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응용바이오공학과
본 강의에서는 bionanodevice를 구현하는데 필요한 생체 고분자인 DNA, 단백질 등의 분자상호작용 원리, 생체막의 구조와 기능, 전자전달계, 각종 생체 신호전달기 작동 원리와 분자기작을 중점적으로 강의한다. 또한 나노생명과학의 여러 연구방법론을 소개하고 논의한다.
loading...
융합과학기술대학원 응용바이오공학과 / 대학원
2024-1학기
권장 선수과목 나노융합기술: 에너지 및 환경(491.614) , 바이오의약품개발 특강(M1605.000300)
본 강의에서는 bionanodevice를 구현하는데 필요한 생체 고분자인 DNA, 단백질 등의 분자상호작용 원리, 생체막의 구조와 기능, 전자전달계, 각종 생체 신호전달기 작동 원리와 분자기작을 중점적으로 강의한다. 또한 나노생명과학의 여러 연구방법론을 소개하고 논의한다.
Gene and Protein Evolution
Gene and Protein Evolution
Proteomics 방법에 의한 진단유전자 개발 연구 =
Proteomics 방법에 의한 진단유전자 개발 연구 =
Genome editing in drug discovery
Genome editing in drug discovery
Proteins and nucleic acids in plant systematics
Proteins and nucleic acids in plant systematics
DNA conformation and transcription
DNA conformation and transcription
Molecular structures in biology
Molecular structures in biology
Protein-protein interactions in drug discovery
Protein-protein interactions in drug discovery
Genomics, proteomics, and vaccines
Genomics, proteomics, and vaccines
Molecular motors in bionanotechnology
Molecular motors in bionanotechnology
Basic DNA and RNA protocols :: edited by Adrian J. Harwood.
Basic DNA and RNA protocols :: edited by Adrian J. Harwood.
Molecular biology techniques : an intensive laboratory course
Molecular biology techniques : an intensive laboratory courseNanobiotechnology II : more concepts and applications
Nanobiotechnology II : more concepts and applications
Organelle proteomics
Organelle proteomics
Circulating microRNAs : methods and protocols
Circulating microRNAs : methods and protocols
DNA methylation : approaches, methods, and applications
DNA methylation : approaches, methods, and applications
The future of Drug discovery : from bedside to Wall Street
The future of Drug discovery : from bedside to Wall Street
DNA-protein interactions : principles and protocols
DNA-protein interactions : principles and protocols
DNA 마이크로어레이: 유전자 분석의 혁신
DNA 마이크로어레이: 유전자 분석의 혁신
비암호화 DNA의 비밀
비암호화 DNA의 비밀
Chemoinformatics : concepts, methods, and tools for drug discovery
Chemoinformatics : concepts, methods, and tools for drug discoveryMolecular biology of the cell
Molecular biology of the cell
Molecular biology of the cell.
Molecular biology of the cell.
Molecular biology of the cell
Molecular biology of the cell
Molecular biology of the cell
Molecular biology of the cellMolecular biology of the cell : a problems approach
Molecular biology of the cell : a problems approach
Molecular biology of the cell
Molecular biology of the cell
Molecular biology of the cell
Molecular biology of the cell
Molecular biology of the cell
Molecular biology of the cellPharmaceutical research
Da Sun; Zheng-Rong LuJournal of Lipid Research
Souza D.R.,Silva A.R.M.,Ronsein G.E.Frontiers in Chemistry
Delre P.,Caporuscio F.,Saviano M.,Mangiatordi G.F.Frontiers in Molecular Biosciences
Wu X.,Li Z.,Chen G.,Yin Y.,Chen C.Y.C.BMC Genomics
Troll C.J.,Kapp J.,Rao V.,Harkins K.M.,Cole C.,Naughton C.,Morgan J.M.,Shapiro B.,Green R.E.Egyptian Journal of Medical Human Genetics
Mehmet Manaz; Ömer Faruk Karasakal; Ebru Özkan Oktay; Mesut KarahanViruses
Condezo G.N.,Martín C.S.PLoS Genetics
van Ravesteyn T.W.,Dols M.A.,Pieters W.,Dekker M.,Te Riele H.Nano Letters
Shah S.,Dubey A.K.,Reif J.Molecular Systems Biology
Thielert M.,Itang E.C.M.,Ammar C.,Rosenberger F.A.,Bludau I.,Schweizer L.,Nordmann T.M.,Skowronek P.,Wahle M.,Zeng W.F.,Zhou X.X.,Brunner A.D.,Richter S.,Levesque M.P.,Theis F.J.,Steger M.,Mann M.대한기계학회논문집 A
문상준, 윤재영, 이승섭, 남홍길, 지연태MOLECULES
Quemener, Anais M.; Centomo, Maria Laura; Sax, Scott L.; Panella, RiccardoHuman molecular genetics
Schipper M; Posthuma DXenobiotica; the fate of foreign compounds in biological systems
Liao MZ; Leipold DD; Chen SC; Li Z; Kamath AV; Li CNature Chemical Biology
Zhao S.,Adamiak J.W.,Bonifay V.,Mehla J.,Zgurskaya H.I.,Tan D.S.REGULATORY TOXICOLOGY AND PHARMACOLOGY
Doktorova, Tatyana; Dobo, Krista; Hasselgren, Catrin; Ahlberg, Ernst; Akahori, Yumi; Amberg, Alexander; Anger, Lennart T.; Atienzar, Franck; Auerbach, Scott; Beilke, Lisa; Bellion, Phillip; Benigni, Romualdo; Bercu, Joel; Booth, Ewan D.; Bower, Dave; Brigo, Alessandro; Cammerer, Zoryana; Cronin, Mark T. D.; Crooks, Ian; Cross, Kevin P.; Custer, Laura; Faulkner, David; Ford, Kevin A.; Fortin, Marie C.; Frericks, Markus; Gad-McDonald, Samantha E.; Gellatly, Nichola; Gerets, Helga; Gervais, Veronique; Glowienke, Susanne; Van Gompel, Jacky; Harvey, James S.; Hillegass, Jedd; Honma, Masamitsu; Hsieh, Jui-Hua; Hsu, Chia-Wen; Barton-Maclaren, Tara S.; Johnson, Candice; Jolly, Robert; Jones, David; Kemper, Ray; Kenyon, Michelle O.; Kruhlak, Naomi L.; Kulkarni, Sunil A.; Kuemmerer, Klaus; Leavitt, Penny; Masten, Scott; Miller, Scott; Moudgal, Chandrika; Muster, Wolfgang; Paulino, Alexandre; Lo Piparo, Elena; Powley, Mark; Quigley, Donald P.; Reddy, M. Vijayaray; Richarz, Andrea-Nicole; Schilter, Benoit; Snyder, Ronald D.; Stavitskaya, Lidiya; Stidl, Reinhard; Szabo, David T.; Teasdale, Andrew; Tice, Raymond R.; Trejo-Martin, Alejandra; Vuorinen, Anna; Wall, Brian A.; Watts, Pete; White, Angela T.; Wichard, Joerg; Witt, Kristine L.; Woolley, Adam; Woolley, David; Zwickl, Craig; Myatt, Glenn J.한국지능시스템학회 논문지
이상용, 김은경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 B
Hu P.,Wang X.,Wei L.,Dai R.,Yuan X.,Huang K.,Chen P.Analytical Methods
Kumar, Bharath SampathJOURNAL OF HEMATOLOGY & ONCOLOGY
Cheng, Sha-Sha; Yang, Guan-Jun; Wang, Wanhe; Leung, Chung-Hang; Ma, Dik-Lung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필 / 대학원
이 과정은 제약 또는 생물 약제 개발의 주요 문제와 단계에 대한 설명과 비판적 평가를 제공합니다. 다루는 주제에는 약물 발견, 전임상 개발, 임상 조사, 중소 분자에 대해 고려 된 제조 및 규제 문제, 약물 개발 과정의 경제적 및 재정적 고려 사항이 포함됩니다. 임상, 생명 및 관리 과학을 대표하는 교수진은 종합적인 관점을 제공합니다.전선 / 대학원
생체에서 활성화되는 화학물질 중 free radical을 일으키는 물질은 자연계에 많이 존재하는데 인체내에서 free radical의 생성반응, 검색방법 및 각 조직별 독성 반응의 특징에 대해 강술한다. 또한 이러한 공격을 차단할 수 있는 defense system을 공부하여 free radical의 생체공격과 질병과의 상관성에 대해 토론한다.전선 / 대학원
인체유래물이란 인체로부터 수집하거나 채취한 조직ㆍ세포ㆍ혈액ㆍ체액 등 인체 구성물 또는 이들로부터 분리된 혈청, 혈장, 염색체, DNA, RNA, 단백질 등을 말한다. 해당 교과목은 인체유래물을 활용한 cell line model, xenograft model, organoid model 구축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또한 인체유래물을 활용한 다양한 연구 방법 등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전선 / 대학원
본 핵산화학 강의에서는 유전물질로서의 DNA와 RNA의 화학 구조와 특징은 물론 이들의 생합성과 DNA to RNA to protein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유전정보 대사 과정들에 대하여 배우고자 한다. 또한, 유전자 발현 조절 과정과 조절 원리에 대하여 학습하며, 특히, 최근에 보고되고 있는 새로운 조절 원리들, 예를 들면 phase separation과 유전자 발현 조절, epigenetic control 원리들을 학습함으로써 전반적인 유전자 발현 조절 현상들을 폭넓게 이해하고자 한다.전선 / 대학원
AI 신약개발 사례 세미나는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신약개발의 최신 사례를 분석하고 논의하는 세미나 수업 형태의 과목이다. 본 과목에서는 AI 기반 신약개발의 기본 개념과 응용 분야를 학습하고, 실제 연구 및 산업에서 활용된 사례를 중심으로 AI 기술이 신약개발 과정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탐구한다. 또한, AI를 활용한 후보물질 발굴, 약물 최적화, 임상시험 설계 등 다양한 응용 사례를 다루며, 산업적 도전과 규제 이슈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1) AI신약개발의 개념과 응용 분야를 이해하고, 2) AI 기술을 활용한 신약개발 사례를 학습하며, 3) AI 기반 신약개발의 장점과 한계를 분석하고, 4) AI 신약개발의 최신 연구 동향과 산업 적용 가능성을 탐구한다.전선 / 대학원
대학원생들을 위한 과목으로 핵산 (DNA와 RNA)의 합성, 기능 그리고 분해에 대하여 생화학적 측면을 다루는 과목이다. 구체적으로는 진핵생물 유전자의 발현과정과 그의 조절을 전반적으로 다루고, 관련 실험들에 대한 이론을 익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이와 관련하여 최근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microRNA들의 유전체학과 타겟팅에 대해서도 다루고자 한다.전선 / 학사
현대생물학의 기초가 되는 연구방법들에 대해 소개 및 실습을 행한다. 본 실험(Ⅱ)에서는 유전학 및 생리학(동물, 미생물) 강좌의 주요 내용을 실험을 통하여 이해하기 위해 개설되었다. 유전학 분야에는 초파리 유전, 꽃 발달 유전적 조절, 동물세포혈질전환, 식물세포형질전환, 플라스미드 분리 및 재 조합 단백질 생산등의 실험이 있으며, 생리학 분야에서는 미생물 배양과 성장 분석법, 미생물광합성, 생쥐배아 발생, 호르몬 측정 등의 실험이 있다.전선 / 대학원
본 과정에서는 신약개발에 응용할 수 있는 시스템약물학적 연구기법의 응용에 대해 학습한다. 시스템생물학에서 이용되는 오믹스데이터 마이닝기법, 줄기세포, 다차원 세포배양계, 세포역학계의 약물학적 응용에 대해 학습한다.전선 / 대학원
분자세포 생물학 분야에 속하는 최근의 중요 연구에 대한 문헌의 고찰을 중점적으로 다루는데, 전 분야에 대한 최근의 연구동향을 review하여 보고 매년 한 분야내지 두 분야에 대해 각자가 직접 문헌을 찾고 발표를 하면서 학문의 깊이와 이에 대한 이해를 돕도록 한다. 또한 전공분야 이외의 생물학 전반에 걸친 기초적인 탐구방향을 제시함으로써 각자의 전공과 유기적인 관계속에서 학문을 수행할 수 있는 연구품성 및 자질을 함양하며, 급격하게 변모하는 학문발전 추세에 대한 진취적인 수용적 자세와 비판적 능력을 아울러 갖출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