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체육교육과
본 강좌는 스포츠 산업에 있어 스포츠 과학, 컴퓨터 과학, 새로운 미디어 기술과 관련된 여러 학문분야를 아우르는 과목이다. 다양한 교육적 방법이 활용되며, 이는 스포츠산업현장분야에 사용된 여러 가지 기술을 적용함에 있어 유사점과 차이점을 증명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학생들은 선행 연구자들에 의해 이루어진 학문적 연구들을 토론을 통하여 함께 살펴보고, 적용할 수 있도록 교과내용과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다.혁신공유학부
◎ 구 분: 초급 – 에너지 경영 ≪ 교수요목 ≫ 지질환경을 이해하고 전통전인 에너지원산업이 탄소순환에 미치는 영향을 학습한다. 또한, 지구환경의 기후변화 원인을 이해하고 지질특성을 활용한 탄소저감 방법을 학습한다. ≪ 과목개요 ≫ 이 수업은 「디지털 신기술 인재양성 혁신공유대학 사업 (에너지신산업)」의 수행을 위해 개설되는 초급교과목으로서, 수업은 온라인 강의로 15주 동안 진행된다. 첫 8주는 지구와 지질환경의 이해, 전통에너지원의 형성 및 탄소순환에 미치는 영향 이해, 지구의 지질시대의 이해와 기후변화 원인에 대해 수업을 진행한다. 남은 주차의 수업은 지질환경의 특성을 활용한 탄소저감 방법을 이해하고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해 수업을 진행한다. (수업 진행은 필요할 경우 오프라인 수업으로 전환할 수 있으며 실험/실습이 병행될 수 있다.) ≪ 학습목표 ≫ 지구의 지질환경을 이해하고 전통전인 에너지원산업이 탄소순환에 미치는 영향을 학습한다. 지구환경의 기후변화 원인을 이해하고 지질특성을 활용한 탄소저감 방법을 학습한다.체육교육과
본 강의는 스포츠와 레저 산업의 이해를 위한 기초를 제공하는데 그 목표가 있다. 본 수업을 통해 스포츠/레저 산업의 주요 부문과, 스포츠/레져 산업의 경영에 있어 이들 부문만이 가지는 독특한 양상에 대해 배우게 될 것이다.재료공학부
본 강의에서는 고분자의 기본개념과 고분자 사슬의 기본적인 구조와 물성, 단일사슬의 공간 내에서의 구조, 고분자블렌드와 용액의 열역학, 통계열역학의 접근방법 등을 다룸으로써 고분자재료의 기본적인 현상학적 개념을 이해하고자 한다.
loading...
공과대학 재료공학부 / 대학원
2025-1학기
권장 선수과목 연속체역학(M2794.007100) , 지능재료 및 설계(M2794.007700)
본 강의에서는 고분자의 기본개념과 고분자 사슬의 기본적인 구조와 물성, 단일사슬의 공간 내에서의 구조, 고분자블렌드와 용액의 열역학, 통계열역학의 접근방법 등을 다룸으로써 고분자재료의 기본적인 현상학적 개념을 이해하고자 한다.
Structure of crystalline polymers
Structure of crystalline polymers
New methods of polymer synthesis
New methods of polymer synthesis
Polymers in solution : their modelling and structure
Polymers in solution : their modelling and structure
Polymeric surfactants
Polymeric surfactants
Multiphase macromolecular systems
Multiphase macromolecular systems
Handbook of conducting polymers.
Handbook of conducting polymers.
Polymer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 a laboratory manual
Polymer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 a laboratory manual
Polymeric biomaterials
Polymeric biomaterials
Photoinitiated polymerization
Photoinitiated polymerizationOrganometallic polymers
Organometallic polymers
Polymer processing : principles and modeling
Polymer processing : principles and modelingMorphology of polymers
Morphology of polymers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Theory of Polymeric Networks and Gels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Theory of Polymeric Networks and GelsPolymer dispersions and their industrial applications
Polymer dispersions and their industrial applications
Modern methods of polymer characterization
Modern methods of polymer characterization
Polymer data handbook
Polymer data handbook
Ionic polymerization and living polymers
Ionic polymerization and living polymers
Advances in polymer science, v.7= Fortschritte der Hochpolymeren-Forschung
Advances in polymer science, v.7= Fortschritte der Hochpolymeren-Forschung
Fluorescent polymers
Fluorescent polymers
Future directions in polymer colloids
Future directions in polymer colloidsThe physics of polymers : concepts for understanding their structures and behavior
The physics of polymers : concepts for understanding their structures and behavior
The physics of polymers : concepts for understanding their structures and behavior
The physics of polymers : concepts for understanding their structures and behaviorCurrent Applied Physics
A. N. Aleshin, V. I. Kozub, D.Separation and Purification Technology
Li X.,Chen G.,Xu H.,Jia Q.Chemical Communications
Laidlaw B.,Eng J.,Wade J.,Shi X.,Salerno F.,Fuchter M.J.,Penfold T.J.SCIENCE CHINA Chemistry
Wei, Facai; Zhang, Tingting; Fu, Jianwei; Jing, Chengbin; Cheng, Jiangong; Liu, ShaohuaIndustrial & Engineering Chemistry Research
Aguilar-Lugo, Carla; Suárez-García, Fabián; Hernández, Antonio; Miguel, Jesús A.; Lozano, Ángel E.; de la Campa, José G.; Álvarez, CristinaBiomacromolecules
Shalmani A.A.,Ahmed Z.,Sheybanifard M.,Wang A.,Weiler M.,Buhl E.M.,Klinkenberg G.,Schmid R.,Hennink W.,Kiessling F.,Metselaar J.M.,Lammers T.,Peña Q.,Shi Y.Journal of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Jung Min Lee, 최순자, 심상은Frontiers in Chemistry
El Achi N.,Bakkour Y.,Adhami W.,Molina J.,Penhoat M.,Azaroual N.,Chausset-Boissarie L.,Rolando C.ACS Applied Energy Materials
Chen D.,Song M.,Zhu M.,Zhu T.,Kang P.,Yang X.,Sui G.JOURNAL OF INORGANIC AND ORGANOMETALLIC POLYMERS AND MATERIALS
Jachak, Mahesh; Bhise, Rupali; Chaturvedi, Ankur; Kamble, Vidula; Shankarling, GanapatiACS Nano
Fu, Kuo; Liu, GuofengAngewandte Chemie - International Edition
Guan J.,Sun Z.,Ansari R.,Liu Y.,Endo A.,Unno M.,Ouali A.,Mahbub S.,Furgal J.C.,Yodsin N.,Jungsuttiwong S.,Hashemi D.,Kieffer J.,Laine R.M.Chemical Communications
Hattori Y.,Nishimura N.,Tsutsui Y.,Ghosh S.,Sakurai T.,Sugiyasu K.,Takeuchi M.,Seki S.ACS Applied Materials and Interfaces
Wu Y.,Fei M.,Chen T.,Li C.,Wu S.,Qiu R.,Liu W.European Polymer Journal
Wang M.,Kee S.,Barker D.,Travas-Sejdic J.Advanced Materials
Bao W.,Zhang Y.,Cao L.,Jiang Y.,Zhang H.,Zhang N.,Liu Y.,Yan P.,Wang X.,Liu Y.,Li H.,Zhao Y.,Xie J.Polymer Chemistry
Qiao X.G.,Dugas P.Y.,Prevot V.,Bourgeat-Lami E.Journal of Polymer Research
Lebedev, Oleg; Grigoreva, Alexandra; Chicharov, Aleksandr; Markin, Alexey; Zaitsev, SergeyCCS Chemistry
Jia L.,Xu L.,Liu Y.,Hao J.,Wang X.ACS Macro Letters
Danielsen S.P.O.,Nguyen T.Q.,Fredrickson G.H.,Segalman R.A.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대학원
최근에 발표된 새로운 고분자의 합성법을 알아보고 특히 분자량을 조절할 수 있는 정밀중합에 대해 중점적으로 강의한다.전선 / 대학원
고분자 화학 및 유기합성화학을 기초로 하여 전반적인 고분자합성에 대해 강의하며, 특히 radical 중합, 이온 중합, 광 및 방사선중합과 cyclic organic compounds에 의한 고분자의 합성에 관하여 강조한다. 또한 현재 학계에 관심을 모으고 있는 biopolymers, inorganic polymers의 합성에 관하여도 강론한다.전필 / 학사
고분자화학 1에 이어 여기서는 비비닐계 고분자 물질로서 기본이 되는 단계반응과 개환중합에 대해 설명하고, 주 물질인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마이드에 대해 합성과정과 용도에 대해 설명하고, 열경화성 수지의 대표적인 페놀, 요소, 멜라민의 합성과정에 대하여 고찰한다. 또한 천연고분자 등 기타 고분자물질에 관하여 실생활을 중심으로 소개하고자 한다.전선 / 학사
전선 / 대학원
이 과목은 콜로이드와 고분자 물리의 내용을 기반으로 하여 논리적이고 유기적인 물리화학적 관점을 학생에게 전달하고, 그에 기반하여 학생의 자연 및 공학적 현상에 대해서 분석적 사고력을 증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과목의 주안점은 학생의 독립적 사고력 증진, 콜로이드의 상평형에 대한 이해, 응집에너지밀도에 대한 이해, 고분자 사슬의 구조와 사슬구조 형태의 보편성, 단순혼합체와 고분자용액의 열역학, 산란현상에 대한 이해, 기초 고분자 유변학, 젤, 그리고 고분자 유리상태의 현상학적 이해이다. 수강생의 독립적 사고력 함양을 위하여 적극적 토론 참여와 발표가 필요한 교과목이다.전선 / 대학원
본 과목의 교육목표는 약물전달제제 및 의료 용구를 비롯하여 질병치료에 사용되는 생체재료를 학습함으로써 의약학에서 재료의 역할과 기능을 이해하고 이를 응용할 수 있는 지식기반을 마련하는데 있다. 본 과목에서는 약물전달재료로 사용되는 단백질, 다당류를 비롯한 생체 고분자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 합성 고분자에 대하여 학습한다. 재료의 특성별로는 생분해성 고분자, 수용성 고분자, 하이드로젤 등으로, 구조적으로는 사슬형 고분자, 가교형 고분자 등으로 구분하여 강의한다. 학습내용은 이들 생체재료의 구조와 물성 및 약물과의 상호작용을 담고 있으며, 이들이 사용되는 실제의 예를 대상으로 약물의 효능 상승 및 독소의 감소를 위한 재료적 기능을 분석한다. 또한 약물전달제제가 몸안에 투여 되었을때 유발될 수 있는 다양한 생체반응을 이해하고, 약물전달제제를 개발함에 있어서 부작용 및 독성을 유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재료적 측면에서 예측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시키고자 한다.전선 / 학사
고분자의 구조, 물성에 관한 기본적인 개념과 제조 방법에 대하여 강의한다. 라디칼 중합, 이온 중합, 배위 중합, 단계 중합, 개환 중합, 공중합 등 중합 방법, 메카니즘 및 중합 속도론에 대하여 강의한다. 최근에 개발된 중합 방법 및 고분자를 이용한 반응 등을 다룬다. 상품화된 고분자들의 제조 방법, 물성 및 용도를 소개하고, 첨단 기능소재 및 나노재료로서의 고분자에 대해 알아본다.전선 / 학사
합성 고분자를 중심으로 부가 및 축합에 관한 화학 및 물리적 고찰, 그리고 그 형태와 구조 등에 관하여 강의하며, 특히 용해 파라미터, 고분자 용액의 열역학에 관한 자유부피이론,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polymer chains의 conformation, 고분자 용액의 상분리, 용해도에 따른 fractionation, 분자량과 크기의 측정방법, 주사전자현미경에 관한 논의, 고분자의 결정성에 관한 개념 등을 강조한다.전선 / 대학원
최근 석유자원의 고갈과 이에 따른 원유가의 상승으로 새로운 대체소재의 개발이 중요시되고 있다. 천연고분자는 기존의 석유화학에 기반하는 합성고분자를 대체할 수 있는 소재로 과거부터 이용이 되어 왔으나 일부 천연고분자의 경우 고가인 점에서 그 이용이 제한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의 원유가 상승은 다시 이들 고분자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키고 있다. 본 수업에서는 최근 천연고분자의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전통적으로 천연고분자가 갖는 단점을 극복하는 방안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전선 / 대학원
고분자 물질은 현대 재료 과학 기술의 근본적인 구성 요소이며, 또한 생물학적 시스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교과목은 융합 과학 기술의 연구 및 응용에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고분자 물질에 대한 광범위한 과학 기술적 이해를 제공한다. 분류 체계, 분산도 및 이성질, 유리 형성, 고무 탄성, 지속 길이와 랜덤 코일 역학 등 주요 고분자 개념은 본 교과목의 상반기에 설명되고, 하반기에는 나노기술에 관련되는 몇 가지 예, 특히 특정 블록 공중합체, 탄성체와 소프트 리소그래피, 이온 고분자 (polyelectrolytes), 고분자 섬유와 세 가지 주요 생체고분자: 셀룰로오스, 단백질 및 핵산이 다루어진다. 많은 고분자 물질이 매우 유용한 자기 조립 과정을 보인다는 점을 고려하면, 본 교과목은 “자기 조립에 의한 나노기술” 교과목과 관련이 있으며, 많은 고분자 물질과 액상 고분자에 적용되는 핵심 개념을 다루는 “연성 물질의 물리학” 교과목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전선 / 대학원
목질계 고분자는 풍부한 원료 및 우수한 기계적 특성으로 인하여 석유자원을 대체할 수 있을 무궁한 가능성을 지닌 대표적인 천연고분자이다. 최근 이러한 목질계 고분자를 원료로 기능성 및 목적성을 부여하여 섬유, 필름, 나노/마이크로 입자를 제조하여 대기, 수질, 폐기물의 처리를 위한 환경복원 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활발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목질계 고분자는 탄화 과정을 통하여 친환경/고성능의 탄소섬유 및 다공성 탄소 재료로 제조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한 환경복원 소재 및 에너지 소재로의 활용 또한 꾸준히 보고되고 있다. 본 강의에서는 대표적 목질계 고분자인 리그닌과 셀룰로오스를 이용한 기능성 환경복원 소재 공정에 대해서 학습하고자 한다. 이어서 목질계 고분자의 탄소 소재화 공정 및 에너지 및 환경 소재로의 응용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전선 / 학사
전선 / 대학원
자연 또는 합성 고분자의 과학적 이해와 산업기술 응용에 근간이 되는 고분자 화학의 핵심 개념들이 지난 70년 동안에 많이 확립되었다. 본 강좌에서는 1930년대에 시작된 고분자 가설의 확립으로 시작하여 최근에 논란이 되는 다양한 화학 구조와 분자형태에 따른 고분자 물질의 합성-구조-물성 관계 등을 포함하는 고분자 화학의 핵심 개념들을 소개 한다.전선 / 대학원
고분자의 구조와 물성 상호관련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을 강의하며 특히, linear polymer chain의 conformation, polymer crystals의 chain folding, stereoregularity, polymer의 hydrogen bonding, 고분자의 mechanical property 및 thermal, electrical property에 대하여 강조한다. 한편 고분자의 solvent 및 chemical resistance, adhesion, 압력, 분자량, 시간에 따른 영향 등에 대해서도 아울러 강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