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환경설계학과
전지구적 생물다양성 위기에 따라 생물다양성 보전의 중요성이 지역적 차원에서도 날로 커지고 있다. 따라서 신규 개발사업은 물론 기존의 환경관리과정에서도 어떻게 그 지역의 생물다양성을 평가할 수 있으며 어떠한 보전·복원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지가 매우 중요하다. 이 과정에서는 보전 대상인 복잡한 생태계를 생물서식지(habitat)의 개념으로 명료하게 치환하여 접근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서식지의 질과 공간특성, 관리계획에 대한 분석적 사고가 요구된다. 본 수업에서는 서식지 생태영향평가 방법론(HEP; Habitat Evaluation Procedure)을 활용하여 대상지의 생물다양성 보전계획을 정량적, 과학적 논거에 기초하여 스스로 생각해보고, 이를 어떻게 합리적으로 설득시킬 수 있을지를 토론하게 된다.체육교육과
본 강의는 한국 스포츠미디어의 역할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수업에서는 먼저 스포츠미디어에 대한 개괄적인 이해를 통해 주요 개념 및 주제들을 살펴보게 될 것이다. 또한 스포츠미디어에서 인종·성별·국가주의· 자본주의/소비자상주의·폭력·스포츠산업 등 다양한 스포츠상황과 관련된 주제들에 대한 이론적 고찰 및 현장적용에 대한 실천적 지식을 습득한다. 스포츠미디어와 한국 스포츠 환경과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통해 학생들은 스포츠의 생성, 역할과 관계 등 스포츠미디어의 일반적인 역할 및 윤리적인 태도에 대한 비판적 접근과 역사적 고찰을 동시에 경험할 수 있으며, 스포츠현장에서의 말하기 및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생명과학부
생명체를 물리학적인 개념에서 해석하고자 하는 시도를 소개한다. 분자수준의 분자생물물리학, 세포수준의 세포생물물리학, 그리고 그 이상의 수준을 다루는 복합계 생물물리학으로 나누어 그 개념들을 소개한다.
loading...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 학사
2025-2학기
권장 선수과목 생명과학과 미래설계(M1410.000400) , 생명과학특수연구 1(3346.328)
생명체를 물리학적인 개념에서 해석하고자 하는 시도를 소개한다. 분자수준의 분자생물물리학, 세포수준의 세포생물물리학, 그리고 그 이상의 수준을 다루는 복합계 생물물리학으로 나누어 그 개념들을 소개한다.
블랙홀 전쟁 : 양자 역학과 물리학의 미래를 둘러싼 위대한 과학 논쟁
블랙홀 전쟁 : 양자 역학과 물리학의 미래를 둘러싼 위대한 과학 논쟁Six ideas that shaped physics.
Six ideas that shaped physics.
The cosmology of extra dimensions and varying fundamental constants : a JENAM 2002 workshop, Porto, Portugal, 3-5 September 2002
The cosmology of extra dimensions and varying fundamental constants : a JENAM 2002 workshop, Porto, Portugal, 3-5 September 2002
The Ubiquitous photon : helicity method for QED and QCD
The Ubiquitous photon : helicity method for QED and QCD
Black holes, cosmology and extra dimensions
Black holes, cosmology and extra dimensions
Mastering physics
Mastering physics
Experimental nuclear physics.
Experimental nuclear physics.
Lectures on string theory
Lectures on string theory
Dance of the Photons : From Einstein to Quantum Teleportation.
Dance of the Photons : From Einstein to Quantum Teleportation.
Galaxies and the universe
Galaxies and the universe
Neutron inelastic scattering : proceedings of a Symposium on Neutron Inelastic Scattering held by the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in Copenhagen, 20-25 May, 1968.
Neutron inelastic scattering : proceedings of a Symposium on Neutron Inelastic Scattering held by the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in Copenhagen, 20-25 May, 1968.
An approach to Aristotle's physics :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the role of his manner of writing
An approach to Aristotle's physics :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the role of his manner of writing
Astrophysics of gaseous nebulae and active galactic nuclei.
Astrophysics of gaseous nebulae and active galactic nuclei.
The mechanical universe : mechanics and heat
The mechanical universe : mechanics and heat
Supersymmetry and supergravity '82 : proceedings of the Trieste September 1982 school
Supersymmetry and supergravity '82 : proceedings of the Trieste September 1982 school
XIth International Congress of Mathematical Physics
XIth International Congress of Mathematical Physics
Introduction to special relativity
Introduction to special relativity
The atom and the apple : twelve tales from contemporary physics
The atom and the apple : twelve tales from contemporary physics
Theory and experiment in gravitational physics
Theory and experiment in gravitational physics
Man's relation to the universe
Man's relation to the universeClassical and Quantum Gravity
Imseis M.T.N.,Al Balushi A.,Mann R.B.Journal of High Energy Physics
Stremmer D.,Worek M.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Bezuidenhout M.C.,Barr E.,Caleb M.,Driessen L.N.,Jankowski F.,Kramer M.,Malenta M.,Morello V.,Rajwade K.,Sanidas S.,Stappers B.W.,Surnis M.Physical Review D
Dhanuka A.,Lochan K.npj Quantum Information
Purkayastha A.,Guarnieri G.,Mitchison M.T.,Filip R.,Goold J.Astrophysical Journal
Birky J.,Hogg D.W.,Mann A.W.,Burgasser A.Journal of High Energy Physics
Baberuxki N.,Preuss C.T.,Reichelt D.,Schumann S.Physical Review A
Kale, Anant; Huhn, Jakob Hendrik; Xu, Muqing; Kendrick, Lev Haldar; Lebrat, Martin; Chiu, Christie; Ji, Geoffrey; Grusdt, Fabian; Bohrdt, Annabelle; Greiner, MarkusAstrophysical Journal, Supplement Series
Yoneta K.,Murakami N.,Koike R.,Nishikawa J.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Shahbaz T.,Linares M.,Rodríguez-Gil P.,Casares J.Journal of High Energy Physics
Perez-Sanchez C.I.European Physical Journal C
Breev A.I.,Gavrilov S.P.,Gitman D.M.European Physical Journal C
Yu M.H.,Ge X.H.Experimental Astronomy
K. K. Singh; V. K. Dhar; P. J. MeintjesEuropean Physical Journal: Special Topics
D’Arrigo A.,Falci G.,Paladino E.The European Physical Journal Plus
Petrov, A. N.Physical Review D
Hendi S.H.,Jafarzade K.Applied Physics B
Minjie Wang; Shengzhi Wang; Zhongxiao Xu; Tengfei Ma; Ya Li; Shujing Li; Hai WangPhysics Letters, Section B: Nuclear, Elementary Particle and High-Energy Physics
Hautmann F.,Scimemi I.,Vladimirov A.Nuclear Physics B
Kanzi S.,Sakallı İ.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대학원
물리천문학부 대학원 석ㆍ박사과정 학생들의 공통과목으로 물리천문학부 석ㆍ박사 교육과정에서의 필요에 따라 운영된다. 양자광학, 양자혼돈, 나노유체, 양자정보, 초유동 원자기체 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다.전선 / 학사
본 강좌는 고대 그리스 이후 20세기 전반에 이르기까지의 물리학의 역사적 발전과정을 그 주요 개념을 중심으로 개관한다. 고대 그리스에서 중세까지의 우주관과 운동론, 중세 이후의 천문학 혁명과 운동학의 발전, 뉴턴에 의한 역학혁명의 완성, 멕스웰의 전자기학 통합, 에테르 이론과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 양자역학의 성립과 코펜하겐 해석 등이 그 주요 내용에 해당한다. 이러한 물리학 개념의 역사적 발전과 함께, 관찰과 이론의 관계, 경쟁 이론간의 선택, 실재론과 도구주의, 과학적 설명과 해석의 문제 등 과학철학의 제 문제들을 물리학의 역사적 맥락 속에서 다루게 될 것이다.전선 / 학사
원자핵의 구성 및 핵력의 주요 특성, 그리고 소립자들의 종류 및 그 상호작용에 관한 이론의 골격, 특히 대칭성 및 대칭성의 깨짐을 다루며 구체적으로는 핵.입자물리의 기본언어, 핵.입자 실험장치 및 방법, 핵모형 및 핵력, 렙론의 상호작용, 하드론의 상호작용, 기본 힘의 통일에 관한 최근 이론 등을 포함한다.전선 / 학사
이 과목에서는 양자역학의 기초 및 응용을 강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통계역학의 기본적 내용을 설명한다. 즉, 파동과 입자의 양면성에 대한 설명에서 시작하여 슈뢰딩거 방정식을 기초로 터널링 현상, 수소원자, 분자의 에너지 준위, 섭동이론, 빛과 원자의 상호작용 및 레이저 등을 강의하고, 반도체와 광학의 이해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통계역학의 기본 개념과 기본적 에너지 띠 이론을 강의한다.전선 / 학사
현대 우주론의 핵심 내용을 소개한다. 우주론 이해에 필요한 개념을 학습하고 이론과 관측 양면에서 최근에 밝혀진 우주론의 연구 결과를 학습한다. 주요 주제는 우주의 구조와 역학적 상태, 우주의 구성 성분, 거대 구조의 형성 과정,은하의 형성과 진화, 우주배경복사의 특성 등이다.전선 / 대학원
이 교과목은 <양자역학 1, 2> 수강을 마친 학생들을 대상으로 상대론적 양자론 및 이차양자화 등 고급 양자역학의 개념을 제공하고 다체계 이론과 기본적 응용을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요 주제는 상대론적 라그랑지안과 디락 방정식, 광자, 게이지장, 베리 위상, 이차양자화, 비상대론적 양자장론, 하트리-포크 이론, RPA, 그리고 페르미 액체이론 등을 포함한다. (※ 수강을 원하는 학생은 <양자역학 1, 2> 및 <통계역학>에 대한 사전 지식이 필요하다.)전선 / 대학원
이 교과목은 응집물질물리학의 핵심 개념을 소개하는 대학원 입문 과목의 2학기 중 첫 번째로 응집물질의 다양한 물리적 성질을 물리학의 기본 원리에서 출발하여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과목에서 다루는 주요 주제는 격자 구조, 격자 진동, 전자 띠, 금속, 반도체 등을 포함한다. (※ 수강을 원하는 학생은 <양자역학 1, 2> 및 <통계역학>에 대한 사전 지식이 필요하다.)교양 / 학사
인문·사회 계열 또는 일부 자연계열 학생들을 위해 물리학에 관한 기초 및 교양을 제공하는 단학기 과목으로 물리학 전반에 걸쳐 기본적인 내용을 배운다. 특히 물질세계에 대해 과학적 시야를 갖도록 힘과 운동, 중력, 파동, 전기 및 자기현상, 원자세계의 양자이론 등 물질세계의 특성을 쉽게 다룬다.전선 / 대학원
전파천문학 분야에서 흥미로운 주제를 선정하여 한학기 동안 강의와 토의로 진행한다. 전파천문학 강좌를 수강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다.전선 / 대학원
우주에 존재하는 별이나 은하는 중력에 의해 가장 많은 영향을 받는다. 이들 천체에 적용되는 중력 법칙은 이미 잘 알려진 뉴튼 역학이지만, 많은 별이나 은하가 포함되어 있는 '다체계'에서는 역학 방정식의 해를 직접 구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통계적인 방법이 널리 쓰이고 있으며 최근에는 고속 컴퓨터를 이용한 수치 적분도 이루어지고 있다. 이 강좌에서는 다체계에 적용할 수 있는 통계적 방법론을 소개하고 이를 이용한 은하나 성단의 구조, 역학적 안정성, 그리고 이들 천체의 역학적 진화를 공부한다. 항성계를 연속된 질량 분포를 가지는 계로 간주하여 별의 운동을 몇개의 물리량에 의해 결정되는 궤도로 대변하며, 중력 포텐셜 모양에 따른 궤도의 특징을 이해한다. 항성계가 만족해야 하는 무충돌 볼츠만 방정식을 도입하여, 여기서부터 얻어지는 항성계의 역학적 특성을 논한다. 가스 역학에서 사용하는 운동 이론을 이용해 항성계의 역학적 진화를 알아본다. 마지막으로, 이들 원리를 관측된 항성계에 적용하여 필요한 물리량을 도출하는 방법을 공부한다.전선 / 학사
이 교과목의 목적은 수리과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수학적 엄밀성을 기반으로 물리학의 근간을 이루는 고전역학, 전자기학, 양자역학, 열역학 및 통계역학을 소개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앞으로 선택하게 될 수학의 세부 전공분야에서 등장하는 물리학적인 요소에 대한 전반적인 통찰을 얻고 연구의 기반 동력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교양 / 학사
본 교과목은 <물리학 2>의 내용을 다루되 좀 더 심화된 수준에서 다룬다. 다룰 내용으로는 쿨롬의 법칙, 가우스의 법칙, 정전기장 및 포텐셜, 정전 에너지, 축전기, 전류, 자기장, 암페어의 법칙, 패러데이의 유도 법칙, 맥스웰 방정식 및 전자기파, 광학, 상대론 및 현대물리에 관한 소개 등을 포함한다. 본 교과목은 물리학 2의 내용 중 기본적인 부분에 어느 정도 익숙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다.전선 / 대학원
이 교과목에서는 자기유체역학을 활용하여 성간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성격의 기체 동력학적 현상을 분석함으로써 성간 매질의 공간 분포와 대순환의 얼개를 이해한다. 초반부에서 MHD의 기본 원리, MHD 비리알 정리, 에너지 원리 분석법, 충격파, 자화 기체 평판의 평형, 성간운의 평형 구조 등을 학습하여 기초를 다진 다음, 중반부에서 대류, 열적, 지인즈, 파커 불안정 등을 분석한다. 종반부에서 폭발파와 초신성 잔해, 전리 전선과 HII 영역의 팽창, 중력 수축과 항성 생성 등을 다룬다.전선 / 대학원
핵 또는 입자물리학에 관련된 내용의 대학원 석ㆍ박사과정 공통과목으로 물리학과의 석ㆍ박사 교육과정에 유용한 주제를 다룬다. 구체적인 교과 내용은 교육과정상의 필요에 따라 바뀌게 된다.전필 / 학사
천문학을 배우려는 학생들에게 이 강좌를 통하여 천문학의 기본개념을 명로하게 제시하여 주고, 더 높은 수준의 연구를 하는데 바탕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한다. 천체 역학, 천체물리, 태양계, 항성, 은하, 우주론등의 내용을 통해서 다양한 천문학의 분야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진다. 수학적, 물리적인 지식을 기본으로 하여 천문학에 대한 지식을 심화시킬 수 있고, 이론의 습득과 함께 천문학의 각종 자료를 가지고 결과를 도출해보는 실험을 수행하고 직접 망원경관측을 통해 천체를 관측한다.전선 / 학사
DNA, RNA, 단백질, 세포막 등 세포를 이루는 주요 구성성분은 모두 무른 물질(soft matter)로 이루어져 있다. 무른 물질계는 고체물리 교과과정에서 전통적으로 다루어지는 물질계와 구별되는 고유한 특성을 보인다. 이 교과목은 생명현상의 물리적 기초를 정립할 수 있도록 세포 내 생명현상을 중심으로 연성물리의 기본 개념을 가르치는 것을 목표로 한다.전선 / 대학원
나선은하인 우리은하의 내부구조와 성분을 학습한다. 또 외부은하의 형태와 물리·화학적 성질, 거리 측정법, 공간 군집도 등을 배운다. 나아가 은하군, 은하단, 초은하단, 우주거대구조, 그리고 고 적색이동 천체들의 물리적 성질을 개관한다. 표준우주모형을 학습하고, 우주모형에 따른 공간과 물질과 물질요동의 기원·진화를 학습하고 관측과 비교한다. 우주기원, 초기우주의 진화, 급팽창가설, 차가운 암흑물질, 중력 불안정성에 의한 천체 생성론, 우주배경복사 등 현대 우주론의 핵심 내용을 이해한다.전선 / 대학원
일반상대론의 개념적, 물리적, 그리고 수학적 기초를 배운다, 주요 내용은 굽은 시공간에서의 물리 및 수학적 기술방법, 아인슈타인 장 방정식과 중요한 물리적 결과, 우주론에의 응용 등이다.전선 / 대학원
DNA, RNA, 단백질, 세포막 등 세포를 이루는 주요 구성성분은 모두 무른 물질(soft matter)로 이루어져 있다. 무른 물질계는 고체물리 교과과정에서 전통적으로 다루어지는 물질계와 구별되는 고유한 특성을 보인다. 이 교과목은 생명현상의 물리적 기초를 정립할 수 있도록 세포 내 생명현상을 중심으로 연성물리의 기본 개념을 가르치는 것을 목표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