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화학생물공학부
음용수 및 각종 생물(의약, 식품, 등) 및 화학산업 (의류, 반도체 등)의 공정수 생산을 위한 물리 및 화학적 수처리 공정의 기본원리와 응용을 다룬다. 주요 내용으로 물리 및 화학적 수처리 공정의 핵심 공정인 응집, 화학침전, 흡착, 소독, 산화 환원 반응, 막공정 등이다. 이러한 물리 및 화학적 원리가 실제공정의 예측과 제어를 목적으로 한 모델구성에 어떻게 포함되는지 모델구성의 원리와 응용도 함께 다룬다.
loading...
융합과학기술대학원 분자의학 및 바이오제약학과 / 대학원
2025-2학기
권장 선수과목 의약면역학특강(375.737A) , 응용바이오공학 개론(M3293.000200)
인간 장기와 체계별로 흔히 발생하는 질병들을 중심으로 병태생리기전을 소개한다.
頭痛の話 : 片頭痛から遺伝子異常まで
頭痛の話 : 片頭痛から遺伝子異常まで
Arthritis and you : a comprehensive digest for patients and caregivers
Arthritis and you : a comprehensive digest for patients and caregivers
(에이멘 박사의) 브레인 다이어트
(에이멘 박사의) 브레인 다이어트
Multiple sclerosis
Multiple sclerosis
Joslin's diabetes mellitus.
Joslin's diabetes mellitus.
BSAVA manual of canine and feline oncology
BSAVA manual of canine and feline oncology
Merritt's neurology
Merritt's neurology
實用針灸學
實用針灸學Modern nutrition in health and disease;: dietotherapy.
Modern nutrition in health and disease;: dietotherapy.
Endometriosis in clinical practice
Endometriosis in clinical practiceAlzheimer's disease : life course perspectives on risk reduction
Alzheimer's disease : life course perspectives on risk reduction
Clinical sports medicine : medical management and rehabilitation
Clinical sports medicine : medical management and rehabilitation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MSphere
Radisavljevic, Nina; Metcalfe-Roach, Avril; Cirstea, Mihai; Tabusi, M. Mahebali; Bozorgmehr, Tahereh; Bar-Yoseph, Haggai; Finlay, B. BrettJournal of Orthopaedic Surgery and Research
Li Y.,Gu Z.,Ning R.,Yin H.CLINICAL MEDICINE INSIGHTS-CARDIOLOGY
Kalra, Dinesh K.; Raina, Anvi; Sohal, SumitPLoS ONE
Lee H.J.,Lee J.,Yoon C.,Park Y.,Joo Y.H.,Park J.O.,Seo Y.J.,Park K.H.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Gromisch ES; Neto LO; Lo AC; DeLuca GC; Turner AP; Agresta T; Castiglione AS; DelMastro HMJournal of Epidemiology
Kim E.S.,Yeo J.,Kim Y.,Ha I.H.The Lancet Healthy Longevity
David G, LoughreyMultiple sclerosis and related disorders
Sandhya P; Akaishi T; Fujihara K; Aoki MEye (London, England)
Leonardi A; Feuerman OM; Salami E; Lazzarini D; Cavarzeran F; Freo U; Maggioni FJournal of neural transmission (Vienna, Austria : 1996)
Bovenzi R; Pierantozzi M; Conti M; Carignani S; Fernandes M; Schirinzi T; Cerroni R; Mercuri NB; Stefani A; Liguori Cnpj Parkinson's Disease
Meira B.,Degos B.,Corsetti E.,Doulazmi M.,Berthelot E.,Virbel-Fleischman C.,Dodet P.,Méneret A.,Mariani L.L.,Delorme C.,Cormier-Dequaire F.,Bendetowicz D.,Villain N.,Tarrano C.,Mantisi L.,Letrillart H.,Louapre C.,McGovern E.,Worbe Y.,Grabli D.,Vidailhet M.,Hainque E.,Roze E.International journal of surgery (London, England)
Chan VW; Abul A; Osman FH; Ng HH; Wang K; Yuan Y; Cartledge J; Wah TM湖北体育科技 / Hubei Sports Science
王娟; 汪学红; WANG Juan; WANG XuehongWorld neurosurgery
Marchesini N; Fernández Londoño LL; Griswold D; Rubiano AMJournal of Medicinal Food
Sara Farnetti, Maria Assunta Zocco, Matteo Garcovich, Antonio Gasbarrini, Esmeralda CapristoClinical neurology and neurosurgery
Jon Raso; Pramod N. Kamalapathy; Lawal Labaran; Anna Sumpter; Rana Rahman; Hamid HassanzadehCortex
Biggi M.,Contento M.,Magliani M.,Giovannelli G.,Barilaro A.,Bessi V.,Lombardo I.,Massacesi L.,Rosati E.BMJ Open
McNamara L.,Scott K.,Boyd R.N.,Farmer E.,Webb A.,Bosanquet M.,Nguyen K.,Novak I.Signal Transduction and Targeted Therapy
Wei J.,Li M.,Ye Z.,Hu X.,He X.,Wang J.,Chen G.,Zou C.,Xu D.,Zhang H.,Yuan J.,Zha Y.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Selleski N.,Zandonadi R.P.,Milde L.B.,Gandolfi L.,Pratesi R.,Häuser W.,Uenishi R.H.,Nakano E.Y.,Pratesi C.B.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필 / 대학원
최근에 고령화 사회에 따라 전신질환과 구강질환의 관련성이 증대되고 있고 특히 구강질환의 진행에 따라 삶의 질이 현저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삶의 질의 변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구강질환에 대하여 그 질환의 특성, 치료 및 삶의 질 개선 방안 등에 관하여 학습하고 토론한다.전필 / 대학원
질병과 건강의 기본적인 개념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며, 생물학적 손상의 의미를 세포에서 출발하여 전신으로 확대시키면서 이해한다. 동시에 두경부 영역의 해부학적구조의 이해를 통해 구강질환에 대한 이해의 기본적인 영역을 학습한다.전선 / 학사
이 강좌는 영양학 전반에 걸친 토의를 시작으로 필수영양소, 비타민, 미네랄 등이 질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토의한다. 학생들은 수업이 끝난 후에 다음과 같은 내용들을 습득할 수 있다. ∎ 세포, 조직, 몸 전체 안에서의 영양소의 metabolism ∎ 음식섭취와 금식 상태, 그리고 운동할 때와 휴식을 취할 때의 에너지 metabolism ∎ 음식과 생활습관에 따른 건강의 개념 ∎ 생애주기별 영양소의 변화와 수요 ∎ 연구내용의 올바른 발표능력과 서술 방법 기술전선 / 대학원
감염병의 진단 및 추적을 위하여 임상검체에서 미생물을 동정하고 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과정을 통하여, 임상미생물 검사실에서 필요한 미생물에 대한 기초표현형은 물론 최신 분자미생물학적 지식 및 술기를 습득하고, 임상에 필요한 적절한 자문을 하기 위한 소양을 함양하며, 최신 미생물 진단기법 및 연구 분야에 응용할 수 있도록 한다.전선 / 대학원
약물요법 도중 원하지 않는 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여러 상황에 대하여 임상약리학적인 측면에서 통합적 접근법을 통하여 이해함으로써, 보다 적절한 약물요법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한다. ADR의 정의, terminology, 이상반응 빈도 파악을 위한 자료 수집방법, 인과관계 감별, 보고방법, 제도 및 규정, 발생시 조치 등에 대하여 다룬다.전선 / 대학원
사회경제적인 발달에 따라 치과진료실에서 소아환자에 있어 치과치료를 받는 일이 드물지 않게 되었다. 하지만 성인과 달리 소아 환자는 진정법 또는 진정법 또는 전신마취 하 치과치료를 받는 일이 흔하다. 따라서 치과의사들도 성인과 다른 소아환자의 생리학적 특성 및 진정법 혹은 전신마취하 소아 환자 감시에 대한 대해 심도 있는 지식을 요구하게 되었다. 본 강좌에서는 성인과 다른 소아환자의 호흡기계, 순환기계, 중추신경계의 특징 및 혈압, 맥박수, 호흡같은 활력징후의 차이점 및 소아 환자에서의 진정법, 전신마취 후 호흡기계, 심순환계 기능의 변화의 감시 및 소아환자에서의 진정 깊이의 감시를 위한 실제적인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전선 / 학사
현재 수의학에서 사용하고 있는 치료/예방 연구는 사람연구를 기초로 하고 있다. 하지만 동물들에게 필요한 치료법과 질병 예방법들이 분명히 존재하고 이를 위한 연구 또한 필요시 되고 있다. 수의통합의학과목에서는 복잡하고 다양한 질병치료와 예방에 있어서 전통적인 치료방법과 대체의학을 접목하여 현재 동물들에게서 진행되고 있는 대체의학을 이용한 질병치료/예방에 대해서 토의하게 된다. 4명의 교수님들이 각자의 전공분야를 바탕으로 다양한 치료방법에 대하여 강의한다.전필 / 대학원
개인과 가정을 대상으로 구강상병이 발생되지 않도록 사전에 예방하여 구강건강을 증진 유지시키는 원리와 방법을 학습한다. 개인구강건강관리를 위한 치면세균막관리법, 불소도포법, 치면열구전색법 및 식이조절 등의 예방법과 집단구강건강관리를 위한 역학조사방법의 훈련 및 지역사회구강보건사업의 현장실습을 통해 예방적 치과의료를 이해한다.전선 / 대학원
뇌혈관질환, 간질, 치매등 신경질환에 대한 핵의학적 접근방법과 여러가지 뇌활성화 검사방법과 결과에 대한 이해에 관한 내용을 다룬다.전선 / 학사
신경외과적 질환에 대한 지식의 습득과 응급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 교과과정이다. 구체적인 학습내용은 신경외과 질환에 대한 전반을 고찰하고 질환의 병태생리, 경과, 치료법 및 발전방향 등에 관해 습득하고 실습을 통하여 병실에서 행해지는 각종 임상수기, 치료경과 등을 관찰할 수 있는 기회를 갖는다.전선 / 대학원
본 강좌는 질병 예방의 각 단계를 이해함을 목적으로 한다. 임상 예방의학의 표적 집단은 건강한 일반인구집단과 아직 질병이 발생하기 전 단계의 개인임을 파악하고, 어떤 표적집단인지에 따라 질병 예방의 원칙을 파악하고 개별 전략을 수립하는 방법을 터득한다. 또한 이 강좌에서는 의학적 증거에 기반하여 어떤 예방적 도구, 약물, 시술 등을 선택할 것인지에 대해 원칙을 터득하며, 예방적 도구, 약물, 시술 등의 예방 방법들을 이용한 미래지향적인 발전방향을 소개한다.전필 / 학사
소화기, 면역, 정신과, 골관절, 산과, 피부질환 및 소아 module 약물치료학에서는 소화기, 면역, 정신과, 골관절, 산과, 피부질환 및 소아 환자의 질병치료에 있어서 최적의 약물요법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과학적인 접근방법으로 약물의 효능, 독성을 모니터링하고 약인성 질환을 발견 및 관리 할 수 있는 임상약학적인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도록 한다. 또한 임상약학 지식의 응용능력 향상과 학술발표 능력 연마를 위하여 단계적인 이론수업과 해당 질병별 환자사례의 분석 및 발표시간을 병행하여 진행한다.전선 / 대학원
두통 및 안면통은 악구강영역에서 나타나는 만성적인 통증으로 사회의 다양화 및 전문화와 더불어 증가 추세에 있으며 삶의 질적 향상에 저해요소가 되고 있다. 본 교과목에서는 두통 및 안면통의 특성과 발병기전 및 그 치료방법들에 대하여 교육하고 이러한 통증을 연구하기 위한 최신 지견 및 방법론을 소개하도록 한다.전선 / 대학원
측두하악장애 및 두경부 만성동통 환자들의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 교합안정장치와 더불어 가장 많이 이용되는 것이 물리치료이다. 물리치료의 목표는 악관절과 경추의 운동능력 및 기능을 회복하는데 있으며 나아가 기능장애를 유발할 수 있는 자세를 교정하고 근육들을 신장시키거나 근력을 증가시키는데 있다. 본 강좌에서는 물리치료의 방법과 수조작 및 운동요법 모두를 다루며 각종 물리치료의 인체에 대한 생리적 기전 및 치료효과에 대하여 교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