양한 천문학의 분야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진다. 수학적, 물리적인 지식을 기본으로 하여 천문학에 대한 지식을 심화시킬 수 있고, 이론의 습득과 함께 천문학의 각종 자료를 가지고 결과를 도출해보는 실험을 수행하고 직접 망원경관측을 통해 천체를 관측한다.전선 / 학사
현대 우주론의 핵심 내용을 소개한다. 우주론 이해에 필요한 개념을 학습하고 이론과 관측 양면에서 최근에 밝혀진 우주론의 연구 결과를 학습한다. 주요 주제는 우주의 구조와 역학적 상태, 우주의 구성 성분, 거대 구조의 형성 과정,은하의 형성과 진화, 우주배경복사의 특성 등이다.전선 / 학사
역학, 열역학, 전자기학이라는 전통적인 물리의 성공적인 정착 이후, 우리 인류는 지난 100여년간 양자 역학이라는 새로운 분야의 물리에 대한 큰 발전을 목격하였다. 이제 양자 물리는 소립자 단위의 상호작용과 광활한 우주 전체의 형성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자연 대상에서 적용되어, 우리 인류의 자연에 대한 이해를 혁명적으로 바꾸게 하였다. 이 교과목은 앞으로 물리학을 전공하거나 관련된 영역에서 물리학을 활용할 대학생이, 양자 역학 개념의 근간을 이루는 역사적으로 중요한 현대물리 실험을 수행한다. 동시에, 이 같은 역사적 실험의 결과로 발전된 원자, 고체, 핵, 입자 물리 영역의 대표적인 실험 개념을 이해하고 체험하고자 한다. 이 과목은 매주 한 시간의 강의와 네 시간의 실험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과목에서, 빛의 양자화, 물질의 파동성과 입자성을 포괄하는 이중성, 보어의 원자 모형을 낳게 한 원자 분광학 등, 현대 물리의 핵심 개념을 정립하는데 도움 된 중요한 실험을 수행한다. 대표적인 예시 실험에는, 흑체 복사, 밀리컨 기름방울 실험, 플랑크-헤르츠 실험, 수소 가스, 네온 가스 등의 분광학, 광전 효과, 홀효과 실험 등이 포함될 수 있다.전필 / 학사
기초 천문학 입문으로, 천구좌표, 기초 천체역학, 태양과 태양계 안에 있는 행성들을 관측하고, 물리적 성질, 태양계의 기원, 그리고 기초 천체물리학에서 다루는 복사 기구(機構)등을 다룬다. 간단한 천문학 연습을 통해 천문학 관측 방법과 분석을 실습한다.전선 / 대학원
최근에 연구가 많이 되고 있는 이론천문 분야의 주제에 대하여 발표된 논문을 중심으로 연구한다.교양 / 학사
물리의 기본1는 고교과정에서 물리1과 물리2를 이수하지 않은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교과목으로서 대학과정 물리학 1의 내용을 모두 포함한다. 운동의 기술, 중력장 내의 운동, 만유인력에 의한 운동, 원운동과 단진동, 충돌, 열현상과 기체분자 운동, 열역학의 법칙 등을 다룬다. 단, 강사는 고교과정 물리1, 2의 내용을 참고하여 강의내용의 난이도를 수강생의 수준에 맞게 적절히 조절한다.교양 / 학사
인문·사회 계열 또는 일부 자연계열 학생들을 위해 물리학에 관한 기초 및 교양을 제공하는 단학기 과목으로 물리학 전반에 걸쳐 기본적인 내용을 배운다. 특히 물질세계에 대해 과학적 시야를 갖도록 힘과 운동, 중력, 파동, 전기 및 자기현상, 원자세계의 양자이론 등 물질세계의 특성을 쉽게 다룬다.전선 / 대학원
이 강좌에서는 천체 현상에서 일어나는 여러 물리 현상 중에서 가장 흔하게 이용되는 복사, 중력, 그리고 유체 역학을 다룬다. 천문학의 관측은 대개 천체로부터 나오는 빛을 이용하게 되기 때문에 빛이 발생되어 관측자에게 전달되기까지의 과정을 이해하는 것이 가장 필수적이다. 천체의 운행을 지배하는 것은 중력이며 대개의 천체는 집단으로 존재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다체 천체역학도 천체물리학에서 자주 필요로 하는 분야이다. 또 우주 공간의 대부분은 유체로 이루어져 있어 유체 역학에 대한 이해가 없이는 천문학적 현상을 해석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 강좌에서는 크게 이 세 분야를 기본적 원리로부터 접근하여 향후 연구 수행에 바탕이 되도록 한다.전선 / 대학원
핵 또는 입자물리학에 관련된 내용의 대학원 석ㆍ박사과정 공통과목으로 물리학과의 석ㆍ박사 교육과정에 유용한 주제를 다룬다. 구체적인 교과 내용은 교육과정상의 필요에 따라 바뀌게 된다.전선 / 대학원
특정 주제에 대하여 최근 발표된 논문을 조사하여 발표하고 토론한다.전필 / 학사
재료를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양자역학, 원자구조, 분자구조, 고체구조 등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적 개념을 제공한다.교양 / 학사
본 강좌는 자연과학과 인문학의 학제간 융합 수업으로서, 별을 주제로 종교와 과학을 아우른 인류 문명의 전개를 천문학과 문화사의 관점에서 다각적으로 고찰한다. 수업의 대주제는 별과 관련된 시간과 공간, 우주론, 물질과 생명이다. 본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근현대 별의 관측을 통해 발전된 빅뱅 우주론과 고대의 우주창생신화를 비교하고, 과학적 우주론이 종교적 세계관에 가져온 변화가 무엇인지, 그리고 우주와 별에 대한 현대적 이해에 기반하여 정신과 물질, 외계생명체를 포함한 우주 차원의 생명에 대해 사색하고 토론하며 사고를 확장한다. 수업 시간에 이루어질 ‘별’과 ‘별자리’에 관한 다학제적 주제 토론은 인류의 지성과 영성, 물질과 정신, 생명과 우주의 진화에 대해 융합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시각을 제공하며, 지구라는 별(행성)을 살아가는 현대인으로서 우주와 인간에 대해 도전적으로 질문하며 지평 전환을 경험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