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loading...
음악대학 성악과 / 학사
2025-2학기
권장 선수과목 시창청음 1(650.1240) , 이태리어딕션(651.1211)
이태리의 19C 낭만주의 시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대표적인 이탈리아의 작곡가들을 중심으로 그들의 가곡 작품들을 깊이 있게 다룬다.
또한, 잘 알려지지 않은 가곡들에 대한 학습을 통하여 많은 레파토리를 넓힌다.
The erotics of materialism : Lucretius and early modern poetics
The erotics of materialism : Lucretius and early modern poetics
時代迴音 : 記憶中的台灣流行音樂 = Music in the past
時代迴音 : 記憶中的台灣流行音樂 = Music in the pastSeele und Unsterblichkeit : Untersuchungen zur Vorsokratik bis Empedokles
Seele und Unsterblichkeit : Untersuchungen zur Vorsokratik bis Empedokles中國戲劇論
中國戲劇論A Sign and a witness : 2,000 years of Hebrew books and illuminated manuscripts
A Sign and a witness : 2,000 years of Hebrew books and illuminated manuscripts
Picturing women in Renaissance and Baroque Italy
Picturing women in Renaissance and Baroque Italy
境界的探求
境界的探求
Witnessing suburbia : Conservatives and Christian youth culture
Witnessing suburbia : Conservatives and Christian youth culture위대한 황금예술 : 고대 이집트에서 20세기까지의 전설적 보물
위대한 황금예술 : 고대 이집트에서 20세기까지의 전설적 보물
Who killed Jesus? : exposing the roots of anti-semitism in the Gospel story of the death of Jesus
Who killed Jesus? : exposing the roots of anti-semitism in the Gospel story of the death of Jesus
Religion, the missing dimension of statecraft
Religion, the missing dimension of statecraft
The disappearance of objects : New York art and the rise of the postmodern city
The disappearance of objects : New York art and the rise of the postmodern city
Christabel Pankhurst : a biography
Christabel Pankhurst : a biography
The houses of history : a critical reader in twentieth-century history and theory
The houses of history : a critical reader in twentieth-century history and theory
Primary readings in philosophy for understanding theology
Primary readings in philosophy for understanding theology
The literary imagination in Jewish antiquity
The literary imagination in Jewish antiquity
Architecture, mysticism, and myth
Architecture, mysticism, and myth
(빅터 프랭클의) 죽음의 수용소에서 : 죽음조차 희망으로 승화시킨 인간 존엄성의 승리
(빅터 프랭클의) 죽음의 수용소에서 : 죽음조차 희망으로 승화시킨 인간 존엄성의 승리
The pleasures of good photographs : essays
The pleasures of good photographs : essays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Studies in Church History
Jemima JarmanAsian Music
Tom PetersonHistory of European Ideas
Fernando Esposito温州大学学报(社会科学版) / Journal of Wenzhou University(Social Sciences)
骆徽; LUO HuiRenaissance and Reformation
Mary WattArs Judaica The Bar Ilan Journal of Jewish Art
Manor, HilaRevue de philologie, de littérature et d'histoire anciennes
Pontani, FilippomariaZeitschrift für Antikes Christentum / Journal of Ancient Christianity
Doroszewska, Julia한국문화
윤경진STUDIA LITTERARUM
Melnikova, Sofya, VThe Court Historian
Kasper Steenfeldt TipsmarkJournal of Biblical Literature
Kister M.Practical Theology
Picard, Andrew; Clark-Howard, A. D.Philip Roth Studies
Ozias, Joseph문화사학
손환일Postmedieval
Mir T.A.Southeastern Geographer
Fletchall, Ann M.Tempo
Kate MilliganReligions
Krug A.C.Modern Language Review
Richardson, Brian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대학원
사료가치가 높은 금석문과 각종 문자자료를 직접 연구하는 과목이다. 비와 묘지 등 전통적인 금석문 자료 이외에 최근 목간자료가 폭증하고 있으며 해외에서도 한국사 관련 문자자료의 발견이 연이어지고 있다. 너무 오래되어 판독이 쉽지 않은 금석문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글자 판독에서부터 내용 해석과 이에 바탕한 연구의 확대를 목표로 한다.전선 / 대학원
본 교과목은 프랑스고전주의연구와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이루는 과목이다. 프랑스고전주의연구가 고전주의 미학의 관점에서 17세기 문학을 고찰하는 반면 본 교과목은 17세기의 대표적인 작가를 중심으로 17세기 문학을 정리하는 교과목이다. 꼬르네이유를 비롯하여 라신느, 몰리에르 등의 작품세계를 살펴보고 고전주의 시대를 산 이 작가들의 작품이 각기 어떻게 다른 특징들을 보여주는지를 연구한다.전선 / 대학원
불교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 불교의 특성을 살피는 작업은 현대 종교사에서 매우 중요한 과제 중의 하나이다. 이 수업은 한국불교의 역사와 사상, 주요 인물, 문화적 양상과 특징, 영향등 제반사항을 연구한다.전필 / 학사
본 교과목은 중세로부터 17세기까지의 프랑스 문학사를 탐구한다.전선 / 대학원
전선 / 학사
상대(上代)에서 근세까지 주요 문학사를 개관하고 각 시대의 대표적인 문학작품을 장르별로 고찰하여 일본 고전 문학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킨다. 헤이안 궁정문학, 중세 군기(軍記) 문학, 근세 조닌(町人) 문학을 파악하고 이러한 일본 고전 문학 작품이 만들어진 배경과 내용을 분석하여 일본 전통사회를 폭넓게 이해하도록 한다.전선 / 학사
이 과목은 한국사회의 전승되어온 다양한 민속 전통과 문화를 개설적으로 다루는 과목이다. 문학이나 설화에서 나타나는 민속문화에 대한 소개 뿐 아니라, 역사적 자료나 문헌에서 검증할 수 있는 우리의 전통적인 문화와 생활양식을 검토하고, 실재하는 유산과 유물 등을 통해 민속 전통을 고증하고, 아울러 서구문화와의 비교·연구함으로써 수강생들로 하여금 우리의 전통문화와 민속에 대해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시각을 갖게 한다.전선 / 대학원
본 강의는 천황의 지배 체제가 무사들의 등장과 함께 약화된 일본 무사 시대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일본에서 무사들에 의한 분권적인 정치 질서가 성립되는 과정과 그 전개 과정을 통해서 일본의 무사 사회 성립과 발전을 이해한다. 이를 위해 이 시대의 기본적인 사료의 해독과 함께 논저를 정리하여 이 시대상의 이해를 심화한다.전선 / 대학원
이 과정은 위의 <고전그리스문학연습 1>의 연속선상에서 이미 개진된 주제 영역을 보다 심화하는 단계이다.전선 / 학사
개화기에서 1970년대까지 발표된 소설 작품들 가운데서 문제작을 선정하여 올바로 읽고, 분석하고, 평가하도록 한다.전선 / 학사
이 敎科目은 地域史 硏究에 착안한 것이다. 現在 우리나라 각 대학 아시아사 강좌의 一般的인 형태인 中國史 중심에서 탈피하여, 인도사, 서남 아시아사, 동남 아시아사, 중앙 아시아사 가운데서 한 地域 또는 文化圈을 選定할 수도 있고, 또 필요에 따라서는 그 取扱範圍를 좁혀 한 국가나 민족의 歷史의 전체 또는 부분을 다룰 수도 있다.전필 / 학사
본 교과목은 18세기부터 현대까지의 프랑스 문학사를 탐구한다.전선 / 대학원
개화기부터 1960년대에 걸쳐 현대문학의 전개과정 속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던 작가들을 집중적으로 검토한다. 여기에는 전기적 연구방법, 심리학적 연구방법, 문학사회학적 연구방법 등의 전통적 연구방법을 비롯하여 최근의 신비평과 구조주의적 접근에 이르는 다양한 연구 방법론이 활용된다. 이를 통해 작가와 작품, 혹은 작가와 시대의 관련 양상과 그 특질을 해명한다.전선 / 대학원
이 수업은 1960년대 후반부터 현재까지 유럽과 미국에서 발전한 미술 운동 특히 “회화와 재현의 영역” 을 둘러싼 다양한 논의의 내용과 쟁점들을 살펴보고 한다. 1960년대 후반 이후 미술은 포스트 모던이라는 용어를 둘러싼 논의에서 알 수 있듯이 모더니즘의 역사적 획일성과 절대성에 대한 반발로 나타난 다양성에 기반을 둔 탈형식과 의미의 분산화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 수업은 이러한 다양성에 기반을 둔 미술의 연구를 통하여 포스트 모던시대의 미술에 대한 이해와 동시에 이러한 이해를 비판적으로 해석.재고해 보고자 한다. 수업에서 논의될 주요한 쟁점들은 “회화의 재정비,” “매체의 재구성,” “도용과 해석,” “여성주의. 젠더. 미술” “미술과 역사” “세계화 시대의 미술” 등을 포함하고 있다.전선 / 대학원
18세기는 표트르대제에 의해 취해진 서구화정책으로 다양한 서구문화를 수용하게 된다. 특히 문학사적인 면에서 러시아고전주의와 낭만주의의 전조로서 감상주의가 이 시기동안 유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두 사조를 중심으로 근대 러시아문학의 토대를 형성하는 시기로서의 18세기를 고찰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