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체육교육과
본 강좌는 스포츠 산업에 있어 스포츠 과학, 컴퓨터 과학, 새로운 미디어 기술과 관련된 여러 학문분야를 아우르는 과목이다. 다양한 교육적 방법이 활용되며, 이는 스포츠산업현장분야에 사용된 여러 가지 기술을 적용함에 있어 유사점과 차이점을 증명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학생들은 선행 연구자들에 의해 이루어진 학문적 연구들을 토론을 통하여 함께 살펴보고, 적용할 수 있도록 교과내용과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다.혁신공유학부
◎ 구 분: 초급 – 에너지 경영 ≪ 교수요목 ≫ 지질환경을 이해하고 전통전인 에너지원산업이 탄소순환에 미치는 영향을 학습한다. 또한, 지구환경의 기후변화 원인을 이해하고 지질특성을 활용한 탄소저감 방법을 학습한다. ≪ 과목개요 ≫ 이 수업은 「디지털 신기술 인재양성 혁신공유대학 사업 (에너지신산업)」의 수행을 위해 개설되는 초급교과목으로서, 수업은 온라인 강의로 15주 동안 진행된다. 첫 8주는 지구와 지질환경의 이해, 전통에너지원의 형성 및 탄소순환에 미치는 영향 이해, 지구의 지질시대의 이해와 기후변화 원인에 대해 수업을 진행한다. 남은 주차의 수업은 지질환경의 특성을 활용한 탄소저감 방법을 이해하고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해 수업을 진행한다. (수업 진행은 필요할 경우 오프라인 수업으로 전환할 수 있으며 실험/실습이 병행될 수 있다.) ≪ 학습목표 ≫ 지구의 지질환경을 이해하고 전통전인 에너지원산업이 탄소순환에 미치는 영향을 학습한다. 지구환경의 기후변화 원인을 이해하고 지질특성을 활용한 탄소저감 방법을 학습한다.체육교육과
본 강의는 스포츠와 레저 산업의 이해를 위한 기초를 제공하는데 그 목표가 있다. 본 수업을 통해 스포츠/레저 산업의 주요 부문과, 스포츠/레져 산업의 경영에 있어 이들 부문만이 가지는 독특한 양상에 대해 배우게 될 것이다.재료공학부
본 강의에서는 고분자의 기본개념과 고분자 사슬의 기본적인 구조와 물성, 단일사슬의 공간 내에서의 구조, 고분자블렌드와 용액의 열역학, 통계열역학의 접근방법 등을 다룸으로써 고분자재료의 기본적인 현상학적 개념을 이해하고자 한다.
loading...
약학대학 / 대학원
2025-1학기
권장 선수과목 약물동태학해석특강(375.828) , 약물동태학특강(375.827)
약학 전반 또는 전공별의 최신 연구내용을 최근 발간된 국내외 학술지 게재논문을 통하여 파악, 학습함. 최신 학술 논문의 연구목적, 방법, 결과 및 고찰
Sport coaching research and practice : Ontology, Interdisciplinarity and Critical Realism
Sport coaching research and practice : Ontology, Interdisciplinarity and Critical Realism
Financing health care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medicines
Financing health care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medicines
Managing the new workforce :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the millennial generation
Managing the new workforce :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the millennial generationA Chemical background to nursing and other paramedical programs
A Chemical background to nursing and other paramedical programs
Equitable solutions for retaining a robust STEM workforce : beyond best practices
Equitable solutions for retaining a robust STEM workforce : beyond best practices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healthcare : health 4.0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healthcare : health 4.0
Coaching volleyball successfully : the USVBA Coaching accreditation program and American Coaching effectiveness program level 1 volleyball book
Coaching volleyball successfully : the USVBA Coaching accreditation program and American Coaching effectiveness program level 1 volleyball book
Between M.L.S. and PH.D. : a study of sixth-year specialist programs in accredited library schools
Between M.L.S. and PH.D. : a study of sixth-year specialist programs in accredited library schools
Pediatric nurse certification review
Pediatric nurse certification review
의학교육의 개혁과 미래
의학교육의 개혁과 미래
Gypsies : a multidisciplinary annotated bibliography
Gypsies : a multidisciplinary annotated bibliography
New perspectives on evolution : proceedings of a multidisciplinary symposium designed to interrelate recent discoveries and new insights in the field of evolution held at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April 18 and 19, 1990
New perspectives on evolution : proceedings of a multidisciplinary symposium designed to interrelate recent discoveries and new insights in the field of evolution held at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April 18 and 19, 1990
Managing quality : a guide to system-wide performance management in health care
Managing quality : a guide to system-wide performance management in health care
BSAVA textbook of veterinary nursing.
BSAVA textbook of veterinary nursing.
The modernization of the nursing workforce : valuing the healthcare assistant
The modernization of the nursing workforce : valuing the healthcare assistant
간호과정의 실제 : 간호 진단-결과-중재 연계적용 =
간호과정의 실제 : 간호 진단-결과-중재 연계적용 =Climate Policy
Omukuti J.,Barrett S.,White P.C.L.,Marchant R.,Averchenkova A.Journal of Rural Health
Wheat J.R.,Gardner A.J.,Downey L.H.,Cox M.S.,Johnson G.J.,Guin S.M.,Leeper J.D.,Moore C.E.,Brandon J.E.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y Practice
S E Harding; A Guirguis; G MartiniNursing Open
Aarthun A.,Øymar K.,Akerjordet K.성인간호학회지
김영경, 신수진, 황선영Gifted Child Quarterly
Hertzog N.B.,Lamb K.N.,Balatico A.J.Health Equity
Najor, Anna J.; Kling, Juliana M.; Imhof, Reese L.; Sussman, Jon D.; Nippoldt, Todd B.; Davidge-Pitts, Caroline J.長庚科技學刊 / Journal of Chang Gung Institute of Technology
戴孟茹(Mung-Ju Tai); 許青雲(Ching-Yun Hsu); 宋素卿(Su-Ching Sung)AMERICAN JOURNAL OF PHARMACEUTICAL EDUCATION
Fusco, Nicholas M.; Maerten-Rivera, Jaime; Doloresco, Fred; Ohtake, Patricia J.Pedagogy in Health Promotion
Kulak, Jessica A.; Forder, MichaelBMJ Open
Grigoroglou C.,Walshe K.,Kontopantelis E.,Ferguson J.,Stringer G.,Ashcroft D.,Allen T.Health Education Journal
Aimable Nkurunziza; Germaine Tuyisenge; Michael Habtu; Edward Rwagasore; Erigene Rutayisire; Nadja Van Endert; Justine Bagirisano; Jean Bosco Henri Hitayezu; Olive Tengera; Goele Jans; Beatha Mukarwego; Assoumpta YamuragiyePM&R
Jelena N. Svircev; Mikaela M. Raddatz; Audrey S. Leung; Stephen P. BurnsCirculation: Cardiovascular Quality and Outcomes
Duvernoy C.S.,Capers Q.American Journal of Surgery
Steinemann S.,Korndorffer J.,Dent D.,Rucinski J.,Newman R.W.,Blair P.,Lupi L.K.,Sachdeva A.K.Nursing Outlook
LaMothe J.,Hendricks S.,Halstead J.,Taylor J.,Lee E.,Pike C.,Ofner S.Reflective Practice
Hiromi Ida; Rintaro Imafuku; Koji Tsunekawa; Yasuyuki Masaoka; Satoko Fukushima; Takuya Saiki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Hoffart N.,McCoy T.P.,Lewallen L.P.,Thorpe S.Nursing Ethics
Hanna-Kaisa Pellikka; Anna Axelin; Ulla Sankilampi; Mari KangasniemiPharmacy Practice
Barakat M.M.,Al-Qudah R.A.,Farha R.A.,Alsalamat H.A.,El-Hajji F.D.,Akour A.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필 / 학사
의학과 접목된 다양한 분야(multidisciplinary area)를 다루어 학생들에게 폭넓은 시각을 제공한다. 본 교과목은 학생의 관심에 따라 다양한 과목을 학생이 선택하여 수강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학생 개개인의 다양성과 학습수준에 따른 학습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전선 / 학사
본 교과목은 기본 필수실무실습을 이수한 학생들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심화실습 과정으로, 학생들은 약과학 또는 임상약과학 트랙 중 하나의 트랙을 선택하여 보다 전문적인 실무실습을 수행한다. 약과학 트랙에서는 기초약학 분야에 대한 심도있는 심화연구실습을 수행하게 되고, 임상약과학 트랙에서는 약무현장에서 환자의 약물요법과 관련한 전문적인 임상지식 및 기술과 관련된 심화실무실습을 수행하게 된다.전선 / 학사
본 강좌는 학생들이 관심이 있는 약학연구 분야를 선정하고, 해당 연구 분야 전공 교수님의 연구실에서 직접 실제 연구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관찰하고, 허용되는 범위에서 연구에 직접 참여해 봄으로써 약학 연구의 실제를 체험하는 것으로 향후 연구 분야 진로 탐색 프로그램임.전필 / 학사
본 과목에서는 의예과 1학년 학생들이 예비의료인으로서 다양한 역량을 개발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대학생으로서의 자기계발과 진로 등을 생각할 수 있는 경험을 하게하고, 미래의료인으로서 책무성, 리더십 등을 확립할 수 있게 하며, 봉사를 통해 의사로서의 삶과 인간에 대한 이해와 공감을 할 수 있도록 한다.전선 / 학사
본 과목에서는 소비자의 인식과 행동을 이해하고 설명하기 위한 방법으로 정성적 연구방법을 소개한다. 정성적 연구방법의 개념과 필요성을 살펴보고, 정성적 연구를 위한 여러 가지 자료수집 방법과 자료분석 방법을 학습한 후, 이러한 정성적 연구방법들을 실제로 연습해 본다.전선 / 대학원
본 과목은 장차 의학교육을 담당하게 될 대학원 의학과 학생들에게 의학교육학을 개괄적으로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의학교육학이란 무엇이며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의학교육은 역사적으로 어떻게 발전하여 왔는지, 의학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어떤 것이 있는지, 의학교육의 미래상은 어떤 모습인지 등을 살펴보고, 과학교육과 전문직 직업교육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의학교육을 조명한다. 또한 주요 관련 문헌에 대한 비판적 토론을 통하여 의학교육 영역에서의 창의적인 연구능력을 함양한다. 본 과목을 통하여 학생들은 의학교육의 본질과 특성을 전체적으로 파악하게 될 것이다.전선 / 대학원
핵의학 분야의 첨단 연구방법을 리뷰하고 IRB, IACUC 등 연구윤리에 대한 교육과 타 연구계획을 비판, 평가함으로써 과학과 윤리에 맞는 논리적인 학생 자신의 연구계획을 세울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함전선 / 학사
연구실에서의 연구참여 활동을 통하여 전공 지식을 심화 학습한다. 각자가 원하는 연구에 참여하며 그 연구에 대한 직접적인 경험을 갖는다.전선 / 학사
리더와 리더십이란 무엇인가, 현재와 미래 리더에게 요청되는 리더십은 무엇인가를 고민하고, 인문사회 강연 및 약학 관련분야 리더 초청 강연을 통해 자신이 생각하는 리더십을 제시함.일선 / 학사
글로벌 사회에서 커뮤니케이션은 전문가가 비즈니스 현장에서 성공하기 위해 개발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기술 중 하나입니다. 이 수업의 목표는 효과적인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기술과 실무 요령들을 소개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글로벌 비즈니스 현장에서 직접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기술과 전략을 활용하여 문서 혹은 구두 형태의 표준적인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탐구할 것입니다. 아울러 학생들은 효과적인 비즈니스 전문가이자 리더가 되기 위해 필요한 비판적 사고, 글쓰기 및 프레젠테이션 기술을 배울 수 있습니다. 해당 수업은 모든 전공의 학생들이 수강 가능합니다.전선 / 대학원
학생인턴은 3, 4학년의 임상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보다 심도 있게 진료에 참여하는 2주 임상실습 과정이다. 이 과정을 통해 독립된 의사로서 역할을 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학생인턴은 1기-7기까지 모든 임상과에서 개설되며, 진로탐색을 위해 원하는 실습을 선택할 수 있다전선 / 대학원
이 교과목은 산업인력개발에서의 교육과정을 계획하고, 내용을 결정하며, 전개하는 과정에 관한 개념과 원리를 이해하고, 이들 개념과 원리를 산업인력개발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하도록 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전선 / 대학원
이 교과목에서는 산업인력개발에서의 리더십, 기획, 행정조직, 내용 행정, 학생행정, 인사행정, 재정, 시설행정, 학교경영 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산업인력개발 장학행정의 개념, 발달과정, 종류와 내용/방법, 장학담당자의 역할 등에 고찰과 산업인력개발 장학행정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고찰한다.논문 / 대학원
전문적인 학술지를 중심으로 논문연구를 수행한다.전선 / 대학원
본 과목은 보건의료의 질의 개념 및 측정과 관련된 주요 원리와 개념들을 소개하고, 효과적 질 향상을 위한 리더쉽, 조직 문화, 보건의료 팀의 역할, 그리고 질 관리의 원칙들과 과정들을 살펴본다. 또한 질 관리의 성과 및 성과 평가 방법을 리뷰하고, 보건정보 시스템과 테크놀로지의 역할과 영향을 고찰한다. 외부적 환경(법, 규제, 보건 정책 등)이 보건의료 조직의 질 관리 및 성과 평가에 미치는 역할 및 영향, 그리고 나아가 다양한 보건의료 조직에서의 보건 서비스 질과 안전 향상을 위한 다각적인 접근법을 고찰하고 토론한다.전선 / 대학원
지식을 전달하는 발표 방법을 숙지하고식품 관련 최신 정보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전선 / 대학원
기존 개설된 교과목의 성격은 장애인 체육의 개론과 이론 중심의 교과이며, 본 과목은 실제 활용 측면에서 장애 유형별 체육 프로그램의 특성, 프로그램 구성과 지도 방법, 시설 및 기구활용, 교사교육 및 부모교육 등에 대한 내용을 강의한다.전선 / 대학원
본교 석사과정의 필수과목으로 간호학의 지식개발과 간호실무의 문제해결을 위해 필요한 과학적인 연구방법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넓히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다. 간호이론의 검증, 개발과 현장에서의 문제해결을 위해 사용되는 과학적인 연구방법을 자신의 연구주제에 적용하여 학습하는 과목이다. 간호연구에서 양적 연구는 주로 인간을 대상으로 시도하는 접근법이기 때문에 이론이나 논문의 문헌고찰, 연구설계, 표본추출, 자료수집 및 분석에서 사회과학적 연구법에 대해 학습하게 된다. 질적 연구방법에 대해서는 양적 연구와의 중요한 차이점과 개요에 대해서는 학습하나 구체적인 질적연구 방법에 대해서는 이 과목에서 다루지 않기 때문에 질적 연구방법론에 관심이 있는 사람은 질적 연구 방법론 과목을 추후에 학습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