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환경설계학과
전지구적 생물다양성 위기에 따라 생물다양성 보전의 중요성이 지역적 차원에서도 날로 커지고 있다. 따라서 신규 개발사업은 물론 기존의 환경관리과정에서도 어떻게 그 지역의 생물다양성을 평가할 수 있으며 어떠한 보전·복원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지가 매우 중요하다. 이 과정에서는 보전 대상인 복잡한 생태계를 생물서식지(habitat)의 개념으로 명료하게 치환하여 접근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서식지의 질과 공간특성, 관리계획에 대한 분석적 사고가 요구된다. 본 수업에서는 서식지 생태영향평가 방법론(HEP; Habitat Evaluation Procedure)을 활용하여 대상지의 생물다양성 보전계획을 정량적, 과학적 논거에 기초하여 스스로 생각해보고, 이를 어떻게 합리적으로 설득시킬 수 있을지를 토론하게 된다.체육교육과
본 강의는 한국 스포츠미디어의 역할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수업에서는 먼저 스포츠미디어에 대한 개괄적인 이해를 통해 주요 개념 및 주제들을 살펴보게 될 것이다. 또한 스포츠미디어에서 인종·성별·국가주의· 자본주의/소비자상주의·폭력·스포츠산업 등 다양한 스포츠상황과 관련된 주제들에 대한 이론적 고찰 및 현장적용에 대한 실천적 지식을 습득한다. 스포츠미디어와 한국 스포츠 환경과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통해 학생들은 스포츠의 생성, 역할과 관계 등 스포츠미디어의 일반적인 역할 및 윤리적인 태도에 대한 비판적 접근과 역사적 고찰을 동시에 경험할 수 있으며, 스포츠현장에서의 말하기 및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생명과학부
생명체를 물리학적인 개념에서 해석하고자 하는 시도를 소개한다. 분자수준의 분자생물물리학, 세포수준의 세포생물물리학, 그리고 그 이상의 수준을 다루는 복합계 생물물리학으로 나누어 그 개념들을 소개한다.재료공학부
막대한 자원 및 에너지를 소비하면서 운영되고 있는 현대 문명의 지속 가능성이 위협을 받고 있다. 그렇지만 이를 막거나 멈추기 위해서 무조건적인 사용 억제 정책을 수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러한 문제의 합리적인 해결책을 얻기 위해서, 이 강의에서는 지속 가능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올바른 재료의 선택, 재료의 제조 그리고 재료의 재활용 등 재료의 생애주기를 따라가면서 어떻게 하면 최소의 자원과 에너지 소비 속에서 우리의 문명을 지속시킬 수 있는가 하는 방안을 찾아보고자 한다.보건학과
보건통계학의 기본적인 이론을 이해하고 실습을 통하여서 자료를 수집, 처리, 분석 및 평가하는데 필요한 통계기법을 습득하게 한다. 본 교과목의 내용은 주로 일반통계부문에서 평균치와 산포도, 정규분포 및 그외 여러가지 성질, 카이자승분포, 포아슨분포, F분포와 그의 검정법, 추정법, 분산분석, 상관 및 회귀분석법을 포함한다.에너지자원공학과
다공질 지층 내에 존재하는 유체, 즉 석유, 가스, 그리고 지하수의 개발 및 활용과 관련된 공학적 이론을 다룬다. 구체적으로 다공질 암석의 물리적 성질과 암석내에서 지하유체분포 제어기능, 지하유체의 물리적 특성 및 상거동 등을 학습하며 이와 관련된 실험이 수행된다.수리과학부
생명과학을 전공할 학생을 위한 기초수학 강좌로서 전염병 전염모델의 연립 미분방정식과 축차근사법을 이용한 해 등 자연현상에 나타나는 다양한 생명과학 관련 현상들을 기술하는 미분방정식과 그 해법을 소개한다. 수학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한다.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재료역학은 자연 또는 인공 구조물의 역학적인 거동특성을 취급하는 공학의 한 분야이다. 이 과목에서는 응력과 변형도, 변형과 변위, 탄성과 비탄성, 변형에너지, 하중지지능력 등의 기본개념을 소개한다. 이러한 개념들은 다양한 역학 및 구조 시스템의 해석과 설계에 요구되는 전문지식 형성의 기초가 될 것이다. 또한, 실제 역학문제를 다루는 실험시간을 통하여 개념적인 강의내용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국악과
한국음악학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음악의 개념, 갈래, 악곡, 악기, 나아가 한국음악 문화를 소개하는 과목이다. 음악의 갈래를 궁중음악, 풍류계 음악, 민속음악, 창작국악으로 나누고 개별 갈래의 음악 청취와 분석을 통해 이해를 깊게 한다. 전통음악을 주로 소개하며, 창작음악의 경우 전통음악을 의식적으로 수용한 작품을 소개한다. 1, 2학기 연강이다.
loading...
음악대학 국악과 / 학사
2025-1학기
권장 선수과목 교육사회(700.004) , 서양음악사 3(650.3243)
한국음악학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음악의 개념, 갈래, 악곡, 악기, 나아가 한국음악 문화를 소개하는 과목이다. 음악의 갈래를 궁중음악, 풍류계 음악, 민속음악, 창작국악으로 나누고 개별 갈래의 음악 청취와 분석을 통해 이해를 깊게 한다. 전통음악을 주로 소개하며, 창작음악의 경우 전통음악을 의식적으로 수용한 작품을 소개한다. 1, 2학기 연강이다.
Finian's rainbow : vocal score
Finian's rainbow : vocal score
Affective learning together : social and emotional dimensions of collaborative learning
Affective learning together : social and emotional dimensions of collaborative learning
A cross-section of research in music education
A cross-section of research in music education
Teaching general music in grades 4-8 : a musicianship approach
Teaching general music in grades 4-8 : a musicianship approachThe compleat music teacher
The compleat music teacher
Change blindness and visual memory
Change blindness and visual memory
Winterreise : the autograph score
Winterreise : the autograph score
Studying rhythm
Studying rhythm
사람이라면 알아야 할 심리학 상식 백과
사람이라면 알아야 할 심리학 상식 백과
The Kodály method I : comprehensive music education
The Kodály method I : comprehensive music education
Lushootseed dictionary
Lushootseed dictionary
Basic concepts in music education
Basic concepts in music education
Essentials of teaching elementary school music
Essentials of teaching elementary school music
The Cambridge handbook of the learning sciences
The Cambridge handbook of the learning sciences
학교 인성교육 실태분석 연구 : 중학교를 중심으로
학교 인성교육 실태분석 연구 : 중학교를 중심으로
음악 심리학 : 마음을 컨트롤하는 소리의 기술
음악 심리학 : 마음을 컨트롤하는 소리의 기술
Reflective thinking in educational settings : a cultural framework
Reflective thinking in educational settings : a cultural framework
The Oxford handbook of philosophical and qualitative assessment in music education
The Oxford handbook of philosophical and qualitative assessment in music educationIndividualized instruction in music
Individualized instruction in music
發聲과 共鳴
發聲과 共鳴Visual Communication
Price C.,Archer A.Journal of Music, Technology and Education
Doherty B.陇东学院学报 / Journai of Longdong University
闫彩妮; YAN Cai-niClassical Quarterly
Koltermann J.F.Integrative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Science
Jayasinghe S.International Journal of Music Education
Lorenzo Quiles O.,Cárdenas Soler R.N.,Soares-Quadros J.F.,Ortiz-Marcos J.M.Journal of Business Research
Wang X.,Wang X.,Lei J.,Chao M.C.h.Current Otorhinolaryngology Reports
Ragan, KariMnemosyne
Iwona Słomak창의력교육연구
안동근; 표정민Research Studies in Music Education
Shouldice H.N.Journal of Research in Music Education
Hash, Phillip M.石家庄学院学报 / Journal of Shijiazhuang University
杨莼莼; 徐妍; YANG Chun-chun; XU Yan日本學硏究
박성미Learning and Instruction
Yang X.,Zheng M.,Liu K.当代电影 / Contemporary Cinema
徐海龙; Xu HailongJournal of Contemporary Psychotherapy
Marit Råbu; Per-Einar Binder; Christian MoltuEducation Sciences
Kohnke L.,Jarvis A.Journal of Asia TEFL
Mohammad Ramezani문화와융합
이경화; 전종우; 이대현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논문 / 대학원
본 과목에서는 담당교수의 일대일 지도아래 학생이 스스로 연구과제를 설정, 계획, 수행하고 논문을 작성한다.전선 / 대학원
본 강좌는 음악교육의 본질 및 중요성, 그리고 음악교사로서의 책임감 및 방향설정에 관한 지침을 마련해주기 위하여 개설된다. 이를 위하여 음악교육의 역사적, 철학적, 심리학적, 사회학적 기초를 조사하며 이와 같은 것들을 교육과정, 정책, 행정에 이용하는 다양한 방법들을 연구한다.전선 / 학사
이 교과목은 기술과 인간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함께 진화해온 관계, 즉 공진화(co-evolution)의 관점에서 AI 시대의 인간다움을 탐구합니다. 학생들은 인공지능·빅데이터 등 첨단 기술의 발전이 인간의 사고, 감정, 공동체에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지를 다각도로 살펴봅니다. 특히 '따뜻한 인공지능'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기술이 단순한 도구를 넘어 공감, 윤리, 창의성을 담을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합니다. 심리, 인지, 사회 구조 등 인간 이해의 다양한 접근을 통해 기술 환경 속에서도 중심을 잃지 않는 자기 성찰과 책임 있는 판단력을 기릅니다. 이론 학습과 함께 토론, 글쓰기, 감각 기반 표현 활동 등을 융합하여, 기술과 인간이 어떻게 함께 살아갈 수 있을지를 실천적으로 고민합니다. 궁극적으로는 기술과 함께 공존하는 시대에 필요한 새로운 인간다움의 조건을 재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전선 / 대학원
한국음악 중 궁중음악에 관한 기존의 모든 연구 성과를 검토하고 여기서 노출되는 제반 문제를 재조명한다. 수업에서는 아악을 당악계, 고취계, 향악계 등의 여러 계통으로 나누고, 각 계통의 음악에 속하는 선행연구를 비판적 안목으로 검토할 것이다. 특히 논문에 인용된 악보를 원전과 대조하여 확인함으로써 해독 능력까지도 배양시킨다. 아울러 현재 연주되는 궁중음악을 횡적 시각에서 관찰, 분석하여 이론체계의 정립 가능성도 논의한다.전필 / 학사
악곡분석을 통해 음악에 대한 분석적 이해력을 함양함으로써 작품해석능력을 높인다. 분석할 악곡으로 학과/전공별 특성에 맞는 악곡을 선택하며, 4개 학기(또는 2개 학기) 동안 단계별 학습이 이루어진다.교양 / 학사
불문과 1학년 학생들과 불문학, 문화에 관심이 있는 일반 전공학과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불문학사상의 중요한 작가들, 혹은 우리에게 널리 알려진 작가들의 작품을 중심으로 불문학과 프랑스 문화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강의는 작품 해설, 독서 과제 부여, 토론 등의 형식으로 진행한다.전선 / 학사
이 강의는 한국의 중등학교 과학교육에 맞추어 물리수업의 실천 및 수업분석 능력개발에 중점을 두며, 물리지식의 본성, 물리교육의 본질, 성공적인 물리 수업을 위한 이론과 방법 등을 구체적으로 다룬다. 이 강의는 학생들이 반성적이며 실천적인 능력을 갖춘 물리교사로서 성장할 것을 기대한다.전필 / 학사
본 교과목은 연주전공자들에게 필요한 기초이론을 효율적으로 교육하기 위한 6개 학기 과정의 통합교과목의 다섯 번째 학기 교과목으로서, 3도권의 확대, 표제적 원격조(화음) 관계, 기능화성의 해체 등 후기낭만주의 악곡에서 나타나는 음악적 특징을 중점적으로 다룬다.전선 / 학사
1945년 이후에 발표된 일본어 소설을 원문으로 읽는다. 일본인의 삶과 생각이 투영된 소설을 통독함으로써 현대일본사회에 대한 이해와 식견을 함양하고자 한다. 아울러 소설 깊이 읽기를 통해 텍스트 분석능력을 체득한다. 부수적인 효과로서 현대일본어 문장에 대한 독해력 향상도 기대한다.전선 / 학사
창작의 과정과 주제, 내용에 대해 분석하고 비평하는 전공 실기 세미나 과정이다. 개인의 연구 과제를 중심으로 발상과 의도, 양식과 개념, 소재와 기법 등을 발표하고 토론함으로써 작업의 방향을 설정하고 비평적 관점을 기른다. 조형예술의 전반적인 사상과 사조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창작의 실제에 대한 문제를 깊이 있게 분석하고 토론한다. 아울러 자신의 창작주제와 관련한 시대별, 양식별 작가연구와 발표도 겸한다. 개인의 연구과제에 따른 창작의 과정과 결과물에 대해 분석하고 토론한다. 자신의 작업방향에 대해 재점검하여 보다 발전적인 방향을 모색하고 최근의 미술동향과 주요 문제점에 대해 연구하고 토론해 보는 기회도 갖는다. 보다 효과적인 프리젠테이션 방법에 대해 모색하고, 포트폴리오와 작업노트 등의 제작과 발표를 통해 작품 창작에 있어서의 발상과 의도, 표현방법, 완성도 등 작업과정과 연계된 제반 문제점들을 토의하고 점검한다.전선 / 대학원
교수와 학생이 작업에 관하여 보다 전문적이고 밀접한 대화가 가능한 면담 수업으로 작업이나 기타 여러 사안에 관하여 한 학기 동안 전임 교수와 수업을 진행한다. 이 수업을 통해서 작업을 진행하는데 있어 여러 방법으로 교수와 대화하면서 문제점이나 애로점을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 이외의 개인적 문제나 의문점, 학술적 문제 등을 교수와 상의하여 발전적인 해결점을 찾을 수 있다.논문 / 대학원
이 강좌는 학위논문을 준비하는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과목이다. 학생들이 지도교수와의 계속적인 면담과 토론을 통해 논문의 주제 및 구체적 방향을 결정하고, 국내외의 자료들을 수집, 연구와 집필을 해 나갈 수 있도록 돕는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전체 독문학의 구도 속에서 자신의 연구방향을 결정할 수 있고, 깊이있는 접근을 통해 논문을 완성할 수 있을 것이다.전필 / 대학원
박사과정에서 습득한 지식과 기량을 공개 연주회를 통하여 발표하고 평가를 받는다.전선 / 대학원
소리는 진동하는 물체에 의해 발생하는 공기(또는 물과 같은 다른 매질) 분자의 일련의 떨림일 뿐이지만, 인간의 청각 시스템은 이로부터 함축적이고 추상적인 의미를 추출할 수 있는 놀라운 능력을 가지고 있다. 우리는 음성 신호를 사용하여 매우 높은 수준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고, 또한 음악을 통해 감정적 카타르시스를 느낄 수도 있다. 그러나 음성 또는 음악 신호와 그에 의해 전달되는 추상적 의미 사이에는 매우 큰 의미적 차이(semantic gap)가 존재하고, 컴퓨터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이러한 갭을 좁히는 것은 매우 어려운 작업이다. 본 교과목에서는 소리의 발생부터, 전달, 그리고 사람이 청각기관을 통해 소리를 지각, 인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고, 컴퓨터 알고리즘을 통해 청각지각/인지 과정을 모델링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