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loading...
농업생명과학대학 농경제사회학부 / 학사
2025-1학기
권장 선수과목 농업경제학(5201.201) , 경제통계학(M2649.001500)
본 수업에서는 경제학 기본이론, 통계학, 경제수학 등을 이수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농업경제 현상에 관련된 경제변수들의 관계를 측정하기 위한 기본이론을 다룬다. 모델설정, 추정, 예측 및 정책분석을 궁극적 목표로 하며 이를 위해서 필요한 회귀분석, 중회귀분석, 시계열 분석 등을 학습한다. 또한 이론만이 아니라 이를 실증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컴퓨터 실습시간을 가진다.
Economic geographies : circuits, flows and spaces
Economic geographies : circuits, flows and spaces
Agricultural use of groundwater : towards integration between agricultural policy and water resources management
Agricultural use of groundwater : towards integration between agricultural policy and water resources managementThe Agricultural development of Peru
The Agricultural development of Peru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Growth and adjustment in national agricultures : four case studies and an overview
Growth and adjustment in national agricultures : four case studies and an overview
The United Kingdom
The United Kingdom
Energy requirements for agriculture in california
Energy requirements for agriculture in californiaAsian cases on agricultural research management.
Asian cases on agricultural research management.
Economic geography of higher education : knowledge, infrastructure, and learning regions
Economic geography of higher education : knowledge, infrastructure, and learning regions
Logics of dislocation : models, metaphors, and meanings of economic space
Logics of dislocation : models, metaphors, and meanings of economic space
Urbanization and development : Selected Essays
Urbanization and development : Selected Essays
Beyond proprietorship : Murphrees's laws on community-based natural resources management in southern Africa
Beyond proprietorship : Murphrees's laws on community-based natural resources management in southern Africa
Sport, events, tourism and regeneration
Sport, events, tourism and regenerationExperiences, innovations and issues in agricultural extension in Uganda : lessons and prospects
Experiences, innovations and issues in agricultural extension in Uganda : lessons and prospects
Agricultural production function
Agricultural production function
Low carbon green growth roadmap for Asia and the Pacific : turning resource constraints and the climate crisis into economic growth opportunities.
Low carbon green growth roadmap for Asia and the Pacific : turning resource constraints and the climate crisis into economic growth opportunities.
Natural resource conservation : management for a sustainable future
Natural resource conservation : management for a sustainable future城市观察 / Urban Insight
付莹; 李红宝; 周清雅; 廖顺意; Fu Ying; Li Hongbao; Zhou Qingya; Liao ShunyiEnvironmental Science and Pollution Research
Mingming Zhang; Fangting Chen; Liyun Liu; Dequn ZhouKorea Observer
김철규Regional Science and Urban Economics
Bacolod M.,Blum B.S.,Rangel M.A.,Strange W.C.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Qu Z.,Zhang J.,Zeng M.,Zhang K.,Xu D.,Qi Y.,Deng X.嘉应学院学报 / Journal of Jialing University
王辰璇; 陈莉; 张安安; WANG Chen-xuan; CHEN Li; ZHANG An-an天津商务职业学院学报 / Journal of TIANJIN Collece of Commerce
王业娜; 王若军; 张彦欣; WANG Ye-na; WANG Ruo-jun; ZHANG Yan-xin中国农业资源与区划 / Chinese Journal of Agricultural Resources and Regional Planning
郑玉雨; 王德嵘; 刘文华; 杨晓梅; 尹昌斌; Zheng Yuyu; Wang Derong; Liu Wenhua; Yang Xiaomei; Yin Changbin北方民族大学学报(哲学社会科学版) / Journal of Beifang University Of Nationalities
王海兵; 马永吉; WANG Hai-bing; MA Yong-ji华中农业大学学报(社会科学版) / Journal of Huazhong Agricultural University (Social Sciences Edition)
陈涛; 杨佳怡; 陈池波; CHEN Tao; YANG Jiayi; CHEN ChiboIndi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Kumari, Archana; Diwakar, D. M.Journal of Urban Management
Fiorini L.,Zullo F.,Marucci A.,Romano B.Land Use Policy
Suhardiman D.,Phayouphorn A.M.,Gueguen A.,Rigg J.Finance Research Letters
Yang J.,Zhou C.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Phiri, Resego; Rangappa, Sanjay Mavinkere; Siengchin, SuchartJOURNAL OF CONTEMPORARY AFRICAN STUDIES
Mazwi, Freedom; Chambati, Walter; Mudimu, George T.遵义师范学院学报 / Journal of Zunyi Normal College
叶宇; YE YuTransylvanian Review
장익훈; 최영찬科技管理研究 / Science and Technology Management Research
陈亮; Chen LiangPLOS ONE
Grueter, Roman; Trachsel, Tim; Laube, Patrick; Jaisli, Isabel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학사
산업입지에 관련된 여러 이론을 연구하고, 이들 이론과 실제를 비교 분석한다. 특히 근대 입지론에서 논의되고 있는 새로운 경향에 중점을 두며, 공업뿐만 아니라 농업, 교통 등 기타 여러 지리학 분야에서 취급되는 입지(location)에 관한 여러가지 이론도 포함시켜 다룬다.전선 / 대학원
농촌은 단순히 농업생산의 기지를 벗어나 국토면적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공간으로써 환경보전의 핵심기반이며 동시에 미래자원개발의 보고라고 인식해야 한다. 이러한 농작물을 포함한 농업생산물과 농촌공간의 생물다양성의 관점에서 다양한 농촌자원의 관리방안에 대해 살펴보는 과목이다. 과정을 통하여 농촌자원 개발과 관련된 다양한 사례를 바탕으로 농촌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공학적 접근방법들을 익힌다. 무엇보다 여러 국가의 국가별 혹은 지역별 자원 특성에 따른 효과적인 관리 및 개발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실제 대상국가를 통해 적용해 봄으로써 향후 학생들이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전선 / 대학원
본 교과목은 산촌의 다양한 특성을 고려한 지역 이슈를 제기하고 산촌 발전에 관한 다양한 제도와 정책을 다룬다. 산촌 지역의 환경, 경제, 사회적 이슈의 변화를 파악하고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역할을 살펴본다. 산림자원을 기반으로 지역 발전을 도모하여 성공한 사례와 실패한 사례를 분석하고, 지역 발전 성공 모델의 요건을 검토한다. 산촌 지역과 도시 지역의 공생에 초점을 맞추어 산림자원의 생산과 소비를 연계시키고, 산촌 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정책에 대해 논의한다.전선 / 대학원
농림기상학과 관련된 연구과제에 대한 발표와 토론을 통해 이론과 실제를 탐구하고 보고서를 작성, 결과를 발표하여 토론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실질적인 연구의 문제제시, 가설정립, 실험설계, 구체적 방법론 확립, 합리적인 결과 해석, 결론 도출과 발표 및 소통능력을 함양한다.전선 / 학사
시간이란 인적자원, 물적자원과 함께 가계의 중요한 자원 중 하나로 새로운 시장환경에서 시간자원에 대한 관심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이에 본 과목에서는 ‘생활을 영위하는 중심적인 자원’으로서의 시간을 이해하고, 이와 관련된 이론 및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함으로써 시간자원의 활용을 이해하기 위한 역량을 키우고자 한다. 또한 소비자 시간사용 실태를 이해하고 분석하기 위한 역량을 키움으로써 생활시간연구의 적용과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전선 / 대학원
농식품산업 분야에서 핵심 기술로 부상하는 스마트팜과 관련된 경제 이슈를 다룬다. 스마트팜과 관련된 농식품 생산, 유통, 소비에 대해 학습한다. 이와 연계된 IT, BT 등 전·후방산업 비즈니스 현황을 파악하고 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시야를 확보하게 한다. 나아가 환경, 생태 등 지속가능 개발을 위한 스마트팜의 공익적 기능에 대한 가능성도 함께 학습한다. .전선 / 대학원
이 과목에서는 건조환경, 도시개발과 계획, 건강도시 등을 비롯한 도시화 및 도시 생애주기 관련 도시건강의 주요 사안들을 살펴보고, 이러한 도시특성과 도시건강과의 관계에서 작용하는 커뮤니티의 역할과 활동을 탐색한다. 그리고 도시체계와 정책, 거버넌스를 통해 발달과 균형을 추구하는데 기본이 되는 도시의 계획과 건강의 통합적 접근을 논의한다. 이를 위한 다학제, 다부문 접근의 원칙과 사례를 학습하고 비평한다.전선 / 대학원
스마트도시에 대한 전 세계적인 관심이 급증함에 따라 본 과목에서는 관련된 국내외 다양한 논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주요 세미나 주제로는 스마트도시의 등장과 발전과정, 국가스마트시티 전략의 주요 내용과 그 한계, 미래도시를 위한 계획이론으로서의 스마트도시의 가능성, 도시 운영체계로서 여러 도시 정부에서의 도입하고 있는 스마트도시 개발 전략, 최신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와 공간 데이터를 활용한 스마트도시 개발 방향, ICT 기술이 도시 공간과 근린생활에 미치는 영향 등이다. 본 세미나를 통해 세계 여러 곳에서 직면하고 있는 급격한 도시화와 사회 및 환경 변화에 대해 스마트시티의 비전이 어떻게 작동할 수 있는 지를 살펴봄으로써 스마트시티에 대한 전문적인 이해와 관련 소양을 쌓고자 한다.전선 / 학사
본 교과목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인 인공지능 기술의 기본 개념과 작동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농업에 활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배우는 것을 학습 목표로 한다. 인공지능 기술 분야인 전문가시스템, 퍼지이론, 유전 알고리즘, 인공신경망 및 딥러닝에 대해서 학습한다. 학습한 개념들의 농업 적용과 활용 사례들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를 실제 농업 현장에 응용하는 능력을 습득하도록 한다.전선 / 학사
농업생태계 연구에 활용되어 온 원격탐사의 최신 기술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은 작물 육종 및 표현형 정량화를 효과적으로 지원하고, 스마트 농업, 디지털 농업 등 미래의 농업을 지원하기 위해 필수적임. 과목 전반에 걸쳐 가시광선부터 극초단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파장대별 원격탐사 기술을 소개하고, 실제 작물 표현형 정량화, 육종 지원, 디지털 농업 등 농업 지원과 농업 연구에서의 활용을 논의함. 학생들은 원격탐사의 활용을 이해하고 관련 기술에 대한 지식을 쌓을 수 있음.전선 / 학사
교통을 중심으로 공간적 상호작용의 다양한 양상을 다룬다. 공간적 상호작용은 사람ㆍ물자ㆍ정보ㆍ자본 등 다양한 요소의 지역간 유동과 연계를 의미하며, 공간적 상호작용을 위한 하부구조(교통ㆍ통신망)와 그 하부구조 상에서 발생하는 상호작용 양상 모두에 관심을 둔다. 주요 내용은 크게 네트워크 분석과 유통 분석으로 나누어 지며, 공간적 상호작용의 개념, 이론, 기법을 종합적으로 학습한다.전필 / 학사
농촌과 농경지에서의 수문순환과 물질순환의 기초이론을 이해하고, 유출과 함께 발생하는 토립자와 비점오염물질의 운송과정을 학습한다. 농지에서의 토양유실량의 추정기술을 배우고, 토양과 수분의 보전을 위한 영농법과 테라스계획과 시공 및 관리방법, 농지배수조절방법 등에 대한 공학적 원리와 이론을 학습한다. 농지로부터 비료 및 농약 등 농업화학물질 부하량과 배출량의 추정법을 학습한다. 비점오염의 관리를 위한 영농법, 공학적 방법, 그리고 최적관리기법의 특징과 효과, 계획방법 등을 학습한다. 또한, 농업기반조성사업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논, 밭의 공학적 기술에 대하여 살펴본다. 본 강좌에서는 강의--토론과 과제 중심의 실습이 이루어지며, 실습과제의 해결을 통해 공학적인 비점오염 관리방법에 대하여 학습한다.전선 / 대학원
우리나라는 에너지 자원의 고갈에 따른 위기에 직면하고 있으며 고유가 에너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시도하고 있다. 저탄소화 및 녹색산업화에 기반을 두고 녹색 성장력을 배가 시키기기 위한 많은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각 산업 분야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부하의 감소를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농업에서는 소득에 큰 비중을 차지하는 에너지 부하를 절감하고 효율적으로 에너지를 사용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많은 신재생에너지원들은 자연 그대로의 에너지를 활용하므로 수입 에너지에 의존하는 농업 에너지 현실에 근본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본 강의를 통해 농촌 지역의 온실, 축사 등 농업생산ㆍ시설단지에 활용이 가능한 신재생에너지를 소개하고 각각의 에너지원에 대한 기술적 소개 및 기존 에너지원과의 경제성 분석을 실시한다. 또한 이를 이용한 농촌의 수입 증대 및 농촌의 산업 활성화의 기여 방안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전선 / 학사
이 수업은 농업생명과학대학 학부생들에게 4차 산업혁명이 농업에 미치는 영향과 새로운 산업적 기회를 이해하는 기초 토대를 제공한다.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농업기술과 사업모델을 이해하기 위해 농업분야에서 필요한 마케팅 기초를 산업관점에서 접근한다. 이 수업을 통해 농업 마케팅에 필요한 환경변화분석(정치, 경제, 사회, 기술)을 비롯하여 시장세분화, 목표시장선정, 포지션닝을 다루며 마케팅의 주요 구성요소 (제품, 가격, 홍보, 유통)를 실제 농산업의 예를 통하여 이해하고 조별활동을 통해 체화할 수 있는 기회를 얻는다.전선 / 대학원
본 교과목은 학생들의 논문 분석 능력을 함양하기 위하여 분야관련 최근논문을 분석하고 발표하도록 한다. 본 교과목을 수강한 학생들은 연구결과 뿐 아니라 논문을 분석하여 발표하는 전반적인 능력이 함양할 것으로 기대된다.전선 / 학사
생산된 공간에 대한 사후적 해석을 넘어 공간의 생산과 판매과정에 초점을 두어 탐구하는 과목이다. 투자의 기본원리, 중심지 이론과 시장지역분석, 공간개발금융, 기업의 공간조직, 자본의 공간전략으로서 해외직접투자, 공간가치의 평가, 관광자원과 개발, 장소마케팅 등에 대한 개념적인 이해를 제공한다. 이러한 기초적인 개념을 통해 현대 초국적 자본주의 경제체제의 공간경영 원리에 대한 이해를 제고한다.전선 / 학사
이 강좌는 수도권지역이라는 거대 도시권을 대상으로 도시 지리학적 지식을 적용하여 대도시권의 성장과 발전, 그리고 이에 수반되는 문제들을 조명해 보고 문제해결을 위한 대안들을 모색해보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특히 이 강좌에서는 수도권 자체에 대한 이슈들 뿐 만 아니라 수도권을 포함하는 대도시권 일반에서 최근에 나타나는 현상들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새로운 도시이론, 정책, 분석기법 등을 함께 다루게 된다.전선 / 학사
하나의 대륙으로서 유럽전체 뿐만 아니라, 대륙내의 여러 지역이 각각 그 지역적 특성을 형성하게 된 자연, 문화, 사회 및 경제적 요인들을 분석하고 그 과정을 살펴본다.전선 / 학사
본 과목은 합리적인 천연자원의 이용계획을 수립하는데 있어 경제학의 제역할을 고찰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하며 천연자원을 다양한 경제적 요구별로 어떻게 배분하느냐 하는 점을 고찰하되, 천연자원의 특성상 시장기능에 의한 자원의 효율적인 분배가 불가능할 경우 정부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도 고찰한다. 자원의 동태적인 배분원리에 대한 일반이론을 살펴보고 이를 재생불가능한 에너지자원, 수자원, 산림자원, 수산자원, 환경자원 등의 다양한 종류의 천연자원에 적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