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간호학과
본 교과목은 학생들로 하여금 출생으로 부터 죽음에 이르는 전 생애에 걸친 인간의 발달단계별 건강 특성과 건강증진에 대한 통합적 이해를 위하여 인간발달에 대한 이론적 접근, 각 발달단계별 신체적, 사회심리적 특성, 건강과 질병의 개념변화, 그리고 건강증진을 위한 전략 등에 관한 지식을 습득함으로써 간호과정 적용 시 기초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loading...
공과대학 컴퓨터공학부 / 대학원
권장 선수과목 데이터베이스특강(4190.765) , 강화학습(M3309.000200)
본 과목은 집담회 형식의 세미나 과목으로 컴퓨터공학 대학원 수준의 다양한 연구 분야와 최근 동향을 소개한다.
Global positioning system : theory and applications
Global positioning system : theory and applications
Logic, language, and computation : festschrift in honor of Satoru Takasu
Logic, language, and computation : festschrift in honor of Satoru TakasuUnderstanding the GPS : an introduction to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 what it is and how it works
Understanding the GPS : an introduction to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 what it is and how it works
A practical guide to neural nets
A practical guide to neural nets
Logics in artificial intelligence : European Workshop, JELIA '96, Évora, Portugal, September 30-October 3, 1996, proceedings
Logics in artificial intelligence : European Workshop, JELIA '96, Évora, Portugal, September 30-October 3, 1996, proceedings
(한 권으로 마스터하는) 메타버스 2022 : Series 1
(한 권으로 마스터하는) 메타버스 2022 : Series 1
Applications of neural networks in electromagnetics
Applications of neural networks in electromagnetics
Introduction to artificial intelligence
Introduction to artificial intelligence
New techniques of architectural rendering
New techniques of architectural rendering
Intelligent data-analytics for condition monitoring : smart grid applications
Intelligent data-analytics for condition monitoring : smart grid applications
A theory of syntactic recognition for natural language
A theory of syntactic recognition for 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 and applying machine vision
Understanding and applying machine vision
알고리즘
알고리즘
Structured rapid prototyping : an evolutionary approach to software development
Structured rapid prototyping : an evolutionary approach to software development
Computational architectures integrating neural and symbolic processes : a perspective on the state of the art
Computational architectures integrating neural and symbolic processes : a perspective on the state of the art
Elements of artificial neural networks
Elements of artificial neural networks
Understanding and applying machine vision
Understanding and applying machine vision
Computer vision : ACCV 2006 : 7th Asian Conference on Computer Vision, Hyderabad, India, January 13-16, 2006 : proceedings
Computer vision : ACCV 2006 : 7th Asian Conference on Computer Vision, Hyderabad, India, January 13-16, 2006 : proceedings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Journal of Intelligent Manufacturing
Ling S.,Guo D.,Li M.,Rong Y.,Huang G.Q.International Journal of Machine Learning and Cybernetics
Wei H.,Zhou A.,Zhang Y.,Chen F.,Qu W.,Lu M.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Dasol Kim; Jaeseok Huh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Technology
Carter-Greaves L.E.,Eyre M.,Vogt D.,Coggan J.Multimedia Tools and Applications
Wang C.,Qin J.,Fu X.IEEE Transactions on Pattern Analysis and Machine Intelligence
Poiesi F.,Boscaini D.IEEE Robotics and Automation Letters
Quann M.,Ojeda L.,Smith W.,Rizzo D.,Castanier M.,Barton K.IEEE Transactions on Mobile Computing
Hao Y.,Lou X.,Wang B.,Zheng R.IEEE Internet of Things Journal, Internet of Things Journal, IEEE, IEEE Internet Things J.
Meng, Z.; Deng, Z.; Zhang, P.; Li, Z.IEEE Journal of Selected Topics in Applied Earth Observations and Remote Sensing
Mansoor Khurshid; Muhammad Shahzad; Hasan Ali Khattak; Muhammad Imran Malik; Muhammad Moazam Fraz방사선기술과학
김규석, 이영진IEEE ACCESS
Sun, Chuanyang; Zhang, Xin; Zhou, Quan; Tian, YingETRI Journal
변재민, 서범수, 이진호Journal of Neurophysiology
Xiaoxuan Ren; Ilhan Bok; Adam Vareberg; Aviad HaiRemote Sensing
Guo Y.,Du L.,Lyu G.IEEE Transactions on Image Processing
Lee D.Y.,Paul S.,Bampis C.G.,Ko H.,Kim J.,Jeong S.Y.,Homan B.,Bovik A.C.IEEE Journal of Selected Topics in Applied Earth Observations and Remote Sensing
Perez A.,Munoz-Martin J.F.,Querol J.,Park H.,Camps A.The Review of scientific instruments
Li Y; Udi UJ; Yussof MM; Tan XIEEE Transactions on Neural Systems and Rehabilitation Engineering
Wang X.,Santos V.J.Neurocomputing
Wang Y.,Vinogradov A.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학사
이 과목은 지도를 사용하여 간단한 지질분석을 실습해 보는 입문과목이다. 간단한 지질도를 작성하는 방법, 단층을 기술하는 방법, 그리고 단층면을 따라 이동한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 등을 익힌다. 지질도는 4차원 상에 존재하는 암석과 지체구조의 진화를 2차원에 표기하는데 쓰이며, 또한 지구의 지질학적 역사를 재구성하는데 쓰인다.전선 / 학사
본 교과목에서는 원자핵공학에 널리 활용되는 전산해석 프로그램에 대한 지식을 학습하고, 이를 활용한 시뮬레이션을 실습한다. 핵분열원자로, 핵융합로, 방사선 발생장치 등의 핵공학시스템 설계 및 비정상상태 해석에 필수적인 열유체 해석코드, 구조‧재료 해석코드, 몬테칼로 입자수송 해석코드, 중성자 확산 해석코드 등의 이론과 사용법을 배우며, 이를 이용해 다양한 가상 핵공학시스템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다. 코드 간 데이터 교환 방법을 배우고, 이를 이용한 연계 해석 실습을 통해 다물리 전산해석의 기본 지식을 습득한다. 마지막으로 핵공학 시스템 전산해석의 최신 연구 동향 및 미래 발전 방향을 파악한다.전선 / 대학원
생체현상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모델링하는 기법에 대하여 주로 다룬다. 역학적인 모델 및 회로모델 및 수학적인 모델을 구성하는 기본지식을 다룬다.전선 / 대학원
본 과목에서는 고차원 데이터의 저차원 표현을 학습하기 위한 기하학적 방법을 소개한다. 미분 기하학의 기초(구체적 주제는 리만 다양체 및 Lie 그룹, 텐서, 커넥션 및 fiber 번들 포함)를 다룬 후, 고차원 데이터에 대한 기존 기계 학습 알고리즘(예: 매니폴드 러닝, 메트릭 러닝)의 기하학적 일반화 방법을 개발하여, 대칭적 구조가 존재하는 고차원 비유클리디언 데이터 문제에 적용한다. 위와 같은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효율적인 계산 알고리즘도 소개한다. 후반부에는 Ito 확률 미분 방정식의 관점에서 강화 학습과 확률 최적 제어 간의 관계를 고찰하여, 고차원 비유클리디언 데이터 강화 학습 문제에 적용 가능한 기하학적 방법도 개발한다.전선 / 대학원
본 강좌는 다양한 정보시스템의 행태 지향적 연구 논문들을 다룬다. 이를 통해 이 분야의 이론과 최신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학생들이 독립적으로 자신의 연구 주제를 개발하고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한다. 또한, 본 과목은 경영학에 있어서 필요한 네트워크 기술, 구조, 서비스 및 관리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다룰 것이다. 본 과목은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정보 시스템 행태 지향적 연구 주제를 선정하여 학기말에 연구의 성과에 대한 토론이 필요하다. 연구 주제는 최신 유행하고 있는 행태 지향적인 주제를 선정해야 하면 선정된 주제에 폭넓은 이해가 요구된다.전선 / 학사
본 강좌는 학부 2학년 전공선택 교과목으로 인공지능의 개념과 기술을 이해하고 싶은 학생을 대상으로 한다. 수업내용은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딥러닝(Deep Learning), 데이터마이닝(Data Mining), 컴퓨터비전(Computer Vision), 자연어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 등 총 5개 모듈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듈별 담당 교수님이 팀티칭으로 수업을 진행한다. 선수과목으로 기초수학(확률/통계/선형대수), 컴퓨터의 개념 및 실습 교과목의 선행학습을 권장한다.교양 / 학사
이 교과목은 ‘이태리어 1(032.057)’의 교과목 내용을 기초로 이론의 확대적용 및 발전을 좀더 깊이 있게 모색한다.전선 / 학사
이 과목은 고고학 전공자가 숙지해야 하는 유물, 유구, 유적을 비롯한 각종 고고학 자료의 성격에 대한 기본지식과 발견·추론·분류·분석·연구에 이르는 제과정의 처리 능력을 배양함에 목적이 있다. 수강생은 지표조사, 발굴조사, 각종 자료 수습 및 처리의 기본원리와 방법에 대한 강의를 듣고, 실내외에서 자료의 복원, 분류, 실측, 측량, 사진 촬영 등을 실습함으로써 고고학 연구에 필수적인 기술을 연마하게 될 것이다.전선 / 대학원
다른 과목에서 배운 계량적 분석방법을 현실 농업문제에 응용한다. 비교정학(comparative statics)에 의한 모형분석, 칼만 필터(Kalman filter), 뉴럴 네트워크(neural network), 유전자 알고리즘(genetic algorithm), 부트 스트랩핑(boot strapping), 커널 추정(kernel estimation) 등을 다룬다.전선 / 대학원
물리학의 연구를 수행하는데 필요할 뿐만 아니라 물리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등장한 컴퓨터의 사용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과목으로서 전산방법의 개념, 기본적인 수치해석의 방법, 몬테카를로 방법, 데이터 분석의 기본 방법등을 다루며, 병렬처리와 신경 그물얼개 방법 등 최신 방법들의 입문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연결장치의 기본개념을 다루고 편미분방정식의 풀이법도 배운다.전선 / 대학원
유전체 관련 자료들을 다루기 위한 통계 기법들을 다룬다. 특히 유전체 자료의 양이 방대하고 복잡하기 때문에 기초적인 통계 모형이외에도 유전체 자료들의 특징을 잘 고려한 통계 분석 방법들을 학습하게 될 것이며 컴퓨터를 이용한 다양한 분석알고리즘을 다룬다.전선 / 학사
'비주얼라이제이션'은 컨텐츠의 시각화 과정을 탐구하는 수업이다 . 수강자들은 본 과목을 통해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방법론적 접근과 이를 활용한 다양한 메시지 전달 프로세스를 경험하게 된다. 수업은 기초시각이론, 시각화 방법론 및 DATA와 텍스트의 시각화 연습으로 구성되며 최종적으로 이미지와 텍스트의 인터랙션 과정을 다루게 된다 . 학생들은 일반 프레젠테이션 프로그램과 기본적 FLASH기술을 사용하게 되며, 기초적 TOOL사용을 위한 특강이 수업초반에 제공된다.교양 / 학사
통계학에서 익힌 내용을 컴퓨터 실습을 통하여 개념의 이해와 실제문제의 해결능력을 배양한다. 또한 통계학을 전공하고자 하는 학생들의 반드시 알아야 할 통계자료분석 패키지를 익히며 이를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표본추출, 난수생성 등을 실습하고 중심극한정리를 그래픽화하여 본다. 실생활에서의 자료를 대상으로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회귀분석, 분산분석 및 분류형 자료분석들을 실습하여 문제해결능력을 키운다.전선 / 학사
본 과목은 학생들이 3D 인체 모델을 이용하여 입체 의복 패턴을 설계하고 가상 프로토타입을 구현하여 인체-의복-맞음새(Fit) 관계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기술적, 실용적 기초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과목을 통해 전통적인 2D 의복구성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인체공학적 입체패턴을 설계하고 3D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여 가상환경에서 의복 맞음새를 시스템적으로 평가하고 분석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전선 / 학사
본 교과목의 목표는 학생들로 하여금 컴퓨터를 이용하여 한국어 관련 정보(또는 자료)를 적절히 추출하고 처리할 수 있는 기초적인 능력을 기르게 하는 것이다. 정보 관련 기술과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많은 학문분야의 연구 내용과 방법론도 달라지고 있는바, 이러한 변화에 부응하기 위해서 개설된 교과목이 본 교과목이다. 본 교과목을 통하여 학생들은 말뭉치의 구축, 말뭉치 가공, 가공된 말뭉치로부터의 언어정보 추출, 추출된 언어정보의 통계적 분석, 언어정보의 데이터베이스화, 데이터베이스의 운용 및 유지 등에 관한 기초적인 방법론을 익히게 될 것이며, 한국어문학 나아가서는 인문학을 위한 컴퓨터 활용 능력을 키우게 될 것이다.전선 / 학사
본 강좌는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Reality Capture, VR/AR 등의 스마트 건설 기술에 대한 주요 이론을 습득하고, 건설 관리 프로세스 내에서의 다양한 활용 사례를 배우며, 실제 실습을 통해 스마트 건설 기술의 활용법과 현재 기술의 제약점을 이해하도록 한다. BIM 모델 구축 프로세스를 이해하고, 이를 통해 시공성 검토(Constructability review), 4D Simulation, 디자인 간섭 검토(Clash detection)을 실습한다. 또한 LiDAR와 Photogrammetry을 통한 Reality Capture를 통한 측량과 Scan-to-BIM을 실습하고, VR/AR 기술의 활용 사례를 고찰한다.전선 / 학사
본 과목은 자연과학대학 학부생을 대상으로 하여, 세부 학부/학과에 관계없이 자연과학대학 학부생이 함양해야 하는 프로그래밍 및 인공지능 지식을 갖추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특히 프로그래밍 및 인공지능과 관련된 방대한 내용 중 자연과학을 전공하는 데 실질적으로 필요한 전산학, 계산과학, 통계학, 심층신경망 분야의 기초지식을 습득하고, 그에 대한 실습을 직접 해보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이는 자연과학대학의 기존 인공지능/계산과학/데이터과학 전공과목의 수강에 앞서, 학부생들이 프로그래밍 능력과 함께 이를 자연과학의 문제에 직접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본 과목에서는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여, 향후 자연과학 연구에서 맞닥뜨릴 수 있는 실제 문제와 데이터를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다루고 해결해 볼 수 있는 기회를 학부생들에게 제공하고자 합니다. 기초 수준의 컴퓨팅/프로그래밍 능력을 갖춘 학생은 본 과목을 이수한 후, 자연과학의 세부 분야에서 인공지능과 프로그래밍이 어떻게 활용되는지 이해하고, 향후 연구에 직접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게 될 것입니다.전선 / 학사
생명체는 현대 기계 및 전기 시스템에서 관찰되는 시간적 및 공간적 정밀도에 필적하거나 종종 능가하는 고도로 복잡하지만 조화로운 역학을 보인다. 이 강좌에서는 생물학적 현상에 적용되는 모델링과 제어 이론의 기본 원리를 탐구한다. 학생들은 수학적 모델, 실험 데이터 및 전산 시뮬레이션을 통합하여 생물학적 시스템의 제어 전략을 식별, 분석 및 설계하는 방법을 배우게 된다. 피드백 제어, 시스템 식별, 확률론적 모델링 및 생체 계측과 같은 주제를 다룰 예정이며, 기계 공학 원리를 사용하여 생명체의 복잡한 역학을 효과적으로 탐색하는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학생들에게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