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작곡과
본 교과목은 연주전공자들에게 필요한 기초이론을 효율적으로 교육하기 위한 6개 학기 과정의 통합교과목의 첫 학기 교과목으로서, 기보법, 음정, 화음, 조성의 원리, 리듬, 짜임새, 음률 등 폭넓은 기초적 음악이론을 다룬다.간호학과
인체구조와 기능 1에 이어 인체를 구성하는 각 기관들의 기본적인 구조와 기능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며 각 기관 고유의 생리적 기능을 이해하여 각 기관들 간의 형태학적 연관성 및 기능의 연관성을 이해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기계공학부
학부과정에서 배운 거시적 관점의 열역학 기본법칙을 재정립하고 이와 더불어 열역학적 현상을 미시적 관점에서 취급할 수 있는 통계열역학의 기초를 교수한다. 고전적인 운동론에 의한 취급 방법을 소개한 후 슈레딩거 방정식에 의한 입자운동을 해석하고 이를 통계열역학의 문제 해석에 이용한다. 단원자, 이원자 및 다원자 기체의 상온, 저온 및 고온 현상을 취급한다.의예과
이 교과목은 일반생물학을 수강한 학부 하급생들에게 세포생물학의 핵심내용을 알기 쉽게 전달하기 위한 입문과정의 강의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진핵세포의 공통 특징과 각 독립된 세포가 어떤 방식으로 생명을 유지하고 생식하는지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내용을 아래 강의계획에 따라 다루고자 한다. 이 강좌의 핵심주제는 다세포생물의 기관과 체계, 발생 및 분화과정, 그리고 유전질병 등을 포함한다. 흥미로운 생명현상을 세포생물학 용어로 설명함으로써 인류의 건강 증진에 기둥이 될 의학도들에게 꼭 필요한 기본적인 세포학의 내용을 알기 쉽게 전달하고자 한다.산림과학부
이 과목에서는 목재의 물리적 성질과 기계적 성질을 다룬다. 목재비중과 진비중, 공극율과 실질률, 목재내 수분이동과 흡습성, 수축과 팽윤, 전기적 성질 및 음향적 성질, 목재의 강도와 강성, 그리고 이들 성질에 영향하는 인자가 본 과목의 주제에 포함된다.
loading...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과학부 / 학사
2025-2학기
권장 선수과목 목재조직학 및 실험(5242.203) , 학술림임산실습(5242.201B)
이 과목에서는 목재의 물리적 성질과 기계적 성질을 다룬다. 목재비중과 진비중, 공극율과 실질률, 목재내 수분이동과 흡습성, 수축과 팽윤, 전기적 성질 및 음향적 성질, 목재의 강도와 강성, 그리고 이들 성질에 영향하는 인자가 본 과목의 주제에 포함된다.
Handbook of silicon based mems materials and technologies
Handbook of silicon based mems materials and technologiesGlasses and amorphous materials
Glasses and amorphous materials
Handbook of low and high dielectric constant materials and their applications
Handbook of low and high dielectric constant materials and their applications
Mechanical behaviour of composites and laminates
Mechanical behaviour of composites and laminates
Application of fracture mechanics to composite materials
Application of fracture mechanics to composite materials
Wood-plastic composites
Wood-plastic composites
Polyolefin composites
Polyolefin composites
Composite structures of steel and concrete
Composite structures of steel and concrete
Structural analysis of laminated anisotropic plates
Structural analysis of laminated anisotropic plates
Bulk metallic glasses
Bulk metallic glasses
Plasma deposited thin films
Plasma deposited thin films
Critical combinations of bending, shear, and transverse compressive stresses for buckling of infinitely long flat plates
Critical combinations of bending, shear, and transverse compressive stresses for buckling of infinitely long flat plates
Handbook of optical properties
Handbook of optical properties
Ceramic processing before firing
Ceramic processing before firing
Mechanical behavior of ceramics
Mechanical behavior of ceramics
Science and engineering of short fibre reinforced polymers composites
Science and engineering of short fibre reinforced polymers compositesFracture toughness and fracture energy of concrete
Fracture toughness and fracture energy of concrete
Sintering processes
Sintering processes
Liquid semiconductors
Liquid semiconductors
Metal-ceramics 이론과 실체
Metal-ceramics 이론과 실체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Sustainable Energy and Fuels
Fresneda-Cruz, A.; Chaine, C.; Figueirêdo, M.B.; Murillo-Ciordia, G.; Sanz-Martinez, A.; Julian, I.Applied Physics A: Materials Science & Processing
Gupta, Namrata; Roy, Prannoy; Naugarhiya, AlokJournal of the Brazilian Society of Mechanical Sciences and Engineering
de Paiva Silva G.,Bacci da Silva M.,de Oliveira D.Engineering Failure Analysis
Zhu S.,Yuan W.,Cong J.,Guo Q.,Chi B.,Yu J.ACS Nano
Connor P. Horn; Christina Wicker; Antoni Wellisz; Cyrus Zeledon; Pavani Vamsi Krishna Nittala; F. Joseph Heremans; David D. Awschalom; Supratik GuhaNanomaterials
Gao Z.,Yin C.,Cheng D.,Feng J.,He P.,Niu J.,Brnic J.Computer Methods in Applied Mechanics and Engineering
Schröder J.,Pise M.,Brands D.,Gebuhr G.,Anders S.Procedia Structural Integrity
Chandra, Chitresh; G. R., Kiranchand; Teja, Challa Krishna; Srinivasarao, B.; Babu, M. Nani; Narasaiah, N.Journal of Building Engineering
Morón A.,Ferrández D.,Saiz P.,Álvarez M.,Morón C.Ultrasonics
Zhu H; Kotousov A; Tai Ng CIEEE Letters on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Practice and Applications,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Practice and Applications, IEEE Letters on, IEEE Lett. on Electromagn. Compat. Pract. and Appl.
Routray, P.; Ghosh, D.Dyes and Pigments
Li, X.-N.; Han, H.; Guo, T.-T.; Wu, L.-Z.; Cao, X.-Y.; Hao, J.-R.; Zhang, X.-L.; Yan, J.-Z.Journal of the American Ceramic Society
Chen N.,Xiao B.,Xu X.,Sun T.,Jin F.,Chen M.,Chen X.,Wang H.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Wang D.b.,Song X.b.,Nie H.y.Journal of Prosthetic Dentistry
Daou E.E.Surface and Coatings Technology
Koller C.M.,Glatz S.A.,Kolozsvári S.,Bolvardi H.,Mayrhofer P.H.Applied Physics A: Materials Science and Processing
El Mekkaoui, N.; Idrissi, S.; Mtougui, S.; El Housni, I.; Khalladi, R.; Bahmad, L.; Labrim, H.; Ziti, S.ACS Applied Nano Materials
Zhang C.,Ren X.,Cui X.,Bai H.,Zhang X.,Li H.Materials Today Chemistry
Erdenebileg E.,Tiwari N.,Kosasih F.U.,Dewi H.A.,Jia L.,Mathews N.,Mhaisalkar S.,Bruno A.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Li X.,Nie J.,Wang X.,Zhang H.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학사
이 교과목은 각 재료의 화학적, 역학적 성능, 재료 및 부재 모형에 대한 구조실험을 통한 구조역학적 이해 등에 대해 강의한다.전선 / 학사
전선 / 대학원
이 교과에서는 소그룹 중심으로 최신의 구조재료 연구 동향에 대해서 발제/토론하며, 심화 연구 방향에 대해서 논의한다. 다양한 소주제 도출로 심화된 토의 및 기술적 의견 교환이 가능하도록 하여, 구조 재료의 다양한 특화된 기술을 습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전선 / 학사
첨단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새로운 성능을 가진 재료들이 개발, 응용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재료분석의 역할이 매우 커지고 있다. 본 교과목에서는 기초적인 재료분석기기의 원리와 응용을 소개함으로써, 재료공학의 이해를 넓히고 향후의 연구활동 도움을 주고자 한다. 금속, 세라믹, 고분자 등 재료 전분야에 걸쳐 기초적인 분석장비로 이용되고 있는 기기들을 다루고자 하며 특히, 재료의 성능을 크게 결정하는 성분과 구조를 분석하는 장비에 중점을 두고자 한다.전필 / 학사
섬유에 대하여 기본이 되는 이론을 정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원료부터 제품에 이르기까지의 전 공정 및 응용에 관하여 섬유고분자재료 측면에서의 전문적인 지식을 습득하고자 한다. 섬유고분자 물질의 형태학적 구조 및 미세구조의 일반적인 특성과 구조-물성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섬유재료의 화학적.물리적 구조, 화학적 반응, 성질, 응용 등에 관하여 강의한다. 섬유재료의 분류상 면, 마, 양모, 실크 등 천연고분자계 섬유와 나이론, 폴리에스테르 등 합성고분자계 섬유로 나누어 각 섬유재료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습득함으로써 재료 응용의 중요성을 강조한다.전선 / 학사
반도체 소자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에 대해서 학습한다. 이 과목을 통하여 반도체 산업에 대한 소개, 결정과 반도체 물성의 기초, 에너지 밴드와 반도체 캐리어, 광자와 과잉캐리어, 반도체 제조 공정, 반도체의 물성과 소자 특성에 대해 다룬다.전선 / 학사
이 과목에서는 재료내에서의 물질이동에 대해서 강의한다. 즉 재료의 제조 및 특성 등에 관련되어 나타나는 물질이동 현상들을 정량적으로 해석할 수 있게 한다.전선 / 학사
분자성 물질인 유기고분자 기능재료는 광-전자산업의 핵심소재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본 강의에서는 현재 산업적으로 중요한 분자 광전자재료인 유기 EL용 발광체, TFT-LCD용 액정 및 컬러필터, CD 및 DVD용 기판 및 기록소재, 메모리반도체용 Photoresist 및 유전체, 레이저프린터/복사기용 감광체 및 컬러토너, LAN 및 이미지가이드용 플라스틱광섬유에 사용되는 유기고분자 물질들의 합성과 성형가공, 기능성, 그리고 이들을 이용한 소자 및 제품의 동작원리에 대해 소개한다. 또한, 초고밀도 광메모리, 초고속광소자, 고집적 스마트카드, 고성능센서용의 새로운 분자유기재료들의 합성과 기능성에 대한 기초개념과 소재기술에 대해서도 소개한다.전선 / 대학원
본 강의는 복합레진 수복 중 일어나는 생역학적 현상의 원인과 결과를 분석하고 이를 연구하기 위해 사용되는 계측 장비들의 구성요소와 동작원리를 학습한다. 복합레진 중합의 동력학, 중합수축과 응력의 측정, 교두굴곡, 복합레진의 조작성에 미치는 유변학적 성질, 상아세관액의 유체역학등에 관하여 심도있는 학습을 한다.전선 / 학사
종이 및 판지의 부가가치 증대를 위한 도공, 함침, 캘린더링 등 표면 및 특수 가공기술에 대한 소개, 각종 특수지의 제조 및 응용 기술, 인쇄 및 이미징 기술의 발전 및 지류와 이미징 기술의 상호관련성을 다룸. 제지도공공정에 사용되는 각종 안료, 바인더 및 첨가제의 특성과 이의 활용에 따른 도공층의 구조를 배우고, 블레이드 코팅, 에어나이프 코팅, 롤 코팅, 로드 코팅 및 최신 코팅기술의 발전 현황, 도공공정 및 운전성과 관련된 도공액의 유변특성을 배운다. 또 도공지의 건조 및 슈퍼캘린더링을 통한 광택도 개선기술 및 감열지와 감압지 등 특수지의 제조기법을 익힘. 또 옵셋 인쇄와 잉크젯 인쇄 등 각종 인쇄에 사용되는 원료의 특성과 공정 및 종이와의 상호 관련성을 강의한다.전선 / 대학원
본 교과목에서는 재료에서 발생하는 크랙 생성 및 성장에 의한 파괴에 대한 이론적인 기초를 다룬다. 이를 위해 취성 및 연성 재료의 파괴 역학, 탄성 및 탄성 플라스틱 재료의 점근 응력 필드, 파괴 기준, 절단에 의한 파괴, 공극 성장, 응집력 영역 모델, 균열 변형 및 피로 균열 성장 및 수명 예측 등의 주제가 포함된다. 균열 역학에 대한 정량적 이해를 개발하고 대학원 연구에서 고급 주제에 대해 파괴 역학을 사용하는 이론적 배경을 제공한다. 특히 파괴 이론과 파괴 분석에 중점을 둘 것이다.전선 / 대학원
새로운 치과용 세라믹의 개발 및 적용방법에 관하여 토의한다. 주조형 세라믹 및 CAD/CAM 용 세라믹의 응용에 관한 논문을 분석하며 심미성과 연관된 주제를 고찰한다. 치과용 세라믹과 금속의 결합방식 및 결합력 증대방안을 토론하며, 세라믹의 강화 및 강화기전에 관한 주제를 포함한다. 치과용 세라믹의 광학적 특성 및 표면 특성을 고찰한다.전선 / 대학원
치과생체재료의 생체적합성에 관하여 문헌에 발표된 최근 연구보고를 검토하고 최신 연구결과의 원리와 방법을 이해증진한다. 치과생체재료의 안전성과 적합성 평가, 생체적합성 시험방법 및 해석, 치과생체재료의 표준설정 및 상호작용 및 각 재료의 생체적합성에 관한 연구를 검토한다.전선 / 학사
본 강좌는 학부 4학년에 개설되어 전기전자 재료의 특성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고체의 결합유형, 결정성과 비결정성, 고체 재료의 열적 및 전기적 전도도, 반도체의 성질, 유전체 재료와 절연 특성 등에 대해 강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기전자 소자에 대한 개념을 다룬다. 또한, 평판 디스플레이나 플라스틱 전자의 기반을 이루는 유기 전기전자 재료와 소자의 동작 원리 그리고 응용에 대해서도 다룬다. 특히 유기화합물로 구성된 반도체 재료인 유기반도체는 OLED, OTFT, Organic Photovoltaic Cells, Memory Devices, Sensor 등에 사용되는 새로운 반도체이다. 본 강좌에서는 유기반도체의 전자구조, 전기적 특성, 광학적 특성을 강의하고, 유기반도체/금속 계면 특성, 유기반도체 소자에서의 전하 수송 특성, 엑시톤 형성 및 재결합, 에너지 전달 과정에 대한 지식을 강의하며, 이러한 지식을 바탕으로 유기반도체 소자의 동작 원리에 대해서도 강의한다. 이와 같이 본 강좌를 통해서 수강생들에게 전자공학 분야의 다양하고 새로운 유무기 재료 및 관련 소자에 대한 기초를 제공한다.전선 / 대학원
이 강좌는 학부에서 제공되는 생체물성공학과 연관되는 것으로 주로 농식품의 이화학적 특성, 열적 특성, 근적외 산란 및 흡수 특성, 근적외 분광분석법, 근적외 instrumentation 등에 대해서 강의하고 나아가서 농식품을 대상으로 사용되고 있는 각종 비파괴 품질측정 센서의 원리 및 설계방법에 대해 강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