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체육교육과
본 강좌는 스포츠 산업에 있어 스포츠 과학, 컴퓨터 과학, 새로운 미디어 기술과 관련된 여러 학문분야를 아우르는 과목이다. 다양한 교육적 방법이 활용되며, 이는 스포츠산업현장분야에 사용된 여러 가지 기술을 적용함에 있어 유사점과 차이점을 증명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학생들은 선행 연구자들에 의해 이루어진 학문적 연구들을 토론을 통하여 함께 살펴보고, 적용할 수 있도록 교과내용과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다.혁신공유학부
◎ 구 분: 초급 – 에너지 경영 ≪ 교수요목 ≫ 지질환경을 이해하고 전통전인 에너지원산업이 탄소순환에 미치는 영향을 학습한다. 또한, 지구환경의 기후변화 원인을 이해하고 지질특성을 활용한 탄소저감 방법을 학습한다. ≪ 과목개요 ≫ 이 수업은 「디지털 신기술 인재양성 혁신공유대학 사업 (에너지신산업)」의 수행을 위해 개설되는 초급교과목으로서, 수업은 온라인 강의로 15주 동안 진행된다. 첫 8주는 지구와 지질환경의 이해, 전통에너지원의 형성 및 탄소순환에 미치는 영향 이해, 지구의 지질시대의 이해와 기후변화 원인에 대해 수업을 진행한다. 남은 주차의 수업은 지질환경의 특성을 활용한 탄소저감 방법을 이해하고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해 수업을 진행한다. (수업 진행은 필요할 경우 오프라인 수업으로 전환할 수 있으며 실험/실습이 병행될 수 있다.) ≪ 학습목표 ≫ 지구의 지질환경을 이해하고 전통전인 에너지원산업이 탄소순환에 미치는 영향을 학습한다. 지구환경의 기후변화 원인을 이해하고 지질특성을 활용한 탄소저감 방법을 학습한다.체육교육과
본 강의는 스포츠와 레저 산업의 이해를 위한 기초를 제공하는데 그 목표가 있다. 본 수업을 통해 스포츠/레저 산업의 주요 부문과, 스포츠/레져 산업의 경영에 있어 이들 부문만이 가지는 독특한 양상에 대해 배우게 될 것이다.재료공학부
본 강의에서는 고분자의 기본개념과 고분자 사슬의 기본적인 구조와 물성, 단일사슬의 공간 내에서의 구조, 고분자블렌드와 용액의 열역학, 통계열역학의 접근방법 등을 다룸으로써 고분자재료의 기본적인 현상학적 개념을 이해하고자 한다.산림과학부
목재조직학 및 실험은 광학현미경, 주사현미경 및 화상분석을 통하여 목재의 육안적 및 미시적 식별을 다룬다. 아울러 목재의 삼단면과 춘추재에 대한 육안적 식별, 목재 세포벽의 구조와 구성 성분, 침엽수재의 해부학적 특성(축방향 가도관, 축방향 유세포)과 활엽수재(도관요소, 목섬유, 축방향 유세포, 방사조직), 이상재 등에 대해 학습한다.생명과학부
학부생의 졸업논문 작성을 위한 강좌로 각 분야에 따른 학문연구의 자세와 실험의 계획 및 이론 전개에 대한 철저한 훈련을 그 내용으로 한다. 이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각자의 졸업논문작성에 있어 각 전공별로 실험실에 배치시켜 실제로 실험하고 보고 배우며, 각자의 실험계획 및 그에 필요한 문헌 등을 고찰하고, 이에 따라 각자의 졸업논문실험을 진행함으로써 앞으로 보다 진보된 학문을 수행할 수 있는 연구자세를 갖추도록 유도하는 강좌이다.의예과
본 과목에서는 의학과 진입을 앞둔 의예과 2학년 학생으로서 예비의사로서의 자질을 함양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의학의 다양한 영역과 함께 의학의 과거, 현재, 미래를 탐색해 보고, 의사로서의 삶, 생명존중과 윤리에 대한 인식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한다.
loading...
의과대학 의예과 / 학사
2025-2학기
권장 선수과목 생명과학을 위한 수학 1(F31.111) , 생물학(F35.103)
본 과목에서는 의학과 진입을 앞둔 의예과 2학년 학생으로서 예비의사로서의 자질을 함양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의학의 다양한 영역과 함께 의학의 과거, 현재, 미래를 탐색해 보고, 의사로서의 삶, 생명존중과 윤리에 대한 인식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한다.
간호관리학 = program outcome based
간호관리학 = program outcome based
간호과정
간호과정
Workforce crisis : how to beat the coming shortage of skills and talent
Workforce crisis : how to beat the coming shortage of skills and talent
Research methods in nursing and health
Research methods in nursing and health
Qualitative research in education : interaction and practice
Qualitative research in education : interaction and practice
Oxford handbook of nursing older people
Oxford handbook of nursing older people
간호사의 인수인계 의사소통 = 상호존중과 공감적 의사소통 방법론
간호사의 인수인계 의사소통 = 상호존중과 공감적 의사소통 방법론
Characterization of the 1986 nonmetallic mining workforce
Characterization of the 1986 nonmetallic mining workforce
간호과정
간호과정
(최신) 지역사회보건간호학 =
(최신) 지역사회보건간호학 =
(간호사·보건의료인을 위한) 왜? 어떻게? =
(간호사·보건의료인을 위한) 왜? 어떻게? =
Qualitative research design : an interactive approach
Qualitative research design : an interactive approach
간호진단 : 정의와 분류 : 2021-2023
간호진단 : 정의와 분류 : 2021-2023
기본간호중재와 술기 =
기본간호중재와 술기 =
Routledge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in sport and exercise
Routledge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in sport and exercise
성인간호학
성인간호학Journal of Interprofessional Care
Machin L.L.,Bellis K.M.,Dixon C.,Morgan H.,Pye J.,Spencer P.,Williams R.A.International Emergency Nursing
Shin S.,Yoo H.J.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Dias J.M.,Aderibigbe S.A.,Abraham M.S.Nursing Ethics
Metselaar S.,van Schaik M.,Widdershoven G.,Pasman H.R.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Gearon E.,O'Connor D.,Wallis J.,Han J.X.,Shepperd S.,Mäkelä P.,Buchbinder R.Nurse Education in Practice
Jarnulf T.,Skytt B.,Mårtensson G.,Engström M.BMJ SUPPORTIVE & PALLIATIVE CARE
Maffoni, Marina; Argentero, Piergiorgio; Giorgi, Ines; Hynes, Julia; Giardini, AnnaBMC Complementary Medicine and Therapies
Gumede L.,Nkosi P.B.,Sibiya M.N.European journal of oncology nursing : the official journal of European Oncology Nursing Society
Polus M; Hanhauser Y; Sarah MG; Spillane CM; Byrne N; Drury A; Prizeman G; Connolly E; Brady AMAcademic Radiology
Khoo A.,Ho C.,Ballard D.H.,Gould J.E.,Marquis K.M.Chiropractic and Manual Therapies
Corcoran K.L.,Peterson D.R.,Zhao X.,Moran E.A.,Lisi A.J.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Warren J.I.,Tahan H.M.,Godfrey N.,Zipp J.S.,MacDonald R.Epidemiology and Psychiatric Sciences
Donovan, K.A.; Grassi, L.; Deshields, T.L.; Corbett, C.; Riba, M.B.Australasian Emergency Care
Marsden E.J.,Taylor A.,Wallis M.,Craswell A.,Broadbent M.,Johnston-Devin C.,Crilly J.Violence Against Women
Voth Schrag R.J.,Wood L.G.,Wachter K.,Kulkarni S.Digital Health
Dinakrisma, Anastasia A.; Laksmi, Purwita Wijaya; Abdiel, Teofilus; Fernandez, Johannes P.; Indahwati, Nuri; Susanto, Anindya Pradipta; Lukmana, Arya Ananda Indrajaya; Yusuf, Prasandhya AstagiriBMJ (Clinical research ed.)
Iacobucci GInternational Journal of Mental Health Nursing
Almadani N.,Alamri M.,AL-Dossary R.,Albaqawi H.,Al Hosis K.,Aljohani M.,Alrasheadi B.,Aljohani K.,Falatah R.,Alharbi J.,Alasqah I.Journal of Interprofessional Care
Janssens, Oona; Haerens, Leen; Valcke, Martin; Embo, Mieke; De Backer, Jens; Van Hecke, Ann; Gauwe, Vanessa; Van Hecke, Marlies; De Vriendt, Patricia; Pype, PeterCJEM
Siu C; Rao S; Hayman K; Hulme J; Gajaria A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대학원
이 강좌는 보건 분야에 응용한 조사방법론 및 질적 연구방법론을 다룬다. 일반 사회조사의 원리와 함께 보건 분야를 조사할 때 고려해야 하는 점들을 강조하게 된다. 설문작성법, 면접기법, 조사관리, 자료입력과 편집 등에 대한 이론과 실습을 병행한다. 또한 질적 방법론의 이론과 면접기법, 자료구성과 분석방법에 대하여 교수한다.전선 / 대학원
지식을 전달하는 발표 방법을 숙지하고식품 관련 최신 정보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전선 / 대학원
본 과목은 보건의료의 질의 개념 및 측정과 관련된 주요 원리와 개념들을 소개하고, 효과적 질 향상을 위한 리더쉽, 조직 문화, 보건의료 팀의 역할, 그리고 질 관리의 원칙들과 과정들을 살펴본다. 또한 질 관리의 성과 및 성과 평가 방법을 리뷰하고, 보건정보 시스템과 테크놀로지의 역할과 영향을 고찰한다. 외부적 환경(법, 규제, 보건 정책 등)이 보건의료 조직의 질 관리 및 성과 평가에 미치는 역할 및 영향, 그리고 나아가 다양한 보건의료 조직에서의 보건 서비스 질과 안전 향상을 위한 다각적인 접근법을 고찰하고 토론한다.전선 / 학사
지역사회의학 강의를 통해서 지역사회와 지역사회의학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지역사회 보건문제를 파악하여 보건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을 습득하며, 지역사회 보건활동의 전개과정과 지역사회 보건사업의 평가방법을 익힌다. 그리고 지역사회의학 실습은 병의원에서 환자로 만나게 될 주민들을 실습현지를 방문하여 직접 만나고, 주민들의 생활환경과 상황을 현장에서 관찰함으로써, 건강과 질병현상을 사회적, 정신적 및 신체적 측면에서 포괄적으로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전필 / 대학원
국내 보건의료 실정에 맞는 상급실무간호의 특성을 파악하고 전문간호사로서의 역할 및 책임과 의무를 습득하여 전문간호사 발전과 관련된 정책을 분석, 개발하는데 참여할 뿐만 아니라 전문간호사 제도의 성공적인 국내 정착을 위한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전선 / 대학원
학생인턴은 3, 4학년의 임상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보다 심도 있게 진료에 참여하는 2주 임상실습 과정이다. 이 과정을 통해 독립된 의사로서 역할을 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학생인턴은 1기-7기까지 모든 임상과에서 개설되며, 진로탐색을 위해 원하는 실습을 선택할 수 있다전선 / 대학원
임상약학을 통해 수행되는 환자의 사례연구, 약물치료 및 임상약학 분야에서 발표되는 새로운 정보를 발표, 논의하고, 최신 약물치료에 대한 특수과제를 수행하므로 임상약학지식의 응용능력 향상과 학술발표 능력을 연마한다.공통 / 대학원
본 교과목은 양적연구방법론 교육에 대응하는 질적연구 역량을 함양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본 교과목에서는 질적연구방법론의 철학적 ·이론적 배경을 이해하고, 응용학문에서 질적연구방법론이 어떻게 연구에 활용될 수 있는가를 학습한다. 질적연구 수행을 위한 준비과정으로서의 연구윤리와 연구참여자 보호의 의미를 이해하고, 예비연구를 통해 질적연구의 자료수집과정을 경험하고, 질적 자료분석과 해석의 글쓰기 과정을 실행한다. 간호학, 장애학, 보건학에서의 질적연구 수행의 실제와 구체적인 방법론을 학습한다. 수강 학생들의 연구 관심분야에 따라 질적 연구계획서를 작성하는 작업도 수행한다.전필 / 학사
인간·사회·의료 6은 ‘환자돌봄’이라는 주제로 이루어진다. 완화의료, 임종환자와 가족과의 소통, 심리사회적‧영적돌봄, 법적‧윤리적 문제 등에 대해 시나리오를 통한 토론과 발표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된다.전선 / 대학원
본 과목은 국제통상 전공자들에게 필요한 테이터 분석 방법론과 방법론의 응용을 가르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방법론으로는 기초 통계학 이론 및 회귀분석 모형이 포함되며, 동시에 이 기법이 실제 어떻게 사용되는지 프로젝트 및 데이터 실습을 통해서 학습한다. 데이터 실습은 STATA를 기반으로 진행한다. 이에 더하여, 각국에서 도입중인 evidence-based policy making (EBPM)의 동향과 민간의 신용카드 및 교통정보를 기반으로 한 실시간 데이터가 정책입안에 어떻게 활용되는지 사례분석을 통해서 학습한다. 마지막으로 최근 활발히 이용되고 있는 머신러닝(Machine Learning)기법 일부도 소개한다. 학습 평가는 방법론에 대한 시험과 통계분석에 대한 final project를 기초로 이루어진다.전선 / 학사
이 교과목은 개별 전공교과목 이론과 실습을 통해 습득한 지식과 경험을 토대로, 특정 인구집단이나 개인, 가족을 대상으로 보건의료기관 또는 지역사회에서 통합적으로 수행하는 간호실무를 학습한다. 특히 인구 및 사회적 변화와 보건의료정책에 기반하여 새롭게 부상하는 최신 간호실무를 학습함으로써 사회와 보건의료 체계 속에서 간호사의 역할과 간호서비스의 사회적 기여를 확인한다.전선 / 학사
이 수업에서는 참여관찰과 현장연구와 같은 대표적인 인류학 연구방법을 질적연구 방법의 역사적 발전과정과 연결시켜 논의하고, 보다 최근 출현한 질적 연구방법의 사례를 분석한다. 이에 따라 학생들은 현장연구와 참여관찰 방법뿐 아니라, 내러티브 연구, 현상학적 연구, 사례 연구, 근거 이론을 이해하고, 보다 최근의 질적연구방법으로 사진, 영상, 디지털(가상영역) 애스노그래피가 발전해 온 과정을 이해한다. 수업 말미에는 질적연구방법을 활용한 연구계획서를 작성하고 이를 발표, 토론하는 시간을 가진다.전선 / 학사
이 과목에서는 식품영양학과 학부생들이 식품영양학과 교수의 지도하에 연구를 수행하거나 연구 분야에 필요한 능력을 배양하거나 식품영양산업 분야의 기업, 연구 기관, 정부 및 국제기관 등에서 관련 업무에 참여하여 실제 산업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기술과 정보를 습득한다. 이 과목을 통해 학생들은 산업현장의 이해 또는 식품영양 과학 연구의 업무 능력을 배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