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체육교육과
본 강좌의 목표는 스포츠와 관련된 법적 이슈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법적 권리와 스포츠 팬, 에이전트, 코치, 의사, 기자 등의 책임에 대해 익숙해 질 것이며, 스포츠 법의 맥락에서 다양한 이슈들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학생들이 의뢰인의 권리와 책임에 대하여 조언하고 불법행위, 계약, 민사, 헌법, 자산 등과 관련된 법적 문제를 해결할 때, 법을 적용하는데 있어 도움이 될 것이다.산림과학부
농생대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과목으로서 산림과학부 산림환경학전공 또는 환경재료과학전공을 선택하고자하는 학생들에게 산림환경학과 환경재료과학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도모하기 위하여 만든 과목이며, 동시에 신입생을 대상으로 하여 대학생활에 대한 학문적인 길잡이 노릇을 할 수 있도록 배려한다. 또한 앞으로 4년간 배우게 될 학과목의 개요를 접하며, 아울러 각 과목의 담당교수들로부터 직접 설명을 들을 기회를 가짐으로서, 앞으로 전공과목을 선택할 때 도움을 주기 위한 과목이다.
loading...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과학부 / 학사
2025-2학기
권장 선수과목 생명과학을 위한 수학 1(F31.111) , 수학 1(F31.104)
농생대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과목으로서 산림과학부 산림환경학전공 또는 환경재료과학전공을 선택하고자하는 학생들에게 산림환경학과 환경재료과학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도모하기 위하여 만든 과목이며, 동시에 신입생을 대상으로 하여 대학생활에 대한 학문적인 길잡이 노릇을 할 수 있도록 배려한다. 또한 앞으로 4년간 배우게 될 학과목의 개요를 접하며, 아울러 각 과목의 담당교수들로부터 직접 설명을 들을 기회를 가짐으로서, 앞으로 전공과목을 선택할 때 도움을 주기 위한 과목이다.
Encyclopedia of global warming
Encyclopedia of global warming
Design for outdoor recreation
Design for outdoor recreation
Green growth : climate change
Green growth : climate change
Global change in the mountains : proceedings of the European Conference on Environmental and Societal Change in Mountain Regions : Oxford, UK, 18-20 December 1997
Global change in the mountains : proceedings of the European Conference on Environmental and Societal Change in Mountain Regions : Oxford, UK, 18-20 December 1997
Green schools globally : stories of impact 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Green schools globally : stories of impact 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ng the global environmental citizen : understanding ecopedagogy in local and global contexts
Educating the global environmental citizen : understanding ecopedagogy in local and global contexts
Principles and practices of outdoorenvironmental education
Principles and practices of outdoorenvironmental education
Environmental science : a global concern
Environmental science : a global concern
Forest tenure reform in Asia and Africa : local control for improved livelihoods, forest management, and carbon sequestration
Forest tenure reform in Asia and Africa : local control for improved livelihoods, forest management, and carbon sequestrationModern lesson plans in environmental science
Modern lesson plans in environmental science
Environmental impacts of ecotourism
Environmental impacts of ecotourism
Being, playing and learning outdoors : making provision for high quality experiences in the outdoor environment with children 3-7
Being, playing and learning outdoors : making provision for high quality experiences in the outdoor environment with children 3-7
Global warming : engineering solutions
Global warming : engineering solutions
A primer for environmental literacy
A primer for environmental literacy
Water security in Asia :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in the context of climate change
Water security in Asia :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in the context of climate change
The new generation of watershed management programmes and projects : a resource book for practitioners and local decision-makers based on the findings and recommendations of an FAO review.
The new generation of watershed management programmes and projects : a resource book for practitioners and local decision-makers based on the findings and recommendations of an FAO review.
Prospects for future climate : a special USUSSR report on climate and climate change
Prospects for future climate : a special USUSSR report on climate and climate changeEnvironmental science
Environmental science
GIS for environmental management
GIS for environmental management
Integrated river basin development
Integrated river basin development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Environmental Science and Pollution Research
Huang H.,Sun Y.,Yu W.,Ma Z.,Tang K.Dili Xuebao/Acta Geographica Sinica
Zhang K.,Lyu Y.,Fu B.,Yin L.,Yu D.IOP Conference Series: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
Kang Linchong; Huang Haiyan; Jiang Xiaoyi; Zuo Guocheng; Wang Yi; Liu ChangJournal of Arid Environments
Fernández-Raga M.,Gutiérrez E.G.,Keesstra S.D.,Tárrega R.,Nunes J.P.,Marcos E.,Rodrigo-Comino J.Ecological Economics
Monge J.J.,McDonald G.W.Journal of Ecology
Yan P.,Zhang J.,He N.,Zhang W.,Liu C.C.,Fernández-Martínez M.REVIEWS OF GEOPHYSICS
Zittis, G.; Almazroui, M.; Alpert, P.; Ciais, P.; Cramer, W.; Dahdal, Y.; Fnais, M.; Francis, D.; Hadjinicolaou, P.; Howari, F.; Jrrar, A.; Kaskaoutis, D. G.; Kulmala, M.; Lazoglou, G.; Mihalopoulos, N.; Lin, X.; Rudich, Y.; Sciare, J.; Stenchikov, G.; Xoplaki, E.; Lelieveld, J.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Drews M.,Steinhausen M.,Larsen M.A.D.,Dømgaard M.L.,Huszti L.,Rácz T.,Wortmann M.,Hattermann F.F.,Schröter K.Nature Climate Change
Burton, Chantelle; Lampe, Seppe; Kelley, Douglas I.; Thiery, Wim; Hantson, Stijn; Christidis, Nikos; Gudmundsson, Lukas; Forrest, Matthew; Burke, Eleanor; Chang, Jinfeng; Huang, Huilin; Ito, Akihiko; Kou-Giesbrecht, Sian; Lasslop, Gitta; Li, Wei; Nieradzik, Lars; Li, Fang; Chen, Yang; Randerson, James; Reyer, Christopher P. O.; Mengel, Matthias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Li X; Zhao H; Gu B; Chen YEcological Indicators
González-Orozco C.E.,Porcel M.,Alzate Velásquez D.F.,Orduz-Rodríguez J.O.Sustainability (Switzerland)
Matos J.P.,Ferreira F.,Mendes D.,Matos J.S.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Qiu G.,Wang J.,Liu J.,Wang X.Carbon Balance and Management
Steenberg J.W.N.,Ristow M.,Duinker P.N.,Lapointe-Elmrabti L.,MacDonald J.D.,Nowak D.J.,Pasher J.,Flemming C.,Samson C.Ocean and Coastal Management
Sritakae A.,Pranchai A.,Berger U.,Jenke M.Catena
Han D.,Huang J.,Ding L.,Liu X.,Li C.,Yang F.Anthropocene Science: An International Journal for Addressing Human Impact on the Resilience of the Planet Earth
Gupta, Himangana; Singh, Neeraj KumarClimate Services
Grose, Michael R.; Narsey, Sugata; Trancoso, Ralph; Mackallah, Chloe; Delage, Francois; Dowdy, Andrew; Di Virgilio, Giovanni; Watterson, Ian; Dobrohotoff, Peter; Rashid, Harun A.; Rauniyar, Surendra; Henley, Ben; Thatcher, Marcus; Syktus, Jozef; Abramowitz, Gab; Evans, Jason P.; Su, Chun-Hsu; Takbash, AliciaForest Science and Technology
Sarah Abdul Razak, 손요환, 이우균, 조용성, 노남진Water (Switzerland)
Quenum G.M.L.D.,Nkrumah F.,Klutse N.A.B.,Sylla M.B.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교양 / 학사
본 과목은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강의와 토론, 사례발표를 통하여 오늘날의 환경과 기후변화 문제에 대해 학생들의 종합적 과학적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다. 지구환경문제에서부터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환경문제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강조하고 다양한 환경과 기후변화문제의 원인과 현황을 살펴보고 바람직한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미래에 대한 전망을 도출하도록 한다.전선 / 대학원
본 교과목에서는 지구환경체계에 관한 기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범 지구적인 주요 환경문제를 중점적으로 다룬다. 특히, 기상 및 기후 변화, 사막화, 공해 물질의 대륙간 이동문제, 자원고갈, 삼림남벌 등 세계의 주요 현안 문제를 집중적으로 교육한다.전선 / 대학원
본 교과목에서는 우리 국토를 대상으로 자연 및 인문환경 특성과 인위적인 환경변화, 그리고 환경문제 해결책의 하나로서 환경교육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자연 환경은 지형, 기후, 식생, 토양 등, 그리고 인문환경은 산업과 경제, 도시와 촌락 등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인위적인 환경변화는 우리 사회의 현안 환경문제를 중심으로 그 원인과 대책을 토의한다. 그러나 제도적 장치에 관련된 내용보다는 환경교육이 기여할 바를 모색하는데 역점을 둔다.전선 / 학사
오늘날 기후위기는 질병위기를 낳고, 질병위기는 경제위기를 가속화하고 있다. 산업혁명 이후 인류는 화석에너지를 기반으로 놀라운 경제성장을 실현하고 삶의 질을 향상해 왔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온실가스를 다량 배출하는 경제행위가 뒤따랐다. 그로 인해 세계는 폭염과 홍수, 가뭄과 산불과 같은 자연재해에 노출되고 있으며, 그 피해는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다. 인류가 당면한 기후/질병/경제 복합위기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탄소중립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지향해야 한다. 이 과목은 기후위기에 대한 경제학적 분석과, 기후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가능한 경로 모색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탈탄소 경제의 본질과 개념, 전략과 과제를 습득하고 공유함으로써 서울대 학생들로 하여금 미래지향적인 그린 리더십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한다. 환경과 기후 문제에 대한 경제 분석, RE100, ESG, 탄소국경조정제도(CBAM)과 같은 현실 이슈에 대한 심층 토론, 전문가 초빙 강연 등 다양한 수업방식을 최대한 활용한다.전선 / 대학원
생물권에서 토양이 차지하는 위치, 토양 안에서 일어나는 생지화학적 과정을 학습하고, 이러한 기초지식들을 바탕으로 토양자원 자체뿐만 아니라 다른 생물권의 구성요소들과 상호작용을 고려하는 물과 대기 그리고 생물 자원의 관리방안을 살펴본다.전선 / 대학원
과거의 기후 및 환경변화를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미래에는 환경이 어떻게 변화해 갈 것인지에 대해 논한다. 대기와 바다의 상호작용 변화, 화산활동, 태양활동 변화, 인간의 간섭 등으로 인한 기후변화를 살펴보며 기후 변화가 인간사회에 미쳤던 혹은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해 논한다. 기후와 생태계의 변화가 자연적인 것인지 아니면 인간에 의한 인위적인 요인에 따른 것인지를 구분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고 변화하는 환경에 인간은 어떻게 대처해 나가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알아본다.전선 / 학사
자연 재해 및 환경오염과 기후 온난화에 의한 전 지구 환경 변화는 인류 문명의 미래를 위협하고 있다. 이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지진, 해일 등을 비롯한 자연 재해와 현재 진행 중인 기후 온난화에 대해 공부한다. 또한 지구 생성 이후 변화하는 지구 기후와 그 원인을 통해 지질학적 시간규모의 기후 변화에 대해 공부한다.전선 / 학사
인간의 활동으로 많은 지역의 산림이 파괴되고 훼손되어 왔다. 이 강의는 산림 훼손의 원인과 산림 훼손의 결과에 대해 알아보고, 산림 생태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산림 생태계 복원 기술과 관리를 모색한다. 산림생태계의 구성원, 기능, 특성, 관리 등 산림생태계의 여러 측면을 살펴봄으로써 산림생태계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산림생태계 복원을 위한 기초 내용을 배운다.전선 / 대학원
본 강좌는 환경행정과 관련된 이론적 논의 및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도적 수단들을 검토하고, 문헌과 사례분석을 통해 지속가능한 사회를 실현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강의 1~3주차에는 신 환경 패러다임의 대두와 환경행정의 대상 및 환경행정 조직을 공부한다. 4~7주차에는 환경 분쟁에 대한 사례를 소개하고, 수질, 토양, 대기 등 매체별 환경관리 제도를 개관한다. 8~11주차에는 환경과 비용편익분석, 환경영향평가, 자율환경 관리 등 환경관리의 다양한 기법을 공부한다. 12~15주차에는 지구적 환경협력, 지속가능한 발전, 녹색 정치 등의 주제를 통해 환경 거버넌스의 시사점을 도출한다. 본 강좌는 매주 강의와 발제 및 토론으로 진행되며, 발제자를 제외한 학생들은 각 주차별 리딩리스트를 읽고 1페이지 내외의 리뷰페이퍼를 제출하여야 한다. 발제는 본인의 기말페이퍼와 연관된 논문으로 총 3회를 발표하며, 리딩리스트나 참고문헌에 나와 있지 않는 논문을 발제하고자 할 경우 학기 초에 교수와 상의하여 결정한다. 중간고사는 강의노트를 중심으로 출제되며 기말보고서는 강의계획서에 나와 있는 12개 주의 강의주제 중에서 선정한다.전선 / 학사
◎ 구 분: 초급 – 에너지 경영 ≪ 교수요목 ≫ 지질환경을 이해하고 전통전인 에너지원산업이 탄소순환에 미치는 영향을 학습한다. 또한, 지구환경의 기후변화 원인을 이해하고 지질특성을 활용한 탄소저감 방법을 학습한다. ≪ 과목개요 ≫ 이 수업은 「디지털 신기술 인재양성 혁신공유대학 사업 (에너지신산업)」의 수행을 위해 개설되는 초급교과목으로서, 수업은 온라인 강의로 15주 동안 진행된다. 첫 8주는 지구와 지질환경의 이해, 전통에너지원의 형성 및 탄소순환에 미치는 영향 이해, 지구의 지질시대의 이해와 기후변화 원인에 대해 수업을 진행한다. 남은 주차의 수업은 지질환경의 특성을 활용한 탄소저감 방법을 이해하고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해 수업을 진행한다. (수업 진행은 필요할 경우 오프라인 수업으로 전환할 수 있으며 실험/실습이 병행될 수 있다.) ≪ 학습목표 ≫ 지구의 지질환경을 이해하고 전통전인 에너지원산업이 탄소순환에 미치는 영향을 학습한다. 지구환경의 기후변화 원인을 이해하고 지질특성을 활용한 탄소저감 방법을 학습한다.전선 / 대학원
본 과목은 기후변화와 관련된 적응계획의 이론과 실제사례를 다룬다. 이론적 차원에서는 기후변화 시나리오(SRES, RCP)에 대한 정보, 취약성 평가 방법론, 기후변화 적응계획 수립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다. 특히 최근 이슈화되고 있는 중점사항들을 정리함으로써 기후변화 적응계획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실제사례 연구에서는 국내외의 취약성 평가 및 기후변화 적응계획 수립의 사례를 분석하고, 사례에 대한 심층적인 평가 및 토의를 실시한다.전필 / 학사
지구환경변화 등 환경문제에 대응한 기업, 개인, 정부의 지속가능한 생산, 소비 및 정책의 당위성과 실천 가능한 대안을 소개하고, 국내외에서 현안과제가 되고 있는 기후변화, 생물다양성소실 등 환경문제에 대응한 환경규제, 친환경제품개발 및 환경인증제, 청정개발체제, 환경경영평가 등 환경경영의 접근방법에 대하여 강론한다.전선 / 대학원
본 강좌는 기후변화 및 환경오염을 이해하기 위해 지역에서 지구 규모까지 일어나고 있는 환경변화에 대한 기본적인 과학적 지식을 제공하고자 한다.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과학적 지식을 습득하기 위해 환경변화를 지구시스템 내 요소간의 상호작용 그리고 인간 활동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접근하는 새로운 방식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궁극적으로 본 강의를 통하여 학생들은 최근 우리가 겪고 있는 환경변화에 대한 이해와 고찰을 통해 미래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 및 정책 연구에 중요한 기반을 다질 것이다. 그리고 본 강좌는 수업 이외에 기후변화 및 환경오염 분야의 다양한 전문가를 초빙하여 학생들의 이해를 돕고자 한다.전선 / 대학원
본 강좌에서는 수질환경공학 분야를 전공하거나 관심을 갖고 있는 대학원생들을 위하여 농산촌의 지역환경에서 일어나는 수질오염 현상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지식과 지역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수처리시스템에 관한 이론을 다룬다. 이 강좌에서 다룰 주요 주제는 물환경 및 물오염에 대한 지식으로서 생태학, 호소학적인 이론, 호소하천의 물리화학적, 생물학적 특성, 소규모 현장수처리시스템에 관한 이론, 축산폐수처리 등이다. 본 강좌에서는 강의 및 토론 중심으로 진행하며, 과제물 학습을 통한 강좌내용에 대한 실제 응용력을 높이도록 한다.전선 / 학사
토지의 개념, 토지시장의 수요공급이론, 토지이용계획 및 토지관리, 토지공개념 및 토지정책, 토지개발계획 비교 분석, 토지개발사업의 경제적 타당성 분석전선 / 대학원
기존의 환경보건통계학의 내용을 심화, 발전시킨 형태로 현재 중요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는 기후변화의 건강영향에 대해서 공부한다. 다음의 주제에 대해서 3-4명의 외부인사를 초빙하여서 강의를 진행한다. 기후변화 과학, 기후변화추세 및 향후 시나리오, 국내 및 국제적 감축노력 및 정책적 함의, 기후변화와 위험인식 및 커뮤니케이션, 기후변화와 감염병, 폭염 및 한파의 영향, 대기오염과 기후변화, 도시환경과 기후변화, 후진국에서의 식량안보, 취약그룹 별 영향파악, 동아시아 지역에서의 기후변화와 건강, 생태환경과 기후변화, 기후변화와 정신건강 등 보건대학원 및 서울대학교의 다양한 전공의 강사들을 초빙하여 강의를 구성하도록 한다. 현재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분야로 학제 간 연구가 대단히 중요한 분야임. 이러한 학문적 특징을 반영하여 강의를 구성하고 이러한 강좌를 통하여 학내 연구자들 간의 연계를 강화함. 서울대학교의 이 분야 연구의 역량강화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