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의예과
본 과목에서는 의예과 1학년 학생들이 예비의료인으로서 다양한 역량을 개발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대학생으로서의 자기계발과 진로 등을 생각할 수 있는 경험을 하게하고, 미래의료인으로서 책무성, 리더십 등을 확립할 수 있게 하며, 봉사를 통해 의사로서의 삶과 인간에 대한 이해와 공감을 할 수 있도록 한다.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공학문제를 이해하는데 필요로 하는 역학의 기본적인 사고방법과 해석능력을 높이고 현대적 공학문제를 취급할 수 있도록 작용력을 주었을 때 그에 대한 반응과 움직임의 효과를 예상할 수 있도록 학습하며, 구조물의 창조적인 설계와 적용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 배양에 목적을 둔다. 또한, 기본적인 문제들에 관한 해법을 통해 정역학에 관련된 여러 법칙의 개념과 원리를 익히며 그에 관한 계산방법을 익힌다.산림과학부
기존 학술림 현장학습에 덧붙여 전공과 관련한 다양한 산업현장에서의 체험을 통해 산업현장과 학문분야의 교류 및 학생들에게는 다양한 경험과 현장지식을 얻을 수 있게 해주며 자연과 함께 하는 현장학습을 통해 호연지기를 기르고 자연의 위대함, 소중함과 함께 환경보존의 중요성을 일깨워 줄 수 있도록 한다.에너지자원공학과
석유·가스 등의 전통적 에너지 및 비재래 에너지, 신재생 에너지를 포함하여 에너지·자원의 전반에 대하여 소개한다. 에너지의 정의와 역사, 환경, 소비구조 현황, 전망에 대해 배운다. 석유·가스의 탐사 및 개발기술, 생산현황과 전망에 대하여 학습하고, 태양열, 풍력, 수소, 지열, 연료전지, 조력, 바이오매스 등 재생에너지의 종류와 특성, 소비현황, 기술개발현황에 대해 학습한다.
loading...
공과대학 에너지자원공학과 / 학사
2025-2학기
권장 선수과목 전기·정보세미나 1(M2608.001400) , 프로그래밍방법론(430.211)
석유·가스 등의 전통적 에너지 및 비재래 에너지, 신재생 에너지를 포함하여 에너지·자원의 전반에 대하여 소개한다. 에너지의 정의와 역사, 환경, 소비구조 현황, 전망에 대해 배운다. 석유·가스의 탐사 및 개발기술, 생산현황과 전망에 대하여 학습하고, 태양열, 풍력, 수소, 지열, 연료전지, 조력, 바이오매스 등 재생에너지의 종류와 특성, 소비현황, 기술개발현황에 대해 학습한다.
Potential geothermal resources in Hawaii : a preliminary regional survey
Potential geothermal resources in Hawaii : a preliminary regional surveyGold-lode deposits, Fairbanks Mining District, Central Alaska
Gold-lode deposits, Fairbanks Mining District, Central AlaskaAn Outline of soil and rock mechanics
An Outline of soil and rock mechanicsDrilled pier foundations
Drilled pier foundations
Indirect solar, wind, geothermal, v.4
Indirect solar, wind, geothermal, v.4
Geopressured-geothermal energy : proceedings of the Sixth U.S. Gulf Coast Geopressured-Geothermal Energy Conference : February 4-6, 1985,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Geopressured-geothermal energy : proceedings of the Sixth U.S. Gulf Coast Geopressured-Geothermal Energy Conference : February 4-6, 1985,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Soil improvement for earthquake hazard mitigation : proceedings of sessions sponsored by the Soil Improvement and Geosynthetics Committees of the Geotechnical Engineering Division of the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in conjunction with the ASCE National Convention, San Diego, California, October 22-26, 1995
Soil improvement for earthquake hazard mitigation : proceedings of sessions sponsored by the Soil Improvement and Geosynthetics Committees of the Geotechnical Engineering Division of the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in conjunction with the ASCE National Convention, San Diego, California, October 22-26, 1995Classic petroleum provinces
Classic petroleum provinces
Remedial measures against soil liquefaction : from investigation and design to implementation
Remedial measures against soil liquefaction : from investigation and design to implementation
Hydroprocessing of heavy oils and residua
Hydroprocessing of heavy oils and residua
Rock dynamics
Rock dynamics
Depth and producing rate classification of petroleum reservoirs in the United States, 1971
Depth and producing rate classification of petroleum reservoirs in the United States, 1971
Rock mechanics : caverns and pressure shafts = Felsmechanik : Kavernen und Druckschächte = Mecanique des roches : les cavernes et les puits sous pression
Rock mechanics : caverns and pressure shafts = Felsmechanik : Kavernen und Druckschächte = Mecanique des roches : les cavernes et les puits sous pression
Behaviour of saturated expansive soil and control methods
Behaviour of saturated expansive soil and control methodsFracture zone dewatering to control groundwater inflow in underground coal mines
Fracture zone dewatering to control groundwater inflow in underground coal minesGeothermal energy utilization
Geothermal energy utilizationThermomechanical method for secondary breakage of hard rocks
Thermomechanical method for secondary breakage of hard rocks
Theory of linear poroelasticity with applications to geomechanics and hydrogeology
Theory of linear poroelasticity with applications to geomechanics and hydrogeologyElastic solutions for soil and rock mechanics
Elastic solutions for soil and rock mechanics
석유공학개론 =
석유공학개론 =
(새로운 지구를 위한) 에너지 디자인
(새로운 지구를 위한) 에너지 디자인
Sustainable energy--without the hot air
Sustainable energy--without the hot air
Our choice : a plan to solve the climate crisis
Our choice : a plan to solve the climate crisis
자원개발공학
자원개발공학
신재생에너지 =
신재생에너지 =
Geothermal energy : renewable energy and the environment
Geothermal energy : renewable energy and the environment
Geothermal energy : renewable energy and the environment
Geothermal energy : renewable energy and the environment
資源工學槪論
資源工學槪論
지구통계학 =
지구통계학 =Geomechanics and Geophysics for Geo-Energy and Geo-Resources
Tolga Ayzit; Mrityunjay Singh; Dornadula Chandrasekharam; Alper Baba铜陵学院学报 / Journal of Tongling University
孙玉永; 肖红菊; 罗凤; SUN Yu-yong; XIAO Hong-ju; LUO FengGeotechnical and Geological Engineering
Atefe Geramian; M. Ghazavi; N. K. A. Attari价值工程 / Value Engineering
朱建国; 季雪; ZHU Jian-guo; JI XueGeothermal Energy
Zhao Y.,Pang Z.,Huang Y.,Ma Z.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Technology
Le T.D.,Oh J.Energy and Fuels
Meng M.,Zhang Y.,Yuan B.,Li Z.,Zhang Y.Applied Thermal Engineering
Bidarmaghz A.,Narsilio G.A.China Geology
Li Y.l.,Wan Y.z.,Chen Q.,Sun J.x.,Wu N.y.,Hu G.w.,Ning F.l.,Mao P.x.Journal of Mountain Science
Zeng Z.x.,Kong L.w.,Wang J.t.Engineering Geology
Niu W.,Feng X.T.,Yao Z.,Bi X.,Yang C.,Hu L.,Zhang W.Mathematical Problems in Engineering
Zhang G.,Guo G.,Shen S.,Guo Q.,Zhang S.,Wu J.Sustainability (Switzerland)
Xin G.,Zhang J.,Fan L.,Deng B.,Bu W.Chemical Geology
Jautzy J.J.,Petts D.C.,Clark I.D.,Al T.A.,Stern R.A.,Jensen M.Meitan Xuebao/Journal of the China Coal Society
Zhang B.,Xue P.,Liu L.,Huan C.,Wang M.,Zhao Y.,Qin X.,Yang Q.Energy & Fuels
Erlei Su; Jiaqi Wei; Haidong Chen; Xiangjun Chen; Yunpei Liang; Quanle Zou; Xinyu ZhuGeothermal Energy
Kushnir A.R.L.,Heap M.J.,Baud P.,Reuschlé T.,Schmittbuhl J.Geothermics
Long X.,Wang G.,Lin W.,Wang J.,He Z.,Ma J.,Yin X.International Journal of Coal Geology
Flores R.M.,Wang G.Q.,Qin D.F.,Xi Y.,Rukstales L.R.Geoscience Frontiers
Saikia B.J.,Parthasarathy G.,Gorbatsevich F.F.,Borah R.R.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학사
이 강의의 목적은 유력한 재생에너지인 지열에너지의 원리와 응용을 학습하는 것으로 지열히트펌프, 지열에너지 직접이용, 지열발전 등 천부 및 심부 지열에너지의 응용을 포함한다. 먼저 천부지열에너지를 위해 지열히트펌프의 원리, 시공 및 운영, 지반조사 및 지하수공학을 학습한다. 심부지열에너지의 경우 지열 탐사 및 조사, 지열시추, 지열 저류층공학, 증기발전의 원리, 지열발전소의 운영 원리에 다룬다. 또한 지열에너지의 직접이용을 위한 조건, 원리 및 적용사례를 학습한다. 심부지열에너지 활용을 위한 매장량 평가와 환경영향에 대하여 학습하며 마지막으로 지열에너지 저장, 인공저류층 지열시스템 등과 같은 지열에너지의 연구분야에 대하여 학습한다.전선 / 학사
◎ 구 분: 고급 – 에너지 생산 ≪ 교수요목 ≫ 이 강의의 목적은 유력한 재생에너지인 지열에너지의 원리와 응용을 학습하는 것으로 지열히프펌프, 지열에너지 직접이용, 지열발전 등 천부 및 심부 지열에너지의 응용을 포함한다. 먼저 천부지열에너지를 위해 지열히트펌프의 원리, 시공 및 운영, 지반조사 및 지하수공학을 학습한다. 심부지열에너지의 경우 지열 탐사 및 조사, 지열시추, 지열저류층공학, 증기발전의 원리, 지열발전소의 운영 원리에 다룬다. 또한 지열에너지의 직접이용을 위한 조건, 원리 및 적용사례를 학습한다. 심부지열에너지 활용을 위한 매장량 평가와 환경영향에 대하여 학습하며 마지막으로 지열에너지 저장, 인공저류층 지열시스템 등과 같은 지열에너지의 연구분야에 대하여 학습한다. ≪ 학습목표 ≫ - 지열에너지의 원리와 현황에 대한 학습 - 지열히트펌프와 지열발전 플랜트의 작동 원리에 대한 이해 - 지열저류층의 순환시스템에 대한 이해 - 지열에너지의 탐사, 조사, 시추 및 운영 등 전주기에 대한 이해 - 지열에너지 개발에 따른 환경영향평가 능력 함양전선 / 대학원
지구의 지각에 존재하는 다양한 금속/비금속 광물자원은 다양한 지구화학적 과정에 의하여 농축되어 형성되며, 경제적 광상 탐사를 위해서도 지구화학적 기법이 중요하게 사용된다. 이 과목에서는 광물자원을 형성과 밀접히 관련된 암석/광물/유체 지구화학적 이론 및 응용법을 공부하고, 지각의 광물 탐사에 활용한다.전선 / 학사
유용 지구자원 물질의 기원, 운반기구와 이들의 농집 과정, 농집 후의 변화에 따른 증거들을 광물조성 및 화학조성 산출상태, 조직을 관찰하고 분석함으로서 어떻게 특정 원소를 함유하는 유용자원이 생성되었는지 그 생성과정과 기원에 대한 지식을 습득한다. 실험을 통하여 유용광물을 육안과 현미경하에서 관찰함으로서 각 광물들을 식별하고 조직의 특징을 구별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전선 / 대학원
본 강의는 석유가스, 광물자원 등 전통자원개발, 셰일가스 등 비재래자원개발, 지열에너지 등 신재생에너지 개발,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 등 지구환경공학 등의 적용을 위한 지오메카닉스의 이론 및 응용에 대해 다룬다. 지오메카닉스가 활용되는 다양한 응용분야에 대한 기본소개, 지오메카닉스 응용사례, 최신연구동향 등을 다룬다.전필 / 학사
지구 내부의 구조 및 물리적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사용되는 지구물리학적 방법들의 원리와 그 응용을 가르친다. 지구자기장, 지전기장, 지열류와 방사능에 대한 이론을 다루고, 자력, 지전기, 지열 및 방사능 탐사방법으로 밝혀진 지구 내부에 대한 최근의 연구 성과를 소개한다.전선 / 학사
이 강의의 목표는 해양의 조석과 파랑 현상들을 지배하는 제반 원리를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역학의 기본, 선형 천해파 이론, 파랑 스펙트럼, 기조력, 동역학적 조석론, 분조, 내부파/내부조석의 주요 개념들을 이해하고, 실제 해양에서 관측된 파랑과 조석을 분석하는 방법들을 소개한다.전선 / 대학원
석유물리학은 암석 물성과 암석과 유체 사이의 상호작용을 다루기 때문에 석유공학자뿐만 아니라 다공성 매질에서의 유체 유동을 다루는 연구자에게도 유용한 학문이다. 이 강의는 다공성 매질에서의 유동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다상 유동, 공극 구조, 모세관압에 관한 석유물리학적 이론들을 간략하게 다룬다. 이 강의에서는 석유물리학적 이론보다는 현장 데이터에서 석유물리학적 현상들을 발견하고 해석하는 실습이 주로 다루어진다.전선 / 대학원
침식지형, 구조지형, 화산지형, 평야, 카르스트지형, 기후지형, 해안지형 등에 관한 심화된 제이론과 연구방법론에 대하여 검토하고 이들 주제에 대한 지형학적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토론한다.전선 / 대학원
동위원소지구화학, 특히 방사성동위원소와 안정동위원소 지구화학의 이론과 그 응용을 강의하고 지구화학탐사분야 중 주요 주제, 즉 암석-토양-수계-식물-가스지구화학의 고도의 이론과 응용, 지구화학검층 기법의 이론과 응용을 강의하며 실습함.전선 / 대학원
지구내부 특히 맨틀 및 지각의 구조와 활동에 대해 지구물리학적 관점에서 연구된 과정 및 결과를 공부한다. 주로 지진파의 전파성질과 기록자료를 이용하여 지구내부의 파동속도구조를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하여 지구내부물질의 지구동력학적인 움직임을 파악한다.전필 / 학사
지표상에 전개되는 각종 형태의 단위 지형과 그를 형성하는 제 영력의 기본 개념을 기초로 하천, 빙하, 해식, 풍식 지형등의 특성을 이해하고 아울러 구조지형 및 침식, 퇴적등 지형학적 현상을 설명하는 기본이론을 다룬다. 특히 이들과 인간활동 및 생산 등의 상호관련성에 대한 탐구적 태도를 함양하는 데 중점을 둔다.전선 / 대학원
석유공학은 탐사, 시추, 평가, 유정완결, 생산, 저류층관리, 경제성 분석 등 다양한 분야로 구성되어 있다. 석유와 가스의 탐사기법, 시추를 위한 준비작업, 해상 및 유상시추의 원리와 특성, 초심해시추의 특성과 신기술, 유정완결의 기법과 특성, 검층(well logging)기법의 종류와 적용, 생산시설, 저류층 관리, 석유 및 가스개발 프로젝트 경제성 평가 등 핵심내용에 대하여 공부한다.전선 / 대학원
태양계 및 지구를 구성하고 있는 원소와 이들의 동위원소의 분포, 성인에 대해 고찰하며, 특히, 안정동위원소의 분배에 대한 이론 및 지질학적 응용에 학습한다.전선 / 학사
지반을 구성하는 중요한 재료이며 건설공학 측면에서 크게 활용되는 암반의 역학적 특성과 그 공학적 활용 방법을 강의하는 과목이다. 지반의 지질공학적인 고찰과 함께 암의 생성과 분류, 그리고 풍화 등에 의한 성질 변화를 그 역학적 특성과 함께 강의하고, 암반에 조성되는 또는 암반을 이용하는 중요 건설구조물인 터널, 암사면, 기초 등에 대한 시공 및 해석 이론 등을 강의한다.전선 / 학사
바다를 이해하기 위하여 사람들이 추구해온 바다탐구과정을 역사적으로 살펴감으로써, 학생들에게 바다를 공부하는 방법을 이해시킨다. 염분, 표층과 심층의 해류, 해저 지형, 판구조론 등의 중요한 바다의 특성을 탐구해간 과정과 이를 통해 알게된 바다의 모습을 소개하며, 아울러 바다에서의 현장실습을 통하여 바다를 피부로 느낄 수 있게 하는 야외실습을 수행한다.전선 / 학사
흙의 기본적인 성질, 유효 응력 개념, 흙의 전단강도와 압밀, 횡토압, 그리고 흙 속에서의 물의 침투 등 기본적인 토질 역학 이론들을 다룬다. 특히 지반 공학적 문제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유효 응력과 지반의 전단 강도와 함께 점성토의 압밀이론에 대한 개념 확립에 중점을 둔다전선 / 학사
지구는 생성된 이래로 전 지질시대를 통하여 계속적으로 여러번의 조산운동과 이에 수반된 변형작용을 받아왔다. 이 교과목에서는 이때에 형성된 여러 형태의 지질구조들이 뜻하는 의미와 그 해석방법 등에 관하여 학습을 한다. 지층들이 변형작용 중에 역전되었는지 아니면 정상적으로 놓여 있는지를 규명하기 위하여 암석이 형성될 당시에 만들어진 일차 구조들의 형태와 의미를 이해한다. 암석내에 힘이 가하여지면 힘의 방향과 종류에 따라서 다양한 지질구조가 만들어지며, 이들 암석 내에 함유되어 있는 변형된 물질들을 이용하여 변형력을 해석한다. 변형작용층에 형성되는 이차적인 면상구조와 선구조를 학습한다. 조산운동과 관련하여 정단층, 쓰러스트단층, 주향이동단층, 습곡과 절리구조, 전단대 등의 특성을 학습한다. 학기 중에 이를 야외에서 학습하기 위하여 2박 3일간의 야외실습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