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체육교육과
이 강좌에서는 장애인 체육의 다양한 이론들을 바탕으로 하여 현재 장애인 체육의 다양한 이론들을 바탕으로 하여 현재 장애인 체육의 흐름을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국내외 장애인 체육 저널 및 논문을 소개하는 것 뿐만 아니라 토론을 통해 장애인 체육의 새로운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기회 또한 제공하고자 한다물리·천문학부
이 교과목에서는 학생들이 실제로 실험을 통하여 자연의 다양한 현상을 탐색하고, 또 주위에서 일상적으로 일어나는 일 뒤에 숨어있는 물리 법칙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 다른 목적은 물리, 자연과학, 공학 등 관련 분야의 학생들에게 실험실에서의 종합적인 경험을 갖게 하는 것이다. 이 교과목에서는 힘과 운동, 에너지, 파동, 그리고 열 현상 등과 관련된 실험을 주로 다룬다.경영학과
본 과목은 회계원리를 수강한 학생들을 위하여 중급재무회계의 다양한 주제들을 강의한다. 먼저, 자산, 부채 및 주주지분과 관련한 회계절차를 살펴본 후, 리스회계, 법인세회계, 회계변경 및 오류수정, 현금흐름표, 파생상품회계 등과 같은 특수주제도 다루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과목은 기업이 재무정보를 창출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당면하는 의사결정의 문제와 이슈도 다룬다. 본 과목을 이수한 학생은 수업 중에 다루었던 문제와 이슈들을 완전히 이해하여, 재무제표를 해석하고 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찾아낼 수 있어야 한다. 또, 逆으로 재무자료가 주어지면, 이를 이용하여 재무제표를 작성할 수도 있어야 한다. 아울러, 습득한 회계이론과 개념을 말과 글로 자신 있게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물리·천문학부
우주를 구성하는 기본 단위인 은하의 세계와 우주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학습하여 올바른 현대적 우주관을 배양한다. 우리 은하의 구조 및 진화, 정상은하의 특성, 퀘이사와 활동은하의 본질, 우주의 거대구조, 우주의 팽창과 나이, 우주배경복사, 우주론 등을 학습한다. 현대천문학에서 중요한 연구과제인 중력렌즈와 아직도 정체가 명확히 밝혀지지 않고 있는 암흑물질 등을 소개한다.화학생물공학부
이 강의에서는 화학 반응 현상을 이해시켜 최종적으로는 반응기를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화학 반응 전후의 물질수지, 반응물질의 전환율과 반응기 크기의 결정 방법, 화학양론과 반응속도와의 관계 등을 배운 다음 온도가 일정한 상태로 운전되는 회분반응기, 혼합조반응기 및 관형반응기의 설계법, 실험실 규모의 반응기로부터 반응기 설계에 필요한 반응 속도 정수 및 반응차수를 구하는 방법 등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배운다. 마지막으로 촉매를 사용하는 불균일계 반응계에서 흡착, 표면반응 및 탈착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고 실험을 통해 반응기 설계 자료를 구하는 방법, 촉매반응기의 종류 및 기초설계 방법 등에 대하여 이해시킨다.화학생물공학부
본 학부와 관련된 학계 및 산업계에 종사하는 외부인사를 초청하여 강연하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이 연사와 접촉할 수 있는 기회를 증대시키고 학생들의 발표력 향상과 장래의 진로 결정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물리·천문학부
자연과학 또는 공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물리학의 기본적인 내용을 터득케 하는 과정으로서 중력, 물체의 운동, 에너지, 파동, 열현상 등에 연관된 물질세계의 특성에 대해 물리학적 접근 방법을 배운다. 이공계 학생들에게 공통적으로 필요한 기초교과목으로서의 성격을 강조한다.
loading...
약학대학 / 대학원
2025-2학기
권장 선수과목 약물동태학특강(375.827) , 보건통계학개론(900.579A)
생명약학 분야에서 연구에 종사하게 될 대학원생들이 이 분야에 관한 최근 연구동향의 파악, 연구수행 수립방법의 숙지, 연구결과의 발표 문안작성 연습 및 세미나 방식의 전문지식 발표 능력을 함양할 목적으로 진행되는 본 과목에서는 내외 학자들의 초청 강연 청취와 아울러 관련분야의 학술지 등을 기준으로 학생 개개인의 발표와 요약문 작성을 주로 실시한다.
아동의 성장발달과 간호
아동의 성장발달과 간호
Community health nursing practice
Community health nursing practice
성인간호학 =
성인간호학 =
지역사회간호학 : 이론과 실제 =
지역사회간호학 : 이론과 실제 =
Pharmacy and the law
Pharmacy and the law
간호지도자론
간호지도자론
Pharmaceutical care
Pharmaceutical care
The Art and science of nursing
The Art and science of nursing
The Lippincott manual of nursing practice.
The Lippincott manual of nursing practice.
Hospice and palliative care for companion animals : principles and practice
Hospice and palliative care for companion animals : principles and practice
Nutritional foundations and clinical applications : a nursing approach
Nutritional foundations and clinical applications : a nursing approachEducation for nursing leadership
Education for nursing leadership
성인간호학
성인간호학
Situation specific theories : development, utilization, and evaluation in nursing
Situation specific theories : development, utilization, and evaluation in nursing
Lippincott manual of nursing practice
Lippincott manual of nursing practice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Pharmacy
Diab M.I.,Ibrahim A.,Abdallah O.,El-Awaisi A.,Zolezzi M.,Ageeb R.A.,Elkhalifa W.H.I.,Awaisu A.취업진로연구
안성식, 박인숙The Indian journal of tuberculosis
Gopi R; Pankaj SB; Rajanandh MGAmerican journal of health-system pharmacy : AJHP : official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Baron K; Herbst J; McNicol M; Stephan E; Abdel-Rasoul M; Wise KHeliyon
Amarneh B.H.,Al Nobani F.HEALTHCARE
Pereira, Filipa; Querido, Ana; Verloo, Henk; Bieri, Marion; Laranjeira, CarlosNursing Open
Tomotaki A.,Sakai I.,Fukahori H.,Tsuda Y.,Okumura-Hiroshige A.Pharmacy Practice
Yande S.D.,Masurkar P.P.,Gopinathan S.,Sansgiry S.S.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Wilbeck J.,Nelson B.,May E.,Moss C.,Steanson K.Surgical endoscopy
Kondo A; Tamate M; Nishihara Y; Watanabe YQualitative Health Research
Pakhomova T.E.,Nicholson V.,Fischer M.,Ferguson J.,Moore D.M.,Salters K.,Lester R.T.,Kremer H.,Dawydiuk N.,Barrios R.,Parashar S.The Journal of pharmacy technology : jPT : official publication of the Association of Pharmacy Technicians
Ching D; El-Khatib H; Pattin AJResearch in Social and Administrative Pharmacy
Rimal R.,Lin J.,Yan Chan A.H.,Chen T.F.,Sheridan J.,Sundram F.International Nursing Review
Khodayarimotlagh Z.,Ahmadi F.,Sadooghiasl A.,Vaismoradi M.Inquiry: The Journal of Health Care Organization, Provision, and Financing
Abdualrahman Saeed Alshehry PhD, RNCritical Care Medicine
Janczewski L.M.,Chandrasekaran A.,Abahuje E.,Ko B.,Slocum J.D.,Tesorero K.,Nguyen M.L.T.,Yang S.,Strong E.A.,Bhakta K.,Huml J.P.,Kruser J.M.,Johnson J.K.,Stey A.M.Exploratory Research in Clinical and Social Pharmacy
Gavaza, Paul; Rawal, Bhaktidevi M.; Taylor, Elizabeth JohnstonChild Care in Practice
Lotty M.,Bantry-White E.,Dunn-Galvin A.European Journal of Public Health
Psaroudakis I.,Quattrone F.,Tavoschi L.,De Vita E.,Cervia S.,Biancheri R.,Lopalco P.L.Journal of Multidisciplinary Healthcare
Walton V.,Hogden A.,Long J.C.,Johnson J.K.,Greenfield D.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학사
본 교과목은 기본 필수실무실습을 이수한 학생들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심화실습 과정으로, 학생들은 약과학 또는 임상약과학 트랙 중 하나의 트랙을 선택하여 보다 전문적인 실무실습을 수행한다. 약과학 트랙에서는 기초약학 분야에 대한 심도있는 심화연구실습을 수행하게 되고, 임상약과학 트랙에서는 약무현장에서 환자의 약물요법과 관련한 전문적인 임상지식 및 기술과 관련된 심화실무실습을 수행하게 된다.전필 / 학사
본 과목은 4주(160 시간) 동안의 병원약국 실무실습을 통하여 약학적 지식을 적용하여 약학적 문제를 해결하고 환자의 치료향상에 요구되는 효율적인 의사결정과정을 습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학생들은 본 실습동안 입원과 외래환자의 처방검토, 조제, 복약지도 업무와 주사제 처방 및 조제, 의약정보, 약무행정 등의 경험을 통하여 약학대학을 졸업하고 진출하는 의료기관에서의 약사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지식, 기술 및 태도를 연마한다.전선 / 대학원
이 교과목의 목표는 치과 진료 기관에서 인적자원(치과의사, 치위생사, 간호조무사, 치기공사, 기타 직원 등)을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교육, 관리하는 데 필요한 이론 및 방법을 탐구하는 것이다. 학생들은 치과 개인 클리닉에서부터 보다 큰 조직에 이르기까지 인적자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인적자원의 선발, 배치, 관리, 개발 및 평가에 대한 원칙, 전략 및 방법을 배우고 더불어 조직의 리더로서의 리더십을 함양하게 될 것이다.전선 / 대학원
약료란 환자의 안전하고 효과적인 약물요법을 위해서 약사가 제공하는 모든 활동을 일컫는다. 약사는 다양한 영역에서 약료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며, 의료기관 및 지역약국 모두에서 입원 및 외래 환자 대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본 강의에서는 약물요법관리를 포함하여 국내외 제공되는 다양한 약료서비스를 살펴보고, 약료서비스 개발, 환자중심의 약료서비스를 위한 주요 구성요소, 철학, 약료서비스의 가치를 포함하여 약료서비스와 관련된 이슈를 다룸으로써 국내 약사직능의 체계적인 약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 지식과 전망을 제시한다.전필 / 학사
본 과목에서는 신약 및 의약품의 개발과 의약품 행정업무에서의 약사의 역할을 경험하고 이해하기 위하여 4주 동안 총 150시간을 실습시간을 가진다. 학생들은 3주 (120시간)간의 제약회사 실습을 통하여 신제품 연구실무, 신제품 개발실무, 의약품제조 및 질 평가 등의 제약회사 내에서의 약사 실무 및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지식, 기술 및 태도를 습득한다. 또한 1주 (60시간)동안 의약품 행정기관 내에서 의약품안전행정, 약제비 보험행정, 의약품 특허행정, 보건행정 등의 실습을 통하여 의약품 행정기관 내에서의 약사로서 지녀야할 기본 지식, 기술 및 태도를 습득한다.전선 / 대학원
가정방문간호는 지역사회간호 분야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며 앞으로도 고령화와 함께 급격히 확대되어질 분야이다. 미국의 가정방문간호 시스템에 대해 알아보고 한국의 현재 방문 프로그램과 비교해보며, 한국의 가정방문간호를 발전시킬 방안을 모색해보도록 한다. 또한, 다양한 국내외 실제 임상 사례들을 접해보고 비판적 사고를 통해 가정방문간호사로 의사결정과정을 배우도록 한다. 이 과목을 통해 학생들은 가정방문간호의 A 부터 Z 까지, 가정방문간호 체계, 운영, 환자 사정 및 사계관리에 대해 포괄적으로 배울 것이다.전선 / 대학원
보건 의료분야의 기술, 전략과 정책의 가치평가는 효과성에 대항 평가와 더불에 비용과 비용-효과성, 그리고 의료이용의 수준의 변화에 따른 건강지표의 개선과 같은 의료시스템적인 관점의 가치평가와 함께 환자 또는 수혜자 관점에서의 가치평가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본 강좌에서는 보건 의료분야에서의 가치평가에 대한 기본 개념을 소개하고 활용할 수 있는 여러 방법론들에 대한 기본기를 익힌다. 특히 비용 분석, 비용-효과성 분석, 이산선택실험법, 비용 설문의 설계와 분석, 환자 및 기관의 건강보험공단 자료와 같은 보건의료 빅테이터를 활용한 정책 및 기술의 효과 및 의료이용 수준의 변화 분석 등을 검토할 수 있는 이중차분법 및 자료포락분석 방법론들의 개념을 사례들을 중심으로 학습한다.전필 / 대학원
이 교과목은 간호학의 지식개발과 간호실무 향상에 필요한 과학적인 연구방법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넓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간호이론의 검증과 개념에 대한 이해, 간호현장에서의 문제해결을 위한 문헌고찰과 연구설계, 표본추출, 자료수집 및 분석 등의 연구과정을 자신의 연구주제에 적용하여 학습하도록 한다.전선 / 대학원
임상약학을 통해 수행되는 환자의 사례연구, 약물치료 및 임상약학 분야에서 발표되는 새로운 정보를 발표, 논의하고, 최신 약물치료에 대한 특수과제를 수행하므로 임상약학지식의 응용능력 향상과 학술발표 능력을 연마한다.전선 / 대학원
본 교과목은 재가종양환자에게 적합한 이론과 지식을 실무에 적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궁극적으로는 암환자와 생존자에게 필요한 증상 관리와 같은 신체적 간호 뿐 아니라 심리사회적 간호에 대한 실습을 포함한다. 이를 위한 대상자에 대한 이해와 병원의 가정간호와 지역사회 보건소를 통한 가정간호 중재를 살펴, 바람직한 재가암환자 가정간호를 계획하고 병원과 지역사회의 연결을 통한 종양 상급실무간호의 확대를 모색한다.전선 / 대학원
본 과목은 1) 노인 친화적인 환경의 개념을 이해하고, 노인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위험요인을 고찰한다, 2) 물리적, 사회적, 문화적 측면에서 노인의 환경을 평가하는 방법과 도구를 파악하고, 노인이 접근 가능하고 포용적인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보편적 디자인과 서비스 디자인의 원칙과 적용에 대해 논의한다, 3) 가정, 지역 사회 및 병원 환경에서 노인의 건강과 기능을 증진하기 위한 근거기반 간호 중재를 탐색하고 개발한다. 4) 고령 친화적인 환경을 조성하고 노인의 삶의 질의 증진을 위해 간호사의 역할의 중요성과 다학제간 협력을 논의한다. 5) 노인 친화적인 환경과 관련된 윤리적 및 법적 고려 사항과 더불어 다양한 문화적, 사회적 맥락에서 고령 친화적인 환경을 이해하고 이슈와 도전에 대해 논의한다.전선 / 대학원
시장경제의 기본원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민간의료를 근간으로 하고 있는 우리나라 보건의료 체계의 특성과 의료체계의 핵심적 구성요소인 간호인력 및 간호서비스에 대한 정책적 효과를 경제학적 분석도구에 의해 분석하고, 간호인력의 활용을 통해 보건의료체계의 성과를 제고할 수 있는 바람직한 정책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전선 / 대학원
이 교과목은 노인과 장애인을 중심으로 ‘지역사회 중심의 건강한 노화(Healthy Aging in Place)’를 위한 여러 국가들의 돌봄정책을 고찰하여, 우리나라 지역사회 돌봄정책과 지역사회 간호정책의 방향성을 논의하고자 한다. 특히 국가보건의료체계와 복지체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이용자 중심의 돌봄체계 구축을 위해 돌봄과 관련한 인력, 재정, 거버넌스 등 관련 정책에 대한 총체적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전선 / 학사
본 강좌는 약학분야의 연구에서 통계학적 방법이 적용된 사례를 중심으로 가설 검증, 결과 보고 및 분석, 통계학적 해석에 대하여 학습함.전선 / 대학원
대학원 약학과 석사과정 세미나 과목으로서 대학원생들의 전공 분야에 대한 최신 연구 동향의 파악을 위한 연구 논문의 이해 및 토론을 주된 학습 내용으로 한다. 필요에 따라 이 분야 권위자 또는 외국인 교수들의 초빙을 통해 지식 습득을 도모하며 대부분의 경우 대학원생 각자의 논문 숙독, 요약, 토론, 질의 및 답변을 통해 대학원 과정에서 소요되는 독자적 전문 지식 자료추적 및 요약과 이의 효율적 전달을 위한 발표 방법 습득도 중요한 학과 목표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