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화학생물공학부
음용수 및 각종 생물(의약, 식품, 등) 및 화학산업 (의류, 반도체 등)의 공정수 생산을 위한 물리 및 화학적 수처리 공정의 기본원리와 응용을 다룬다. 주요 내용으로 물리 및 화학적 수처리 공정의 핵심 공정인 응집, 화학침전, 흡착, 소독, 산화 환원 반응, 막공정 등이다. 이러한 물리 및 화학적 원리가 실제공정의 예측과 제어를 목적으로 한 모델구성에 어떻게 포함되는지 모델구성의 원리와 응용도 함께 다룬다.
loading...
공과대학 화학생물공학부 / 대학원
2024-1학기
권장 선수과목 융합세미나(M2178.000900) , 촉매개론(458.404)
음용수 및 각종 생물(의약, 식품, 등) 및 화학산업 (의류, 반도체 등)의 공정수 생산을 위한 물리 및 화학적 수처리 공정의 기본원리와 응용을 다룬다. 주요 내용으로 물리 및 화학적 수처리 공정의 핵심 공정인 응집, 화학침전, 흡착, 소독, 산화 환원 반응, 막공정 등이다. 이러한 물리 및 화학적 원리가 실제공정의 예측과 제어를 목적으로 한 모델구성에 어떻게 포함되는지 모델구성의 원리와 응용도 함께 다룬다.
Applications of time-of-flight and orbitrap mass spectrometry in environmental, food, doping, and forensic analysis
Applications of time-of-flight and orbitrap mass spectrometry in environmental, food, doping, and forensic analysis
Assessment of risk to non-human biota from a repository for the disposal of spent nuclear fuel at Forsmark
Assessment of risk to non-human biota from a repository for the disposal of spent nuclear fuel at Forsmark
Grüne Halden im Ruhrgebiet = Green mine spoil heaps in the Ruhr = Miiers verts de terrils dans la Ruhr
Grüne Halden im Ruhrgebiet = Green mine spoil heaps in the Ruhr = Miiers verts de terrils dans la Ruhr
청정에너지 기후 그리고 탄소
청정에너지 기후 그리고 탄소
Advances in aerosol filtration
Advances in aerosol filtration
The fate of Greenland : lessons from abrupt climate change
The fate of Greenland : lessons from abrupt climate change
Aerosol effects on climate
Aerosol effects on climate
Carbon sequestration in dryland soils.
Carbon sequestration in dryland soils.
The handbook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e handbook of environmental education
Environmental education and NGOs in Indonesia
Environmental education and NGOs in Indonesia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remote monitoring of the environment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remote monitoring of the environmentAn Introduction to environmental sciences
An Introduction to environmental sciencesThermochemical processing of biomass
Thermochemical processing of biomass
A case for wetland restoration
A case for wetland restoration
Carbon dioxide utilisation: closing the carbon cycle
Carbon dioxide utilisation: closing the carbon cycle
The Asia-Pacific conference on reproductive biology and environmental sciences, Oct. 26, 2001, Gaesin Cultural Center of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Chungbuk, Korea
The Asia-Pacific conference on reproductive biology and environmental sciences, Oct. 26, 2001, Gaesin Cultural Center of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Chungbuk, Korea
Waste treatment and utlization : theory and practice of waste management
Waste treatment and utlization : theory and practice of waste management
Integrating environmental education and science : using and developing learning episodes
Integrating environmental education and science : using and developing learning episodes
Chemistry and the environment
Chemistry and the environment
Impacts of shallow geothermal energy on groundwater quality
Impacts of shallow geothermal energy on groundwater quality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Environmental science and pollution research international
Xuejiao Chen; Jinhong Zhang; Qimei Lin; Guitong Li; Xiaorong ZhaoRemote Sensing Applications: Society and Environment
Chapungu L.,Nhamo L.,Gatti R.C.Hydrological Processes
Riscassi A.,Scanlon T.,Galloway J.IEEE Journal of Selected Topics in Applied Earth Observations and Remote Sensing
Sun H.,Cai C.,Liu H.,Yang B.INTERNATIONAL JOURNAL OF COAL SCIENCE & TECHNOLOGY
Ram, Amit Kumar; Mohanty, Supriya한국자원공학회지
임수경; 장일식Carbon Management
Yasin G.,Ur Rahman S.,Farrakh Nawaz M.,Qadir I.,Zubair M.,Gul S.,Safdar Hussain M.,Zain M.,Athar Khaliq M.The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Ho CS; Peng J; Lv Z; Sun B; Yang L; Zhang J; Guo J; Zhang Q; Du Z; Mao HEnvironmental Modeling & Assessment
Yeboah, Felicia; Ackom, Edward Kofi; Yidana, Sandow Mark; Awotwi, Alfred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Ardon-Dryer K.,Kelley M.C.Environmental science and pollution research international
Nie W; Liu X; Peng H; Liu C; Hua Y; Guo LENVIRONMENTAL POLLUTION
Hoang, Son A.; Bolan, Nanthi; Madhubashani, A. M. P.; Vithanage, Meththika; Perera, Vishma; Wijesekara, Hasintha; Wang, Hailong; Srivastava, Prashant; Kirkham, M. B.; Mickan, Bede S.; Rinklebe, Jorg; Siddique, Kadambot H. M.Solar Energy
Platikanov S.,Tauler R.,Cortina J.L.,Valderrama C.Geocarto International
Sha Z.,Wang Y.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Kattenborn T.,Schiefer F.,Zarco-Tejada P.,Schmidtlein S.Geophysical Research Letters
Chikamoto M.O.,DiNezio P.,Lovenduski N.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Song, Xiwen; Wu, Di; Chen, Xiu; Ma, Zizhen; Li, Qing; Chen, JianminMarine and Freshwater Research
Watson F.T.,Smernik R.J.,Doolette A.L.,Mosley L.M.Functional plant biology : FPB
Ravi V; Raju S; More SJEnvironmental Science: Atmospheres
Akherati, Ali; He, Yicong; Garofalo, Lauren A.; Hodshire, Anna L.; Farmer, Delphine K.; Kreidenweis, Sonia M.; Permar, Wade; Hu, Lu; Fischer, Emily V.; Jen, Coty N.; Goldstein, Allen H.; Levin, Ezra J. T.; DeMott, Paul J.; Campos, Teresa L.; Flocke, Frank; Reeves, John M.; Toohey, Darin W.; Pierce, Jeffrey R.; Jathar, Shantanu H.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학사
해양오염에 관련된 제반 문제들을 폭넓게 다룸으로써 오염현상의 특성과 그 인과관계에 대한 기본적 이해를 도모하는 교과목이다. 해양환경을 오염시키는 무기 및 유기물질의 종류와 특성, 이들 오염물질의 근원과 유입경로, 해양생태계 내에서의 순환경로 및 변화과정, 오염으로 인한 해양생태계의 피해, 그리고 해양오염 방지를 위한 노력 등 해양오염에 대한 다양한 주제들을 강의와 강독 및 토론을 통하여 종합적으로 접근한다.교양 / 학사
지구를 둘러싼 대기의 구조 및 그 속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규모의 기상현상 및 대기운동 전반에 걸쳐 학습하고, 현대사회에서 중요한 관심거리가 되고 있는 기후변화, 대기오염, 오존층 등의 주제를 다루어 교양수준의 대기과학을 접할 수 있는 좋은 강좌로 폭넓은 지식을 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전선 / 대학원
이 과목은 대기오염, 수질오염, 토양오염의 원인과 그 원인해결에 필요한 환경기능신소재의 설계원리에 대하여 강의한다.전필 / 학사
환경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열, 빛, 음에 대한 과학적 기본원리를 연구하며, 건물내부 환경을 조절하는 기술을 이해하도록 한다. 인간은 쾌적한 온도, 습도, 기류와 함께 안전하고 소음이 없으며 활동하기에 적합한 공간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환경을 충족시켜줄 수 있기 위해서 에너지, 온열환경, 습도조적, 일조와 일사, 음향이론, 차음 및 흡음 등의 내용이 제시된다.전선 / 대학원
본 교과목은 탄소(이산화탄소)의 포집, 활용, 저장(Carbon Capture, Utilization, Storage)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기술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탄소가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것을 막는 포집 분야에서는 산업에서의 탄소배출 특성과 저감 및 포집 기술을 다룬다. 포집된 탄소를 변환하는 활용 분야에서는 포집된 탄소의 화학적 및 생물학적 변환의 촉매와 공정을 다룬다. 포집된 탄소를 지하 암석층에 주입하고 저장하는 저장 분야에서는 암석층 특성화, 이산화탄소 유동 특성, 탄소 저장 용량 평가에 대해 다룬다.전선 / 대학원
이 강좌는 해수 및 지하수에 녹아 있는 다양한 물질들의 역할들을 규명, 이해하고 최근 연구결과 소개를 통하여 이에 대한 분석 및 반응 기작에 대한 이해를 목표로 한다.전선 / 대학원
본 과목에서는 식물생산을 위한 환경조절 이론 및 식물생육 반응의 모델링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구체적으로는 작물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 환경요인, 시설내의 미기상 해석, 환경변화 예측, 환경 및 생체정보 계측, 식물 환경조절 이론에 관하여 학습한다. 또한 시설 내 환경조건에 따른 식물생육, 광합성, 기공반응, 배지의 함수율, 기타 환경요인의 조절에 대한 식물생육 반응 모델링 등을 연구한다. 또한 이러한 내용을 조직배양시스템, 온실 작물생산, 무토양재배, 밀폐생태계 식물생산시스템에 대하여 적용한다.전선 / 학사
환경과 지역연구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에게 생태계와 인문활동의 기초로서의 토양을 이해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강의와 실험으로 구성되며, 기후와 식생이 토양의 생성과 발달에 미치는 영향, 토양분류, 세계 대토양, 토양과 토지이용, 토양조사, 토양오염과 관리 등이 주요한 주제를 이룬다.교양 / 학사
해양과 그 환경에 대하여 물리학적, 화학적, 생물학적, 지질학적 특성으로 구분하여 해수의 화학적, 물리적 특성과 해수유동 및 현상에 대하여 알아보고 해수의 성분과 해양 생태계의 전반적인 특성을 이해하도록 하고 해양저의 기원과 구조 및 퇴적 과정에 대한 강의를 한다.전필 / 학사
본 수업은 토양을 일정한 경계를 지니고, 생물과 무생물로 이루어진, 에너지와 물질이 이동하는 시스템이라는 관점에서 토양을 바라봅니다. 본 강의는 토양의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특성을 살펴보고, 이러한 특성이 다양한 환경에서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펴볼 예정입니다.전선 / 학사
최근 10년간 우리나라는 미세먼지(대기 중 에어로졸)로 인한 대기 오염의 심각성을 깊이 체감하며, 국민들의 인식도 꾸준히 성장해왔다. 또한, 기후 변화로 인한 여름철 폭염과 빈번해진 산불 등의 이슈를 통해, 우리는 지구 온도 상승의 실체를 점점 더 뚜렷하게 느끼고 있다. 에어로졸은 인간 건강에 해로운 동시에, 역설적으로 지구 온도 변화에서는 냉각 효과를 보이는 등 복합적인 특성을 지닌다. 그러나 대기 중 에어로졸의 생성과 소멸 과정, 그리고 기후 효과 산정에 대한 과학적 이해는 여전히 불확실성이 큰 영역으로 남아있다. 본 강좌는 에어로졸의 화학적 반응과 기후 효과를 탐구함으로써, 우리가 직면한 환경 문제에 대한 폭넓은 통찰을 제공하고자 한다.전선 / 학사
전선 / 학사
지구상의 물과 관련된 물리-화학-미생물학적인 현상에 대해 공부한다. 지표면 상하부에 존재하는 물의 순환과정, 지구내부의 고체와 유체사이의 동력학적인 관계, 지구내부로 침투한 오염물질의 이동과 관련된 물리-화학적 분석, 물속에서 일어나는 산화-환원반응의 종류, 물과 지각구성물질의 반응과 이에 수반된 수질의 변화, 자연적, 인위적 오염물질의 종류 및 이들의 영향 등에 대하여 다양하게 공부한다.전선 / 대학원
대기의 미량기체는 비록 그 농도가 작아도 산성비, 광학 스모그, 오존층 감소 등의 현상에 직접, 간접적으로 관련이 있으며 기상의 변화에 끼치는 영향이 크다. 특히 대류권내 미량 화학성분들의 변화는 지구환경에 매우 중요하다. 본 과정에서는 대기를 화학환경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됨을 기본으로 하며 특히 최근 대기환경 영역에서 새로이 주목받고 있는 에어로졸 연구분야를 중점적으로 다루도록 한다.전선 / 학사
에너지⦁자원 산업으로부터 배출되는 탄소를 저감하기 위해서는 탄소 포집, 활용, 저장(CCUS; Carbon Capture, Utilization, Storage) 기술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본 교과목에서는 CCUS 기술의 기초 원리에 대해 종합적으로 학습한다. 포집 및 활용 분야에서는 산업에서 배출되는 CO2의 포집 및 저감 기술, 포집한 CO2를 유용한 물질로 전환하는 기술에 대해 학습한다. 저장 분야에서는 CO2 주입과 저장의 전반적인 과정과 암석 및 유체 물성, CO2 저장 매커니즘, CO2 유동 특성, CO2 저장용량 평가, CO2 수송, 경제성 평가 등을 학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