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국어국문학과
본 강좌는 대학원에 재학중인 외국인 학생들의 한국어 및 한국문화에 대한 교육을 특별히 효과적으로 실시하도록 짜여있다. (1)가상강의에 띄운 '한국의 언어'에 대한 독해 문답 및 리포트 작성, (2) 교실강의에서 쓰기, 읽기, 말하기, 듣기의 4 기능을 고루 발달시키도록 배려하여 작문연습 및 구두발표 청취, 한국문화의 이해를 위한 어휘, 문형의 학습과 내용 체험(제기차기, 투호, 윷, 잣불켜기)을 도모하도록 한다. (외국인 논문자격시험 대체교과목)교육학과
이 과목은 교직과목의 하나로 학교교육과 전반적인 사회구조 간의 복합적 관계에 관한 기존의 교육사회학 제 이론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우리나라 학교교육의 사회적 현실을 총체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안목을 형성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loading...
사범대학 교육학과 / 학사
2025-2학기
권장 선수과목 경험과 성장(M2184.000500) , 영문학개론(707.207)
이 과목은 교직과목의 하나로 학교교육과 전반적인 사회구조 간의 복합적 관계에 관한 기존의 교육사회학 제 이론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우리나라 학교교육의 사회적 현실을 총체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안목을 형성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Exploring campus diversity : case studies and exercises
Exploring campus diversity : case studies and exercisesPedagogies of the global : knowledge in the human interest
Pedagogies of the global : knowledge in the human interest
Educational opportunity : the geography of access to higher education
Educational opportunity : the geography of access to higher education
Values in culture and classroom : a study in the sociology of the school
Values in culture and classroom : a study in the sociology of the school
Teaching and learning about family literacy and family literacy programs
Teaching and learning about family literacy and family literacy programs
Citizenship education in conflict-affected areas : Lebanon and beyond
Citizenship education in conflict-affected areas : Lebanon and beyond
The sociology of education and work
The sociology of education and work
정말로 누구나 평등할까? : 민주시민을 위한 사회정의 교육입문서
정말로 누구나 평등할까? : 민주시민을 위한 사회정의 교육입문서
Spatializing politics : essays on power and place
Spatializing politics : essays on power and place
The American culture wars : current contests and future prospects
The American culture wars : current contests and future prospects
A sociology of special education
A sociology of special education
교육학개론
교육학개론
Learning and social difference : challenges for public education and critical pedagogy /
Learning and social difference : challenges for public education and critical pedagogy /
Expelling hope : the assualt on youth and the militarization of schooling
Expelling hope : the assualt on youth and the militarization of schooling
진화는 어떻게 내 생각을 바꾸었나? : 신앙과 과학의 통합을 추구한 우리 시대 기독 지성 25인의 여정
진화는 어떻게 내 생각을 바꾸었나? : 신앙과 과학의 통합을 추구한 우리 시대 기독 지성 25인의 여정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achers : practice and theory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achers : practice and theory
On education : conversations with Riccardo Mazzeo
On education : conversations with Riccardo Mazzeo
The thoughtful teacher : making connections with a diverse student population
The thoughtful teacher : making connections with a diverse student population
교육사회학
교육사회학
교육사회학의 이론과 실천 =
교육사회학의 이론과 실천 =
교육사회학
교육사회학
고등교육사회학 =
고등교육사회학 =
교육사회학 =
교육사회학 =
교육사회학 =
교육사회학 =
교육사회학 =
교육사회학 =
현대 사회학 이론
현대 사회학 이론
교육사회학
교육사회학
교육사회학의 이해와 탐구
교육사회학의 이해와 탐구
교육사회학
교육사회학
교육사회학
교육사회학
교육사회학=
교육사회학=
교육사회학 탐구.
교육사회학 탐구.
교육사회학 =
교육사회학 =
교육사회학 =
교육사회학 =
교육사회학
교육사회학
교육사회학 =
교육사회학 =
교육사회학
교육사회학
교육사회학 탐구
교육사회학 탐구
교육사회학
교육사회학
교육사회학 =
교육사회학 =
교육사회학 신강 : 풀어쓴 교육·사회이론
교육사회학 신강 : 풀어쓴 교육·사회이론
교육사회학
교육사회학교육사회학 =
교육사회학 =
교육사회학 탐구Ⅰ 김기석d
교육사회학 탐구Ⅰ 김기석d
(현대) 교육사회학 =
(현대) 교육사회학 =
교육사회학
교육사회학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González-García F.J.,Blanco-López Á.,España-Ramos E.,Franco-Mariscal A.J.幼兒教保研究期刊 /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蔣美霞(Mei-Xia Jiang); 陳斐卿(Fei-Ching Chen)职业技术 / ZHIYE JISHU
李春江; 王开宝; LI Chunjiang; WANG KaibaoInternational Journal of the Sociology of Language
Kraft K.Sport, Education and Society
Welch R.,Alfrey L.,Harris A.Urban Education
Razfar A.,Rumenapp J.C.,Torres Z.The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Yong Hee Kim; Eun Kyung Kim; Ji Yang Jeong; Soon Hwa YooReview of Higher Education
Pifer M.,Baker V.,Lunsford L.吉林省教育学院学报 / Journal of Educational Institute of Jilin Province
邵岩; SHAO Yan南方职业教育学刊 / Journal of Southern Vocational Education
吴煌; 丛倩; WU Huang; CONG QianInternational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Gordon O. Ade-Ojo; Vicky Duckworth黑河学院学报 / heihe xueyuan xuebao
陈茜; Chen Qian辽宁高职学报 / Journal of Liaoning Higher Vocational
马超; MA Chao时代汽车 / Auto Time
隋殿杰; 展铭望; Sui Dianjie; Zhan Mingwang기독교교육 논총
이은철Journal of Teacher Education
Hambacher E.,Ginn K.Language and Education
Troyan F.J.,Auger N.中国教育科学(中英文) / Education Sciences in China
何克抗先生教育学术思想整理研究小组; He Kekang Academic Ideology Compiling TeamNurse Education Today
Mitchell K.M.,Kramer M.Foreign Languages Education
홍용철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대학원
본 과목은 교사와 학생이 함께 구성하는 실제 과학 교실에 대한 개념을 소개한다. 본 과목에서는 과학 수업에서 나타나는 언어를 다루며, 과학수업 관련 교실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을 교사, 학생, 환경 조건으로 구분하고, 개별 대상들의 행위가 어떻게 다른 대상들의 반응을 유도하는지 분석한다.전선 / 대학원
사회교육이란 자주적 판단력을 갖는 성숙한 국민의 양성에 있다. 이를 위해 우리 나라를 위시하여 다른 나라에서 어떤 교육을 시행하고 있는지를 비교 분석한다. 수업방법은 주제를 분담하여 연구, 발표, 토의하는 방법을 취한다.전선 / 대학원
이 교과는 교육사 연구방법론과 새로운 교육사 연구 성과를 소개하기 위한 과목이다. 여기에서는 국내와 외국의 교육사 연구 성과는 물론 관련 학문 영역의 연구 성과도 다루게 될 것이다.전선 / 대학원
학문적 탐구영역으로서 스포츠교육학의 전반적 특징에 대하여 이해한다. 스포츠교육학의 학문적 발전과정과 주요 연구동향에 대하여 포괄적인 이해를 갖는다. 최근의 국내외 연구초점과 교육현장에의 적용가능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탐색한다.전선 / 대학원
이 과목은 1945년 광복 이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한국 현대 교육사를 중심으로, 교육제도와 정책, 교사와 학생의 경험, 교육 담론의 변화, 교육과 관련된 사회 현상과 문화 등을 종합적으로 탐구한다. 이 시기의 교육이 어떻게 형성되고 변화해왔는지를 다양한 사료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분석하며, 현대 교육의 역사적 성격과 그 의미를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교육현상에 대한 역사적 이해와 분석 능력을 심화시킨다.전선 / 대학원
이 강좌는 아시아 지역에서의 교육사상의 성립과 발전과정을 역사적으로 검토하는데에 목적이 있다. 매학기 특정 주제를 선정하여 강의 계획을 수립하여 운영하며, 비교연구도 포함된다.전선 / 대학원
歷史가 人文科學이냐 아니면 社會科學이냐 하는 것은 오랜 논쟁의 대상이다. 그러나 歷史理解에 社會科學의 方法論이나 槪念을 이용하는 것은 점차 一般化되고 있는 趨勢이다. 따라서 歷史敎育에서 社會科學에 대한 이해 역시 必須的이다. 특히 社會科로의 역사를 이해하는 데 필요하다.전선 / 학사
이 교과목은 학부생의 발표능력을 배양하고 졸업논문을 지도하기 위한 것이다. 슬라이드 작성과 효과적인 표현방법, 발표문 작성, 발표요령 및 발표자세, 논문의 구성과 논문에서의 표현법, 문헌조사방법과 인용방법 등을 소개하고 발표하게 하여 엔지니어로서 산업현장에서 필요한 실무 발표 능력을 갖게 한다. 졸업논문 작성에 필요한 정보가 제공되고 학생들은 희망하는 연구실에서 교수의 지도아래 연구경험을 함께 얻는다.전선 / 대학원
歷史敎師로서의 專門職性의 강화를 위해 우리나라 敎育의 歷史를 그 시대의 時代思潮·學問背景·社會經濟的 動態 등과 연관시켜 認識하고, 이러한 歷史的 성찰 위에 설 現代社會의 敎育의 모습을 전망한다.전선 / 대학원
이 과목에서는 체육학 연구에 필요한 방법론을 소개한다. 본 과목은 체육학의 다양한 연구방법론을 이해하고 세부전공별 방법론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주제설정, 연구설계, 양적/질적 연구방법 등 체육학 연구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기본 개념과 방법을 폭넓게 공부한다.전선 / 학사
이 과목은 ‘통합사회’ 전공교사 양성과정에서 제시된 기본이수 과목으로, 통합사회 교육에서 가장 기초적인 과목이다. 통합사회교육의 목표와 내용 그리고 지도 및 평가방법을 다루며, 이에 부합되도록 논술을 지도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국가 사회의 현안 문제들이나 통합사회과의 주요 관심 주제들을 대상으로 시간적, 공간적, 사회적, 윤리적 관점에서 체계적․과학적으로 분석하는 법을 배우고, 그 결과를 논리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익힌다.전선 / 대학원
박물관·미술관의 역사, 목적, 조직체계, 교육 등을 고찰하여 박물 관·미술관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목표로 하고, 박물관·미술관 교 육 연구에 필요한 다양한 방법론에 대한 이론적 연구와 실제 적용 을 프로젝트를 실시하여 경험하도록 한다. 학생들에게 박물관·미 술관 교육에 관한 기본적인 이론에 대한 연구와 함께 이를 실제 박물관·미술관 현장에 적용해 보도록 하는 실천적 학습의 기회를 제공하도록 한다.전선 / 대학원
이 강의는 대학원 석사와 박사과정 학생에게 인류학적 논문을 작성하는 전 과정을 경험하게 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수강생은 이 강의를 통하여 주제선정, 이론 갖추기, 현지연구(fieldwork), 자료 정리, 학술적 글쓰기 등 일련의 과정을 실행하게 된다. 그럼으로써 학술 논문을 작성할 수 있는 능력과 자신감을 갖추고 동시에 현지연구 및 민족지 작성과 관련된 이론적, 철학적, 방법론적 문제를 성찰하게 될 것이다.전선 / 대학원
괴테의 문학과 삶을 올바르게 이해하는 데에 강의의 목적을 두고, 수업은 구체적으로 작품을 강독, 분석하고 2차문헌을 살펴보는 식으로 진행된다. 수강자가 리포트의 초고를 작성, 발표하고 이에 대한 담당교수의 코멘트, 다른 수강자들의 질의 및 토론이 있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