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의예과
본 과목에서는 의예과 1학년 학생들이 예비의료인으로서 다양한 역량을 개발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대학생으로서의 자기계발과 진로 등을 생각할 수 있는 경험을 하게하고, 미래의료인으로서 책무성, 리더십 등을 확립할 수 있게 하며, 봉사를 통해 의사로서의 삶과 인간에 대한 이해와 공감을 할 수 있도록 한다.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공학문제를 이해하는데 필요로 하는 역학의 기본적인 사고방법과 해석능력을 높이고 현대적 공학문제를 취급할 수 있도록 작용력을 주었을 때 그에 대한 반응과 움직임의 효과를 예상할 수 있도록 학습하며, 구조물의 창조적인 설계와 적용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 배양에 목적을 둔다. 또한, 기본적인 문제들에 관한 해법을 통해 정역학에 관련된 여러 법칙의 개념과 원리를 익히며 그에 관한 계산방법을 익힌다.산림과학부
기존 학술림 현장학습에 덧붙여 전공과 관련한 다양한 산업현장에서의 체험을 통해 산업현장과 학문분야의 교류 및 학생들에게는 다양한 경험과 현장지식을 얻을 수 있게 해주며 자연과 함께 하는 현장학습을 통해 호연지기를 기르고 자연의 위대함, 소중함과 함께 환경보존의 중요성을 일깨워 줄 수 있도록 한다.
loading...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과학부 / 학사
2025-1학기
권장 선수과목 산림과학개론(500.170) , 목재조직학 및 실험(5242.203)
기존 학술림 현장학습에 덧붙여 전공과 관련한 다양한 산업현장에서의 체험을 통해 산업현장과 학문분야의 교류 및 학생들에게는 다양한 경험과 현장지식을 얻을 수 있게 해주며 자연과 함께 하는 현장학습을 통해 호연지기를 기르고 자연의 위대함, 소중함과 함께 환경보존의 중요성을 일깨워 줄 수 있도록 한다.
Worldwide review of bottom fisheries in the high seas
Worldwide review of bottom fisheries in the high seas
Livestock feeds and feeding
Livestock feeds and feeding
Source book for the inland fishery resources of Africa
Source book for the inland fishery resources of AfricaThe Complete book of salt water fishing
The Complete book of salt water fishing
Recreational fisheries : social, economic, and management aspects
Recreational fisheries : social, economic, and management aspects
Fuel and financial savings for operators of small fishing vessels
Fuel and financial savings for operators of small fishing vessels
Quantitative fisheries stock assessment : choice, dynamics and uncertainty
Quantitative fisheries stock assessment : choice, dynamics and uncertainty
Social issues in sustainable fisheries management
Social issues in sustainable fisheries management
Report of the first lake victoria fisheries organization and FAO regional technical workshop on fishing effort and capacity on lake victoria : Mukono, Republic of Uganda, 8 November 2006
Report of the first lake victoria fisheries organization and FAO regional technical workshop on fishing effort and capacity on lake victoria : Mukono, Republic of Uganda, 8 November 2006
Report of the expert consultation on the FAO guidelines for ecolabelling for capture fisheries, Rome : 3-5 March 2008
Report of the expert consultation on the FAO guidelines for ecolabelling for capture fisheries, Rome : 3-5 March 2008
FAO fisheries technical paper
FAO fisheries technical paperFisheries Management .
Fisheries Management .
Case studies on the effects of transferable fishing rights on fleet capacity and concentration of quota ownership
Case studies on the effects of transferable fishing rights on fleet capacity and concentration of quota ownership
FAO fisheries technical paper
FAO fisheries technical paper
Understanding urban metabolism : a tool for urban planning
Understanding urban metabolism : a tool for urban planningAn appraisal of the commercial fishery potential of krill Nyctiphanes australis Sars in Tasmanian waters
An appraisal of the commercial fishery potential of krill Nyctiphanes australis Sars in Tasmanian waters
FAO Workshop on Sea Cucumber Fisheries : An Ecosystem Approach to Management in The Indian Ocean
FAO Workshop on Sea Cucumber Fisheries : An Ecosystem Approach to Management in The Indian Ocean
Long and short term trends of Mediterranean fishery resources
Long and short term trends of Mediterranean fishery resources
Fisheries and aquaculture emergency response guidance : review recommendations for best practice; FAO Workshop [on "Fisheries and Aquaculture Emergency Response Guidance: Review Recommendations for Best Practice"], 15 - 16 March 2012, Rome
Fisheries and aquaculture emergency response guidance : review recommendations for best practice; FAO Workshop [on "Fisheries and Aquaculture Emergency Response Guidance: Review Recommendations for Best Practice"], 15 - 16 March 2012, Rome
Spring creek
Spring creek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Regional Studies in Marine Science
Safuan C.D.M.,Talaat W.I.A.W.,Aziz N.,Jeofry H.,Lai R.K.,Khyril-Syahrizan H.,Afiq-Firdaus A.M.,Faiz A.M.,Arbaeen M.J.N.,Lua W.Y.,Xue X.Z.,Repin I.M.,Bachok Z.Facets
McClenachan L.,Record N.R.,Waller J.Ecosystem Services
Brück M.,Abson D.J.,Fischer J.,Schultner J.Frontiers in Marine Science
Rehren J.,Gascuel D.수산해양기술연구
최규석; 조현수; 강명희Harvard Environmental Law Review
Young K.,Bork K.Global Sustainability
Raub K.B.,Stepenuck K.F.,Panikkar B.Marine Policy
Pauly D.,Liang C.Fish and Fisheries
Melnychuk M.C.,Ashbrook C.E.,Bell R.J.,Bellquist L.,Kauer K.,Wilson J.R.,Hilborn R.,Odell J.ICES Journal of Marine Science
Van Denderen P.D.,Holah H.,Robson L.M.,Hiddink J.G.,Menot L.,Pedreschi D.,Kazanidis G.,Llope M.,Turner P.J.,Stirling D.,Murillo F.J.,Kenny A.,Campbell N.,Allcock A.L.,Braga-Henriques A.,González-Irusta J.M.,Johnston G.,Orejas C.,Serrano A.,Xavier J.R.,Hopkins P.,Kenchington E.,Nixon E.,Valanko S.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Piet G.,Culhane F.,Jongbloed R.,Robinson L.,Rumes B.,Tamis J.Heliyon
Lala F.,Chiyo P.I.,Kanga E.,Omondi P.,Ngene S.,Severud W.J.,Morris A.W.,Bump J.中国渔业经济 / Chinese Fisheries Economics
王继祯; WANG Ji-zhenSmall-scale Forestry
Sharmin A.,Hossain M.,Mollick A.S.People and Nature
Pease B.S.,Gilbert N.A.,Casola W.R.,Akamani K.Ocean and Coastal Management
Stelzenmüller V.,Letschert J.,Blanz B.,Blöcker A.M.,Claudet J.,Cormier R.,Gee K.,Held H.,Kannen A.,Kruse M.,Rambo H.,Schaper J.,Sguotti C.,Stollberg N.,Quiroga E.,Möllmann C.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Ma S.,Qiao Y.P.,Wang L.J.,Zhang J.C.Frontiers in Marine Science
Lin X.,Hu S.,Liu Y.,Zhang L.,Huang H.,Liu S.Ecological Economics
Jardine S.L.,Fisher M.C.,Moore S.K.,Samhouri J.F.Ecological Indicators
Malcolm I.A.,Millidine K.J.,Glover R.S.,Jackson F.L.,Millar C.P.,Fryer R.J.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학사
본 강의는 산림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 이해하고, 산림 생태계에 대한 정보를 산림 관리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 배양을 목표로 한다. 강의 전반부에는 산림 내 에너지 이동과 물질 순환, 수목의 생장, 숲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환경 요인, 교란, 그리고 환경의 변화에 대한 식생의 대응전략 등에 관해 배운다. 강의 후반부에는 종의 구성 및 분포, 수목 상호간의 관계, 수목과 다른 생물과의 관계, 수목과 환경과의 상호작용, 산림의 시간적 및 공간적 변화, 생태적인 산림관리 방안 등에 대하여 강의한다. 실습을 통하여 산림 식생 자료 수집과 분석 방법을 배운다. 산림 생태계의 주요 쟁점이 되고 있는 기후변화, 생태계 관리, 집약임업, 산림파괴, 개벌, 산불, 노령림, 산림쇠퇴, 생물다양성 등에 대해 이해하고, 그 문제점과 해결책을 알아본다.전선 / 대학원
국제산림협력특강은 기후변화, 생물다양성보전, 사막화방지 등 다양한 산림관련 국제개발협력 주제에 대한 이론과 사례연구를 주요 내용으로 한다. 단순히 산림복원과 생태계 보전이 아닌 산림이라는 공간에서 자연환경과 인간 사회의 공생을 위한 개발협력에 대한 주제를 중심으로 인문학, 자연과학, 사회과학 등 융합적인 접근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학습하고 토론한다. 또한 저개발 국가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국제산림협력 사례와 연구를 통해 해외 산림 현장에서 실제 일어나는 국제개발협력 사업들을 이해하고, 이들 사업에 대한 평가 및 분석 기법을 학습한다.전선 / 대학원
오염물질의 최종 종착지인 저서환경(해양퇴적물)의 건강성을 평가하는 제반 방법론 및 배경지식에 대해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저서환경 건강성 평가를 위한 분석대상, 분석항목, 분석방법, 평가기준 등에 대한 이론적, 실제적 접근법을 선진국에서의 사례연구들을 통해 학습하고, 향후 우리나라 해양퇴적물 평가에의 적용가능성 등에 대하여 토의한다.전선 / 학사
이 과목은 산림을 구성하는 요소를 그 규모에 따라 임목, 임분 및 산림으로 구분하여 각 규모에 적합한 inventory 조사의 개념과 적용 방법을 공부한다. 이를 위해 기초 산림통계 분석기법 및 임분측정기법의 이론적 배경을 공부하고, 실습을 통해 실무적 능력을 배양한다. 아울러 SFM 구현을 위한 산림평가의 개념과 산림의 탄소흡수 등 현재 사회가 필요로 하는 자원의 평가 방식을 적용하기 위한 새로운 ICT 기반 측정 기술과 활용 체계에 대해 공부한다.전필 / 학사
본 과목은 조경학과에서 다루는 환경생태의 주요 요소들에 대한 관측방법과 분석기법을 다룬다. 특히 식생, 토양, 대기, 수체계에서 일어나는 탄소, 물, 에너지 순환에 초점을 둔다. 환경 생태분석 기법들을 조경계획 및 관리에 응용하기 위한 방안들을 토의한다.전선 / 대학원
기존의 환경보건통계학의 내용을 심화, 발전시킨 형태로 현재 중요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는 기후변화의 건강영향에 대해서 공부한다. 다음의 주제에 대해서 3-4명의 외부인사를 초빙하여서 강의를 진행한다. 기후변화 과학, 기후변화추세 및 향후 시나리오, 국내 및 국제적 감축노력 및 정책적 함의, 기후변화와 위험인식 및 커뮤니케이션, 기후변화와 감염병, 폭염 및 한파의 영향, 대기오염과 기후변화, 도시환경과 기후변화, 후진국에서의 식량안보, 취약그룹 별 영향파악, 동아시아 지역에서의 기후변화와 건강, 생태환경과 기후변화, 기후변화와 정신건강 등 보건대학원 및 서울대학교의 다양한 전공의 강사들을 초빙하여 강의를 구성하도록 한다. 현재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분야로 학제 간 연구가 대단히 중요한 분야임. 이러한 학문적 특징을 반영하여 강의를 구성하고 이러한 강좌를 통하여 학내 연구자들 간의 연계를 강화함. 서울대학교의 이 분야 연구의 역량강화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됨전선 / 대학원
본 교과목은 국제환경협약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도모하고 국제환경협약이 산림개발협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집중적으로 학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후변화 완화 및 적응, 생물다양성 보존, 사막화방지, 야생동식물 멸종위기종 국제거래 등 주요 환경 협약의 특징 및 역사를 파악하고, 국제환경협약이 산림개발협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수강생들은 팀활동을 통해 국제환경협약의 구조와 산림개발협력사업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도전적이고 혁신적인 전략을 구상한다.전선 / 학사
산림정책의 역사적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 산림에 관한 정책 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정책이론을 공부한다. 한편 우리나라의 산림정책 형성, 집행, 평가 과정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하는 정책참여자들의 역할을 조명하여 봄으로써 산림정책의 과제와 발전 방향을 고찰한다. 산림자원의 이용, 보호 및 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법 내용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산림정책과제 가운데 학생의 관심사 하나를 선택하여 사례연구를 수행하여 발표한다.전선 / 대학원
이 교과목은 산림생태계 경영을 위한 개념, 원리 및 주요 이슈들을 폭넓게 다루기 위해 ‘산림생태계경영학특론’과 ‘산림생태계평가및계획론’의 2개의 부제로 구분하여 진행된다. 제1부인 '산림생태계 경영학특론(Issues of Forest Ecosystem Management)‘에서는 주로 산림생태계 경영의 개념과 국내외에서의 산림생태계 관련 사례문제들을 중심으로 문제의 성격, 규모, 사회적 issue 등에 따른 접근방식을 다룬다. 제2부인 ‘산림생태계 평가 및 계획론(Forest Ecosystem Evaluation and Planning)‘에서는 산림생태계의 감시, 평가 및 예측에 요구되는 다양한 원리 및 적용기법들과 경영계획기법들을 다룬다.전선 / 대학원
생태계와 관련된 경제활동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생물, 물리,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관점에서 통합적으로 고찰하는 학제적 학문인 생태경제학의 최근 연구업적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와 지구적 차원에서 관심이 있는 생태계 파괴 및 복원, 산림의 지속가능한 이용과 보전,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제도개선의 문제 등에 대하여 논구한다. 국내외의 구체적인 사례연구를 검토함으로써 현실에서 생태경제학의 응용가능성을 검증한다.전선 / 대학원
이 강의는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에서 다루어야 할 생태학을 범위로 한다. 따라서 이 강의에는 자연 환경-인간-토지 이용-계획-설계-관리(또는 경영)라는 주요어가 들어간다. 이 강의를 통해서 우리 식의 경관 생태학 또는 환경 생태학을 추구해 가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전선 / 대학원
산림자원의 관리는 산림을 생태적, 경제적 관점에서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관리하기 위한 의사결정에 초점을 맞춘다. 이 강의는 산림의 과학적 관리에 사용되는 필수적인 현대적 의사결정 기법을 바탕으로 여러 경영 대안들의 생태적, 경제적 영향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해석하는 방법을 익히는 것을 내용으로 한다. 대수학과 컴퓨터 스프레드시트를 이용한 다양한 예시와 응용 프로그램 학습을 통해 산림자원의 과학적 관리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산림경영의 현실 문제에 적용할 수 있는 숙련된 지식을 익힌다.전선 / 대학원
본 교과목에서는 농작물의 재배, 생리, 생태 등에 관련한 연구과제에 대해 발표와 토론을 하도록 한다. 농학 관련이론과 실제를 탐구하고 보고서를 작성함은 물론 그 결과를 발표하여 토론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농학연구의 타당한 계획수립, 구체적인 방법론 확립, 합리적인 결과의 해석 및 발표능력 양양 등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전선 / 대학원
해양의 저서환경 특성과 이에 따른 해양저서생물의 반응 및 적응양상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석환경에 따라 상·중·하부 조간대, 저질특성에 따라 니질·사질·암반환경 등으로 구분하여 각 저서환경의 특성을 파악하고, 종조성, 분포특성, 생물반응 및 기능의 상호관계를 탐구한다. 아울러 해양저서생물의 군집 구조를 기술하는 제반 수리·통계적 방법론을 습득한다.전선 / 대학원
전지구적 생물다양성 위기에 따라 생물다양성 보전의 중요성이 지역적 차원에서도 날로 커지고 있다. 따라서 신규 개발사업은 물론 기존의 환경관리과정에서도 어떻게 그 지역의 생물다양성을 평가할 수 있으며 어떠한 보전·복원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지가 매우 중요하다. 이 과정에서는 보전 대상인 복잡한 생태계를 생물서식지(habitat)의 개념으로 명료하게 치환하여 접근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서식지의 질과 공간특성, 관리계획에 대한 분석적 사고가 요구된다. 본 수업에서는 서식지 생태영향평가 방법론(HEP; Habitat Evaluation Procedure)을 활용하여 대상지의 생물다양성 보전계획을 정량적, 과학적 논거에 기초하여 스스로 생각해보고, 이를 어떻게 합리적으로 설득시킬 수 있을지를 토론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