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작곡과
본 교과목은 연주전공자들에게 필요한 기초이론을 효율적으로 교육하기 위한 6개 학기 과정의 통합교과목의 첫 학기 교과목으로서, 기보법, 음정, 화음, 조성의 원리, 리듬, 짜임새, 음률 등 폭넓은 기초적 음악이론을 다룬다.간호학과
인체구조와 기능 1에 이어 인체를 구성하는 각 기관들의 기본적인 구조와 기능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며 각 기관 고유의 생리적 기능을 이해하여 각 기관들 간의 형태학적 연관성 및 기능의 연관성을 이해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기계공학부
학부과정에서 배운 거시적 관점의 열역학 기본법칙을 재정립하고 이와 더불어 열역학적 현상을 미시적 관점에서 취급할 수 있는 통계열역학의 기초를 교수한다. 고전적인 운동론에 의한 취급 방법을 소개한 후 슈레딩거 방정식에 의한 입자운동을 해석하고 이를 통계열역학의 문제 해석에 이용한다. 단원자, 이원자 및 다원자 기체의 상온, 저온 및 고온 현상을 취급한다.의예과
이 교과목은 일반생물학을 수강한 학부 하급생들에게 세포생물학의 핵심내용을 알기 쉽게 전달하기 위한 입문과정의 강의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진핵세포의 공통 특징과 각 독립된 세포가 어떤 방식으로 생명을 유지하고 생식하는지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내용을 아래 강의계획에 따라 다루고자 한다. 이 강좌의 핵심주제는 다세포생물의 기관과 체계, 발생 및 분화과정, 그리고 유전질병 등을 포함한다. 흥미로운 생명현상을 세포생물학 용어로 설명함으로써 인류의 건강 증진에 기둥이 될 의학도들에게 꼭 필요한 기본적인 세포학의 내용을 알기 쉽게 전달하고자 한다.
loading...
의과대학 의예과 / 학사
2025-2학기
권장 선수과목 치의학신입생세미나(M2189.000100) , 의학입문(801P.102)
이 교과목은 일반생물학을 수강한 학부 하급생들에게 세포생물학의 핵심내용을 알기 쉽게 전달하기 위한 입문과정의 강의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진핵세포의 공통 특징과 각 독립된 세포가 어떤 방식으로 생명을 유지하고 생식하는지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내용을 아래 강의계획에 따라 다루고자 한다. 이 강좌의 핵심주제는 다세포생물의 기관과 체계, 발생 및 분화과정, 그리고 유전질병 등을 포함한다. 흥미로운 생명현상을 세포생물학 용어로 설명함으로써 인류의 건강 증진에 기둥이 될 의학도들에게 꼭 필요한 기본적인 세포학의 내용을 알기 쉽게 전달하고자 한다.
Boophilus microplus: the common cattle tick
Boophilus microplus: the common cattle tickEukaryotic transcription factors
Eukaryotic transcription factors
Yeast genetics : fundamental and applied aspects
Yeast genetics : fundamental and applied aspects
The Genetics of the dogs
The Genetics of the dogs
(의생명과학 계열 학생을 위한) 인체생명과학
(의생명과학 계열 학생을 위한) 인체생명과학
Aminoacyl-tRNA synthetases in biology and medicine
Aminoacyl-tRNA synthetases in biology and medicine
Pichia protocols
Pichia protocols
Development of the Vertebrate Retina
Development of the Vertebrate Retina
Glossary of genetics and cytogenetics classical and molecular
Glossary of genetics and cytogenetics classical and molecular
Genetics and eugenics : a text-book for students of biology and a reference book for animal and plant breeders
Genetics and eugenics : a text-book for students of biology and a reference book for animal and plant breeders
The science and applications of microbial genomics : workshop summary
The science and applications of microbial genomics : workshop summary
Genetic variations of drosophila melanogaster
Genetic variations of drosophila melanogaster
Animal traditions : behavioural inheritance in evoloution
Animal traditions : behavioural inheritance in evoloution
Predators and parasitoids
Predators and parasitoidsCytology, genetics and evolution
Cytology, genetics and evolution
Comparative morphology of vascular plants,
Comparative morphology of vascular plants,Experimental manipulation of gene expression
Experimental manipulation of gene expression
Vertebrate embryogenesis : embryological, cellular, and genetic methods
Vertebrate embryogenesis : embryological, cellular, and genetic methods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동창회보 : 2012년 1월 1일 68호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동창회보 : 2012년 1월 1일 68호
Mutagenesis of the mouse genome
Mutagenesis of the mouse genomeCELL
Liu, Yucheng; Du, Huilong; Li, Pengcheng; Shen, Yanting; Peng, Hua; Liu, Shulin; Zhou, Guo-An; Zhang, Haikuan; Liu, Zhi; Shi, Miao; Huang, Xuehui; Li, Yan; Zhang, Min; Wang, Zheng; Zhu, Baoge; Han, Bin; Liang, Chengzhi; Tian, ZhixiBMC Genomics
Jang J.S.,Berg B.,Holicky E.,Eckloff B.,Mutawe M.,Carrasquillo M.M.,Ertekin-Taner N.,Cuninngham J.M.Brazilian Journal of Microbiology
Azevedo, Lais Sampaio de; França, Yasmin; Viana, Ellen; Medeiros, Roberta Salzone; Morillo, Simone Guadagnucci; Guiducci, Raquel; Ribeiro, Cibele Daniel; Vieira, Heloisa Rosa; Barrio-Nuevo, Karolina Morales; Cunha, Mariana Sequetin; Guerra, Juliana Mariotti; Silva, Dulcilena de Matos Castro e; Filho, Valter Batista Duo; Araújo, Emerson Luiz Lima; Ferreira, Sérgio Roberto Santos; Batista, Camila Freitas; Silva, Gislaine Celestino Dutra da; Nogueira, Maurício Lacerda; Ahagon, Cintia Mayumi; Moreira, Regina Célia; Cunha, Lia; Morais, Vanessa Santos; da Costa, Antonio Charlys; Luchs, AdrianaPlant Science
Ao Q.,Qiu T.,Liao F.,Hu Z.,Yang Y.Nature Plants
Ellison E.E.,Nagalakshmi U.,Gamo M.E.,Huang P.j.,Dinesh-Kumar S.,Voytas D.F.FEBS JOURNAL
Chujo, Takeshi; Tomizawa, Kazuhito발생과 생식
박미리, Youngsok Choi, Sanghyun Jeon, JiBiological Control
Taheri E.,Tarighi S.,Taheri P.NATURE
Park, Gina J.; Osinski, Adam; Hernandez, Genaro; Eitson, Jennifer L.; Majumdar, Abir; Tonelli, Marco; Henzler-Wildman, Katie; Pawlowski, Krzysztof; Chen, Zhe; Li, Yang; Schoggins, John W.; Tagliabracci, Vincent S.Chemistry - A European Journal
Pistorius D.,Buntin K.,Weber E.,Richard E.,Bouquet C.,Wollbrett S.,Regenass H.,Peón V.,Böhm M.,Kessler R.,Gempeler T.,Haberkorn A.,Wimmer L.,Lanshoeft C.,Davis J.,Hainzl D.,D'Alessio J.A.,Manchado E.,Petersen F.American Journal of Human Genetics
Niggl E.,Bouman A.,Briere L.C.,Hoogenboezem R.M.,Wallaard I.,Park J.,Admard J.,Wilke M.,Harris-Mostert E.D.R.O.,Elgersma M.,Bain J.,Balasubramanian M.,Banka S.,Benke P.J.,Bertrand M.,Blesson A.E.,Clayton-Smith J.,Ellingford J.M.,Gillentine M.A.,Goodloe D.H.,Haack T.B.,Jain M.,Krantz I.,Luu S.M.,McPheron M.,Muss C.L.,Raible S.E.,Robin N.H.,Spiller M.,Starling S.,Sweetser D.A.,Thiffault I.,Vetrini F.,Witt D.,Woods E.,Zhou D.,Ambrose J.C.,Arumugam P.,Bevers R.,Bleda M.,Boardman-Pretty F.,Boustred C.R.,Brittain H.,Brown M.A.,Caulfield M.J.,Chan G.C.,Giess A.,Griffin J.N.,Hamblin A.,Henderson S.,Hubbard T.J.P.,Jackson R.,Jones L.J.,Kasperaviciute D.,Kayikci M.,Kousathanas A.,Lahnstein L.,Lakey A.,Leigh S.E.A.,Leong I.U.S.,Lopez F.J.,Maleady-Crowe F.,McEntagart M.,Minneci F.,Mitchell J.,Moutsianas L.,Mueller M.,Murugaesu N.,Need A.C.,O‘Donovan P.,Odhams C.A.,Patch C.,Perez-Gil D.,Pereira M.B.,Pullinger J.,Rahim T.,Rendon A.,Rogers T.,Savage K.,Sawant K.,Scott R.H.,Siddiq A.,Sieghart A.,Smith S.C.,Sosinsky A.,Stuckey A.,Tanguy M.,Taylor Tavares A.L.,Thomas E.R.A.,Thompson S.R.,Tucci A.,Welland M.J.,Williams E.,Witkowska K.,Wood S.M.,Zarowiecki M.,Acosta M.T.,Adams D.R.,Alvarez R.L.,Alvey J.Journal of insect science (Online)
Bihuan Ye; Qiyan Song; Haibo Li; Jianjun Shen; Chenyou Wu; Jinping Shu; Yabo ZhangJOURNAL OF ENTOMOLOGICAL SCIENCE
Yin, Lu; Burkness, Eric C.; Hutchison, William D.; Clark, Matthew D.Nature Structural and Molecular Biology
Song Y.,Yang W.,Fu Q.,Wu L.,Zhao X.,Zhang Y.,Zhang R.Standards in Genomic Sciences
Moon, Kira; Kang, Ilnam; Kim, Suhyun; Cho, Jang-Cheon; Kim, Sang-JongPhysiologia Plantarum
Cheng L.,Wang D.,Wang Y.,Xue H.,Zhang F.Archives of virology
Li Y; Cui X; An W; Li C; Zhang S; Cao M; Yang CFRONTIERS IN PLANT SCIENCE
Rodrigues, Thais B.; Petrick, Jay S.Forests
Gathercole L.A.P.,Nocchi G.,Brown N.,Coker T.L.R.,Plumb W.J.,Stocks J.J.,Nichols R.A.,Denman S.,Buggs R.J.A.Frontiers in Plant Science
Branchereau C.,Hardner C.,Dirlewanger E.,Wenden B.,Le Dantec L.,Alletru D.,Parmentier J.,Ivančič A.,Giovannini D.,Brandi F.,Lopez-Ortega G.,Garcia-Montiel F.,Quilot-Turion B.,Quero-García J.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필 / 학사
동물번식학은 동물이 생식세포를 통하여 번식하는 과정을 연구하는 기초학문이다. 본 과정에서는 반식생리학의 기본인 기초생식기 해부, 생식 내분비, 생식세포 등이 다루어질 것이고 성성숙, 발정 및 발정주기, 수정과 배 발달, 임신과 분만 등도 소개할 예정이다. 또한 번식생리학을 이용한 기법으로 인공수정, 수정란 이식, 체외수정 및 생식세포 조작 등을 소개할 것이다.전필 / 학사
본 과목은 수의 생물공학의 연구분야인 형질 전환동물의 생산, 예를 들면 약리학적 및 영양학적으로 가치가 있는 물질을 생산하는 동물 (bioreactor), 이종간 장기이식을 위한 특정유전자 제거동물 (knock-out animal) 및 특정질환 결여 동물 (specific pathogen-resistant aniamal)등의 생산과정 및 배아줄기세포 생산과정을 실험적으로 다룬다.전선 / 대학원
식물은 진균, 세균, 바이러스, 선충 등 다양한 미생물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진화해 왔다. 본 교과목에서는 식물-미생물간 분자생물학적 상호작용의 관점에서 미생물의 침입・증식 기작 및 이를 억제하기 위한 식물의 방어기작을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모델 시스템을 바탕으로 미생물의 분자생물학적 병리학적 특성 및 식물의 병 저항성 발현 기작에 대한 기초 지식을 소개하고, 관련 분야의 최신 연구 동향 및 전망을 제시한다.전선 / 대학원
유전체 역학 1은 질병-건강현상 중에서 특히 다빈도 복합질환 (common complex diseases)에 대한 유전적 요인의 규명을 중심으로, 보다 정밀한 환경요인의 역할을 평가하고, 질병발생의 위험요인으로 작용하는 유전자를 규명하며, 나아가, 유전적 감수성이 있는 사람에서 특히 문제가 되는 생활습관 / 환경요인의 영향을 평가하고 개인의 특성에 맞는 조절방안을 규명하는 역학의 분야이다. 이 강의에서는 유전체학, 역학 및 통개학에 대한 개론적인 이해를 가진 학생들에게 유전체역학의 기본개념을 이해하고, 동시에 이의 적용방법을 위한 다양한 사례들을 다루고자 한다.전선 / 학사
식물, 동물, 미생물을 포함하는 생물계의 다양성을 실험 및 관찰을 통해 이해하고, 주요 종을 익히기 위한 강좌이다. 본 강좌에서는 주요 생물군들의 분류군별 표본제작법을 습득하며 이들을 분류, 동정하는 능력을 기른다. 또한 종의 형태변이를 파악하여 식별형질을 통한 종의 한계를 이해하고, 이들을 유연관계에 따라 계통적으로 정리하여 생물계를 이해시킨다.전선 / 대학원
본 강좌는 최신 연구 동향을 중심으로 곤충생리학의 다양한 연구방법론(실험설계, 자료 획득 및 분석)을 소개함으로써, 학생들에게 곤충생리학 연구방법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전선 / 학사
작물에 병을 일으키는 병원체 중 바이러스에 의한 병들과 주요 곤충에 기생하는 바이러스들의 일반적인 생물학적, 분자생물학적인 특성을 강의한다. 바이러스와 기주인 식물 및 곤충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주요 병들을 소개하고 그 기전에 대해 밝혀진 내용을 중심으로 소개한다. 이와 함께 생명공학에 도구로서 이용되는 바이러스벡터에 대하여 그 개념 및 실용성 등을 심화 학습한다.전필 / 학사
모든 생명체의 유지 및 번식이 기본이 되는 유전정보의 발현 및 세대간 유전정보를 전달하는 유전기작을 강의하며 급속도로 발전하는 유전학의 모든 분야, 멘델유전학, 양적유전학, 집단유전학, 세포유전학, 발달유전학, 분자유전학 부문의 기초적 이해를 돕는데 중점을 둔다.교양 / 학사
자연과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이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할 현대생물학 제분야의 기초지식을 강의하며, 특히 생명현상을 분자론적 해석으로부터 이해시키기 위한 기초를 공부한다. 1학기 강의내용은 생명의 기원과 진화, 생명체의 구성물질, 생체산화환원, 세포유전,물질대사, 생식 및 발생 등을 포함한다.전선 / 대학원
본 강좌는 대학원생을 위한 고급 유전학 I 교과목으로 1) 유전체 편집(Genome editing)과 그 활용 방법, 2) 후생유전학II(EpigeneticsII), 3) 유전학 모델 시스템(Model organisms), 4) 식물유전학 II(Plant genetics II), 그리고 5) 암 유전체학(Cancer genomics) 등의 주제에 관해서 학습할 예정이다. 학생들은 이 강좌를 통하여 질환유발 유전적 변이 그리고 그 치료 방법 등의 발견을 통해 인류 지식 발전의 큰 공헌을 한 ‘유전학’이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 그리고 최근 발전 현황과 장래에 대해서 학습할 수 있다.전선 / 학사
진핵생물인 곰팡이들의 특성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을 다룬다. 구체적으로는 곰팡이의 분류, 동정, 생리, 생태, 유전 등에 관한 지식을 습득한다. 곰팡이의 분류 및 동정을 위해 형태학적인 방법과 분자생물학적인 방법을 습득한다. 곰팡이의 생리적인 면은 1차 및 2차 대사산물들을 중심으로 생화학적, 분자생물학적으로 살펴보고, 생태학적인 면은 집단 유전학적으로 접근한다. 곰팡이의 유전은 고전적인 방법과 분자생물학적인 측면에서 살펴보며 세포분화에 대한 내용 또한 다룬다.전선 / 대학원
생명 현상의 정보를 담고 있는 유전체의 구조와 유전 정보가 사람을 포함한 주요 동식물, 미생물 등에서 최근 밝혀지기 시작하면서 유전체를 구성하는 유전자들의 기능에 대한 연구가 21세기 생명과학의 화두로 등장하고 있다. 따라서 구조적 유전체학과 기능성 유전체학의 접목을 위한 생물정보의 집적 및 효과적인 활용을 다룬다.전선 / 대학원
유전공학을 식품이 생물 분야에 적용하는데 필수적인 분자미생물학 기본 지식을 습득한다. 미생물의 유전자 발현과 조절기작의 근본 원리, 분자생물학에 쓰이는 여러가지 techniqhe의 기본 원리, 유전자를 cloning하고 원하는 단백질을 overexpression 시키는 데 고려해야 할 기본사항 등을 식품미생물학 분야에 응용된 사례를 중심으로 소개한다.전필 / 대학원
학생들은 이 교과목에서 인체 내 분자의 기능 및 대사와 세포 및 조직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한다. 생화학적 진화에서부터 단백질의 구조, 유전물질, 세포의 호흡과 대사에 대해 이해하며, 세포의 구조와 기능에서부터 출발하여 조직의 다양한 형태학적·생리학적 특성을 학습한다.전필 / 학사
수의생화학은 수의학 전공에 필요한 기본적인 생화학적 원리에 대한 이해와, 특히 동물 및 수의학과 관련된 생화학적 측면을 강조한다. 학생들은 수의생화학을 이수함으로 동물과 생명체에 존재하는 화학물질의 구조와 기능을 배우고, 세포가 어떠한 화학반응을 거쳐 생명에 필요한 에너지를 얻고 사용하며, 어떻게 유전정보를 저장하고 다음 세대에 전달하고 표현하는지에 대하여 학습한다. 그리고 이러한 생화학에 대한 이해가 왜 수의학에 필요하며 어떻게 수의학에 응용되는지 이해하게 된다.전선 / 학사
본 과목은 학부 2학년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과목이다. 본 과목에서는 해양생물을 이용하여 분류 및 발생 실험을 수행하며, 또한 해양 및 육지 생태 실험과 식물 분류 실험을 포함한다. 해양생물을 이용한 실습으로는 해양에서 발견되는 각종 동물들을 채집하여 분류시스템에 따라 분류를 하고, 성게와 굴을 이용하여 발생 실험을 수행하여 교육 현장에 나갔을 때 교사들이 현장 교육을 수행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그리고 천리포 바닷가의 대자연 속에서 해양 및 염생 동식물 서식에 관한 분류 생태학적 조사를 통하여 과학적인 관찰력을 배양하고, 생명체에 대한 신비감을 느끼게 할 것이다. 또한 자연에서의 실험재료의 선택 및 이용에 대한 경험을 쌓게 하고 이를 통해 생물과학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며 연구 방법을 익혀 미래의 교사로서의 자질을 함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불어 5박 6일 동안 함께 생활하는 동안에 단체생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교수, 대학원생, 및 학부생간에 학문적 및 인간적 측면에서의 교류와 신뢰를 쌓고, 학부생간의 우정을 돈독히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