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환경설계학과
전지구적 생물다양성 위기에 따라 생물다양성 보전의 중요성이 지역적 차원에서도 날로 커지고 있다. 따라서 신규 개발사업은 물론 기존의 환경관리과정에서도 어떻게 그 지역의 생물다양성을 평가할 수 있으며 어떠한 보전·복원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지가 매우 중요하다. 이 과정에서는 보전 대상인 복잡한 생태계를 생물서식지(habitat)의 개념으로 명료하게 치환하여 접근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서식지의 질과 공간특성, 관리계획에 대한 분석적 사고가 요구된다. 본 수업에서는 서식지 생태영향평가 방법론(HEP; Habitat Evaluation Procedure)을 활용하여 대상지의 생물다양성 보전계획을 정량적, 과학적 논거에 기초하여 스스로 생각해보고, 이를 어떻게 합리적으로 설득시킬 수 있을지를 토론하게 된다.체육교육과
본 강의는 한국 스포츠미디어의 역할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수업에서는 먼저 스포츠미디어에 대한 개괄적인 이해를 통해 주요 개념 및 주제들을 살펴보게 될 것이다. 또한 스포츠미디어에서 인종·성별·국가주의· 자본주의/소비자상주의·폭력·스포츠산업 등 다양한 스포츠상황과 관련된 주제들에 대한 이론적 고찰 및 현장적용에 대한 실천적 지식을 습득한다. 스포츠미디어와 한국 스포츠 환경과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통해 학생들은 스포츠의 생성, 역할과 관계 등 스포츠미디어의 일반적인 역할 및 윤리적인 태도에 대한 비판적 접근과 역사적 고찰을 동시에 경험할 수 있으며, 스포츠현장에서의 말하기 및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생명과학부
생명체를 물리학적인 개념에서 해석하고자 하는 시도를 소개한다. 분자수준의 분자생물물리학, 세포수준의 세포생물물리학, 그리고 그 이상의 수준을 다루는 복합계 생물물리학으로 나누어 그 개념들을 소개한다.재료공학부
막대한 자원 및 에너지를 소비하면서 운영되고 있는 현대 문명의 지속 가능성이 위협을 받고 있다. 그렇지만 이를 막거나 멈추기 위해서 무조건적인 사용 억제 정책을 수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러한 문제의 합리적인 해결책을 얻기 위해서, 이 강의에서는 지속 가능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올바른 재료의 선택, 재료의 제조 그리고 재료의 재활용 등 재료의 생애주기를 따라가면서 어떻게 하면 최소의 자원과 에너지 소비 속에서 우리의 문명을 지속시킬 수 있는가 하는 방안을 찾아보고자 한다.보건학과
보건통계학의 기본적인 이론을 이해하고 실습을 통하여서 자료를 수집, 처리, 분석 및 평가하는데 필요한 통계기법을 습득하게 한다. 본 교과목의 내용은 주로 일반통계부문에서 평균치와 산포도, 정규분포 및 그외 여러가지 성질, 카이자승분포, 포아슨분포, F분포와 그의 검정법, 추정법, 분산분석, 상관 및 회귀분석법을 포함한다.에너지자원공학과
다공질 지층 내에 존재하는 유체, 즉 석유, 가스, 그리고 지하수의 개발 및 활용과 관련된 공학적 이론을 다룬다. 구체적으로 다공질 암석의 물리적 성질과 암석내에서 지하유체분포 제어기능, 지하유체의 물리적 특성 및 상거동 등을 학습하며 이와 관련된 실험이 수행된다.수리과학부
생명과학을 전공할 학생을 위한 기초수학 강좌로서 전염병 전염모델의 연립 미분방정식과 축차근사법을 이용한 해 등 자연현상에 나타나는 다양한 생명과학 관련 현상들을 기술하는 미분방정식과 그 해법을 소개한다. 수학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한다.
loading...
자연과학대학 수리과학부 / 학사
2025-2학기
권장 선수과목 의예과신입생세미나(801P.101A) , 유전학(300.310)
생명과학을 전공할 학생을 위한 기초수학 강좌로서 전염병 전염모델의 연립 미분방정식과 축차근사법을 이용한 해 등 자연현상에 나타나는 다양한 생명과학 관련 현상들을 기술하는 미분방정식과 그 해법을 소개한다. 수학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한다.
The math teachers know : profound understanding of emergent mathematics
The math teachers know : profound understanding of emergent mathematics
Introductory modern mathematics for elementary teachers
Introductory modern mathematics for elementary teachers
Lecture notes in mathematics.
Lecture notes in mathematics.
Contests in higher mathematics : Miklós Schweitzer competitions, 1962-1991
Contests in higher mathematics : Miklós Schweitzer competitions, 1962-1991
Third international handbook of mathematics education
Third international handbook of mathematics education
Lecture notes in mathematics.
Lecture notes in mathematics.
Lecture notes in mathematics.
Lecture notes in mathematics.Empowering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in urban schools
Empowering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in urban schools
New directions in mathematics : proceedings
New directions in mathematics : proceedings
From five fingers to infinity : a journey through the history of mathematics
From five fingers to infinity : a journey through the history of mathematics
Assessment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Assessment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Vedic mathematics for schools
Vedic mathematics for schools
How to ace the rest of calculus : the streetwise guide
How to ace the rest of calculus : the streetwise guide
Elementary mathematic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 powerful ideas for teachers
Elementary mathematic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 powerful ideas for teachers
어린이 수학자 : 유치원 교실의 수학 탐구 이야기
어린이 수학자 : 유치원 교실의 수학 탐구 이야기Elements of pre-calculus mathematics
Elements of pre-calculus mathematics
Lecture notes in mathematics.
Lecture notes in mathematics.
Exploratory problems in mathematics
Exploratory problems in mathematics
Creative mathematics : exploring children's understanding
Creative mathematics : exploring children's understanding
Proceedings of symposia in applied mathematics, v.20 = The Influence of computing on mathematical research and education
Proceedings of symposia in applied mathematics, v.20 = The Influence of computing on mathematical research and educationScience and Education
Tosun C.ZDM – Mathematics Education
Clark, Kathleen Michelle; Can, Cihan; Barnett, Janet Heine; Watford, Mark; Rubis, Oksana MelissaSAGE Open
Al-Bogami B.,Elyas T.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 in Mathematics, Science and Technology
Gökçe S.,Güner P.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최근배Informal Logic
Rapanta C.教师发展研究 / TEACHER DEVELOPMENT RESEARCH
张倩; 陈晓宇; ZHANG Qian; CHEN Xiao-yu创新创业理论研究与实践 / The Theory and Pracice of Innovation And Entreptrneurship
章培军; 王震; 惠小健; 李建全; 李建辉; 任水利; 吴静; ZHANG Peijun; WANG Zhen; XI Xiaojian; LI Jianquan; LI Jianhui; REN Shuili; WU JingScience and Education
Larison K.D.Notice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Thompson, D.J.成才之路 / The Road to Success
朱燕芳; Zhu Yanfang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장위신, 송선희Journal of Student Affairs Research and Practice
Dorimé-Williams, Marjorie L.; Williams, Michael Steven; Carr, Amanda; Choi, Soobin; Fritz, N'ya; Joseph, Tricia; Pomilee, Brittany; Udoh, Ekaete鞍山师范学院学报 / Journal of Anshan Normal University
王莹; 康宝林; 刘兵; 张玉娟; WANG Ying; KANG Baolin; LIU Bing; ZHANG Yujuan菏泽学院学报 / Journal of Heze University
陈雯雯; 王兵; CHEN Wen-wen; WANG BingScandinavi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Jónsdóttir H.H.,Blöndal K.S.数学教育学报 / Journal of Mathematics Education
邵贵明; 胡典顺; 柳福祥; SHAO Gui-ming; HU Dian-shun; Liu Fu-xiangDoklady Mathematics
A. L. SemenovEurop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Christiansen I.M.,Erixon E.L.한국어교육
오선경, 박정은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대학원
이 교과는 교육정책에 관하여 석사 또는 박사학위 논문을 쓰고자 하는 학생들을 위한 강좌이다. 강의에서는 교육정책 결정, 집행 및 평가 등에 관한 전반적인 개괄과 더불어 학생들이 선정한 구체적인 정책과제를 집중적으로 분석한다. 따라서 이 수업을 수강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관심있는 정책을 사전에 선정하여 수업에 참여하여야 한다. 수업시간에는 선정된 교육정책의 역사적 경과를 비롯하여, 이론적 배경, 정책의 결정 및 집행에 관여하는 다양한 이해관계자 등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분석하게 된다.전선 / 대학원
미리 정해진 부제와 관련된 내용을 학습한다.전선 / 대학원
박사과정 지휘전공 마지막 학기 재학생을 위한 과목으로서 전문연주단체 지휘 실적 심사를 통해 전문 지휘자로서의 능력을 검증한다.전필 / 학사
모든 공학의 기초가 되는 수학의 응용분야로서, 공학에 널리 쓰이는 수학의 제반원리 및 응용을 교육하는 과목이다. 미분방정식, 행렬방정식, 라플라스 변환 및 복수함수의 해석, 편미분 방정식과 푸리에 급수 등 공학전반에 걸쳐 응용에 필요한 수학의 해석 기법을 익힌다.교양 / 학사
모든 공학의 기초가 되는 수학의 응용분야로서, 공학에 널리 쓰이는 수학의 제반원리 및 응용을 교육하는 과목이다. 미분방정식, 행렬방정식, 라플라스 변환 및 복수함수의 해석, 편미분 방정식과 푸리에 급수 등 공학전반에 걸쳐 응용에 필요한 수학의 해석 기법을 익힌다.교양 / 학사
이 과목은 자연계열 학생들을 위한 수학과목 <미적분학 1>의 내용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문제해결 능력 및 수학적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수학적인 아이디어를 실제 문제에 적용하고 그 결과 및 과정을 동료들과 공유하는 과정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기초 수학의 지식을 견고히 한다.전선 / 대학원
학교수학의 수학적, 철학적, 수학사적, 심리학적, 교육학적 바탕을 분석하고 새로운 교재를 개발한다.전선 / 학사
이 강좌는 미래 러시아어교사들을 위한 교직과목으로 러시아어로 생각하는 능력과 논술을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문화적 차이에 따른 논리적 사고의 차이와 글쓰기에 나타나는 양상을 다각적으로 검토하여 러시아어를 배우는 학생들에게 예비 러시아어교사들이 러시아어와 한국어의 사고와 언어의 차이를 잘 설명하고 지도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전선 / 학사
치의과학 자율연구 및 실험연구 1 수강생 중, 지속적 연구를 희망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겨울방학 계절학기 강좌로 치의과학 실험연구 2를 개설하여 학생들에게 연구 기회를 제공한다. 본 강좌를 통하여, 학생들은 학기 중 치의과학 자율연구를 통하여 수행한 연구 주제를 더욱 발전시켜 심화된 연구를 수행하여 자기주도형 학습과 연구 능력을 습득한다. 또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 논문을 작성토록 지도하여 독립적 연구 능력을 갖춘 연구자로 교육시킨다.교양 / 학사
이 과목은 이공계열 신입생을 위한 기초 수학과목 <수학 1>의 내용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문제해결 능력 및 수학적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수학적인 아이디어를 실제 문제에 적용하고 그 결과 및 과정을 동료들과 공유하는 과정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기초 수학의 지식을 견고히 한다.전선 / 대학원
이 과목은 효율적인 가정과 교육을 위해 필요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능을 습득하는 것과, 이러한 지식과 기능을 학생들에게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교수법에 대한 이론들을 학습하고, 이를 실질적인 교육환경에 적용해 보는 연습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교사가 갖추어야 하는 자질을 탐구하고 특히 가정과 교육교사로서의 전문성과 교육태도를 갖출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교양 / 학사
“인문사회계를 위한 물리학”은 단학기 과목으로 대학 교양 ‘물리학 1,2’의 기본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인문사회 및 예체능 계열 학생들의 지적 호기심을 유발하는 주제를 통해 물리학적 사고력 훈련과 자연과학의 이해를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험을 통한 개념 습득을 위한 실험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고등학교 ‘수학 1’ 수준의 수학에서 출발하여 물리적 개념의 이해를 통한 고급 수학에 접근하는 단계적 접근을 시도하며, 물리적 개념을 이해를 돕기 위한 데모 장비와 비디오 자료 등을 적극 활용한다.전선 / 학사
수학 교육과정은 수학적 지식의 이해 혹은 수학적 방법을 파악하는 것만으로 국한되지 않고 수학의 가치와 역할을 이해하는 것 또한 중요한 요소로 포함한다. 특히 현대 첨단과학에서의 수학의 역할을 교육적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시도가 큰 의미를 갖는다. 본 교과목에서는 현대 첨단과학의 정수라 할 수 있는 양자 이론의 수학적 구조에 관련한 내용 지식을 예비 수학 교사들을 위해 다루고, 또한 이러한 맥락에서의 수학의 가치와 역할을 조명하고자 한다.전선 / 학사
본 강좌에서는 러시아 문학 작품들중 명문으로 꼽히는 일부 텍스트들을 선별하여 강독하게 된다. 학생들은 이 수업을 통해 러시아 문학 작품을 원문으로 직접 대할 수 있는 기회를 접할 수 있고, 아울러 러시아어 독해 실력도 향상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