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화학생물공학부
음용수 및 각종 생물(의약, 식품, 등) 및 화학산업 (의류, 반도체 등)의 공정수 생산을 위한 물리 및 화학적 수처리 공정의 기본원리와 응용을 다룬다. 주요 내용으로 물리 및 화학적 수처리 공정의 핵심 공정인 응집, 화학침전, 흡착, 소독, 산화 환원 반응, 막공정 등이다. 이러한 물리 및 화학적 원리가 실제공정의 예측과 제어를 목적으로 한 모델구성에 어떻게 포함되는지 모델구성의 원리와 응용도 함께 다룬다.지리학과
대자연에서는 다양한 수문, 기상, 기후, 지형, 생물 현상이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이 모든 자연적 요소들은 본질적으로 시공간상에서 펼쳐진다. 자연지리학에서는 시스템적 접근이라는 맥락에서, 지구를 기권(atmosphere), 수권(hydrosphere), 암석권(lithosphere), 생물권(biosphere)으로 나눈다. 본 교과목에서는 각 영역에 대해 현장에서의 실측조사와 실험, 컴퓨터 시뮬레이션 등을 통해 깊은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며 각 영역으로부터 얻은 지식을 모아 지구의 자연환경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도모한다. 자연지리학자로서의 기본적인 소양을 배양하여 궁극적으로는 적절한 환경정책의 입안과 효과적인 환경관리에까지 참여할 수 있는 지리학도를 양성하고자 한다.자유전공학부
본 과목은 주로 담당 교수와의 1:1 면담을 통하여 수강생이 장차 선택하거나 설계하고자 하는 전공과 관련된 학문적 내용과 방법, 장래의 가능성과 진로 등을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학생설계전공을 하려는 학생은 반드시 수강해야 하는 과목이지만, 기존의 전공 가운데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할 학생들도 이 강좌를 통해 자신의 적성과 잠재력을 발견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필요시 강의 및 워크샵 등을 진행한다체육교육과
본 강의는 실증적 분석을 통한 스포츠 경제, 그리고 스포츠 리그의 다양한 관점에 대해 알아본다. 또한 프로 스포츠 팀의 사업과 경제, 스포츠 중계권, 선수 연봉과 같은 선수-조직 간의 문제, 대학 스포츠나 독점 금지법, 경기장 건립 재정 이슈등과 관련된 공공재정의 문제 등 여러 가지 이슈들에 대해 다룰 것이다.치의학과
본 과목은 치의학대학원 학사과정 1학년 학생들이 예비의료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기본역량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심리검사를 활용한 나 자신에 대한 사회심리학적 이해로부터 시작하여 소그룹 주제별 토론학습을 통한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배양하도록 한다. 특히, 성찰적 독서활동과 지역사회 봉사활동에 참여하여 인문학적 소양을 넓히고 봉사리더십을 실천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인문학과 자연과학을 아우르는 폭 넓은 토픽을 설정하고 이를 다양한 시각에서 접근하여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관련 전공의 교수들이 함께 참여하여 강의와 토론을 진행한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다양한 전공의 주제별 텍스트를 읽고 해석하고 학문적 글쓰기에 참여하게 되며 궁극적으로는 본인의 관심분야를 탐색하는 과정에서 학부교육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요구하는 논리적이고 비판적으로 사고하는 능력을 함양할 수 있다.의학과
면역학 연구에 있어서 임상과 기초과학 분야 모두에 적용되는 가장 기본적인 면역학적 개념을 이해하고 익히는 내용을 교육한다. 이에는 면역반응의 특성, 항체분자의 특성, 면역유전학의 기본적인 사항, B 세포 및 T 세포의 발달과 활성화 과정, 면역관용, NK cell 등의 내용이 포함된다.지능정보융합학과
나노미터 수준의 화학적 반응과 소재에 대해 심도 있게 알아본다. 본 교과목에서는 화학적인 패턴닝과 리소그래피, 다층 자기조립, 나노접촉 인쇄와 쓰기, 나노선 및 나노튜브, 나노결정체의 합성과 자기조립, 마이크로포러스 및 메조포러스 물질, 블록공중합체의 자기조립 등을 학습 한다. 또한, 여러 가지 중요한 나노물질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과 이들의 다양한 창의적인 기계적, 전기적, 전자적인 장치에서의 응용을 알아본다.체육교육과
스포츠 심리학 분야에서 이루어진 많은 이론적인 틀을 토대로 하여, 경쟁을 수반하지 않는 일반인들의 지속적인 운동 참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하고, 운동강도와 운동참가 기간에 따른 운동의 다양한 심리적인 효과를 탐색한다. 특히 운동이 특성불안, 상태불안, 자신감, 자기개념, 수면 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데에 중점을 둔다.국어국문학과
고대가요에서부터 향가, 고려가요, 시조, 가사 등 고전시가 작품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고전시가의 미학적 특질과 그에 표현된 한국인의 생활 감정과 사상을 이해하고 작품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연구의 방법을 체득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첫째, 작품 및 갈래 등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를 점검하고, 둘째, 구체적인 작품이나 갈래를 대상으로 그 작품을 분석하고 해석하거나 갈래의 미학적 특징을 규명하는 방법을 실습한다.재료공학부
산업체와 연구소 등의 첨단 재료 관련 연구 성과물에 대한 대학원생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물리, 화학, 하이브리드 재료 과학, 하이브리드 재료 공학 분야의 해당 전문가를 초빙하여 주제에 대한 기본 개념과 연구 성과, 연구 개발의 방향에 대해 심도 있게 강의한다.서양화과
선사시대, 고대 이집트, 그리스, 로마에서부터 낭만주의 이전까지 서양 미술의 주요 양식, 작가와 작품을 양식에 따라 당대의 정치, 사회, 경제, 문화적 관점과 연결시켜 개괄적으로 살펴본다.화학생물공학부
전기화학적 방법을 이용한 에너지 전환 및 저장을 위한 전지, 연료전지, 광전지 등의 전극, 전해질의 재료에 관한 내용과 반도체 소자의 제조와 관련된 표면처리, 박막제조, 부식 등이 강의의 주종을 이룬다. 또한 전기화학적 센서의 구조와 기능, 기타 격막, 광전기화학의 응용분야도 포함된다.협동과정 의료정보학전공
의료정보학의 다양한 이론들과 연구 및 활용 분야들에 대해 학습한다. 의학용어 및 서식의 표준화, 병원정보시스템, 의사결정이론 및 CDSS, 컴퓨터기반 의학교육, 의학문헌검색, 정보보안 및 윤리적 이슈 등에 대해 탐구한다. 의료정보시스템의 구축 및 응용사례 등을 조사하고 시스템의 효과적 활용방안에 대하여 연구한다.지능정보융합학과
이 과목은 인간의 정보추구행동을 분석하는 다양한 방법론을 소개하여 향후 학생 본인의 전공분야를 선택하는데 참조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정보의 사용성 조사나 사용자 경험조사 방법을 중점으로 데이터의 수집, 실험설계, 데이터 분석 및 해석방업 등을 취급한다.경영학과
회계학의 기초원리로서 회계순환과정(accounting cycle)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개념으로서의 회계의 전제조건 및 회계원칙과 자산, 부채, 소유주지분, 수익, 비용, 이익의 개념과 회계의 기술적 구조를 중심으로 공부할 것이다. 거래의 발생부터 재무제표를 작성하기까지 일련의 과정을 중점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이와 아울러 현금 및 현금등가물, 단기금융상품, 유가증권, 상품, 채권 및 채무, 어음, 유형 및 무형자산 등에 관한 회계처리 및 재무제표의 작성원리 및 보고방법에 관하여 설명할 것이다.
loading...
사범대학 교육학과 / 학사
2025-2학기
권장 선수과목 스포츠학입문(M1886.002500) , 영문학개론(707.207)
교직이론과목으로서 교육의 개념과 목적에 관한 사상과 이론을 검토하고, 제도교육의 실상에 관한 구체적이고도 체계적인 안목을 제공한다.
Professional development of CLIL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of CLIL teachers
Learning for employment : second report on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policy in Europe
Learning for employment : second report on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policy in Europe
Tomorrow's schools : principles for the design of professional development schools : a report
Tomorrow's schools : principles for the design of professional development schools : a report
Vocational education and occupation : a sociological appraisal of vocational high school education
Vocational education and occupation : a sociological appraisal of vocational high school education
Developing support systems for rural teachers'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Developing support systems for rural teachers'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Intergroup relations in teacher education : an analytical study of Intergroup Education in Colleges and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functions, current expressions, and improvement
Intergroup relations in teacher education : an analytical study of Intergroup Education in Colleges and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functions, current expressions, and improvement
Lactate threshold training
Lactate threshold training
Reconceptualizing curriculum, literacy, and learning for school-age mothers
Reconceptualizing curriculum, literacy, and learning for school-age mothersThe financing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 Greece : financing portrait
The financing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 Greece : financing portrait
Transition : facilitating the postschool adjust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ransition : facilitating the postschool adjust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대학 교수·학습 질 제고 전략 탐색 연구.
대학 교수·학습 질 제고 전략 탐색 연구.
학교수학을 위한 원리와 규준
학교수학을 위한 원리와 규준
산업사회와 진로교육 : 고등학교 교육을 중심으로
산업사회와 진로교육 : 고등학교 교육을 중심으로Vocational behavior : readings in theory and research
Vocational behavior : readings in theory and research
Ethical and social issues in professional education
Ethical and social issues in professional education
Vocational planning for college students : a sequential project method
Vocational planning for college students : a sequential project method
Equity in STEM Education Research : Advocating for Equitable Attention
Equity in STEM Education Research : Advocating for Equitable AttentionCounternarratives : studies of teacher education and becoming and being a teacher
Counternarratives : studies of teacher education and becoming and being a teacherFoundations of vocational education : social and philosophical concepts
Foundations of vocational education : social and philosophical concepts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교육학에의 초대
교육학에의 초대
최신 교육학개론 =
최신 교육학개론 =
배움의 조건 : 영화 속에 담긴 13가지 교육 이야기
배움의 조건 : 영화 속에 담긴 13가지 교육 이야기
교사교육의 딜레마
교사교육의 딜레마
배움의 조건 : 영화 속에 담긴 13가지 교육 이야기
배움의 조건 : 영화 속에 담긴 13가지 교육 이야기
가르칠 수 있는 용기
가르칠 수 있는 용기
(교육쟁점으로 풀어쓴) 교육학개론
(교육쟁점으로 풀어쓴) 교육학개론
한국교육은 왜 바뀌지 않는가? : 20세기 한국 학교교육의 역사, 1900~2000 : 한국사를 전공한 외국인 교수가 보는 한국교육의 문제
한국교육은 왜 바뀌지 않는가? : 20세기 한국 학교교육의 역사, 1900~2000 : 한국사를 전공한 외국인 교수가 보는 한국교육의 문제
가르칠 수 있는 용기
가르칠 수 있는 용기
교육학에의 초대
교육학에의 초대
미래교육, 교사가 디자인하다
미래교육, 교사가 디자인하다
교육학에의 초대
교육학에의 초대
(최신) 교육학개론 =
(최신) 교육학개론 =
가르친다는 것 : 교실을 살리기 위해 애쓰는 모든 교사들에게
가르친다는 것 : 교실을 살리기 위해 애쓰는 모든 교사들에게
미래교육, 교사가 디자인하다
미래교육, 교사가 디자인하다
(최신)교육학개론
(최신)교육학개론International Journal of Instruction
Sutiani A.,Situmorang M.,Silalahi A.Teaching English with Technology
Uştuk Ö.成才之路 / The Road to Success
施宇; Shi Yu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Guoyuan Sang, Martin Valcke, Jo Tondeur, Chang Zhu, Johan van BraakJOURNAL OF CONTINUING HIGHER EDUCATION
Bengo, Nadia Marilia de AbreuProfessional Development in Education
Kolesnyk L.,Biseth H.ZDM – Mathematics Education
Johann Engelbrecht; Marcelo C. Borba; Gabriele Kaiser教育教学论坛 / jiaoyu jiaoxue luntan
汪红烨; 杨小丽; WANG Hong-ye; YANG Xiao-li当代体育科技 / Contemporary Sports Technology
吕铭亚; LYU Mingya天津职业院校联合学报 / Journal of Tianjin Vocational Institutes
段美龄; Duan MeilingCollege and Research Libraries
Hosier A.职业技术教育 / Vocational and Technical Education
张妮; 黄柳萍; 郭治豪; Zhang Ni; Huang Liuping; Guo ZhihaoQuality and Quantity
Tokatligil Y.S.,Saliyeva A.Z.,Zhumabekova F.N.职业教育研究 /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罗洁; 李文静; LUO Jie; LI Wen-jing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Topçu M.S.,Çiftçi A.行政管理改革 / Administration Reform
熊丙奇; Xiong Bingqi职业技术教育 / Vocational and Technical Education
邬跃; 李德龙; Wu Yue; Li Delong遵义师范学院学报 / Journal of Zunyi Normal College
王能发; 刘自鑫; WANG Neng-fa; LIU Zi-xin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Bowers N.,Merritt E.,Rimm-Kaufman S.高教学刊 / Journal of Higher Education
李想; 赵赫; 马红光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대학원
다양한 음악교수법들의 이론 및 실제에 관하여 연구한다. 또 심미적 체험을 위한 수업원칙들 및 교수-학습 전략들을 연구하고, 전체적 음악 프로그램을 개선하기 위한 보다 효율적인 방법들을 탐색하고 연구한다.전선 / 대학원
성인교육의 개념과 종류, 성인교육을 위한 원리, 교육과정의 개발, 성인교육 방법, 평가방법 등을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하는 교과목이다.전선 / 대학원
이 강의의 목적은 과학교육 전공대학원생들에게 과학교육의 근본문제와 최근 쟁점에 대한 접근을 통해 창의적이고 학술적인 가치가 높은 연구주제를 모색하도록 하는 것이다. 을 중심으로 진행한다. 이를 통해 국제적인 수준의 연구 역량을 갖추도록 한다.전선 / 대학원
본 교과목은 전통적인 교수법에서부터 청화교수법, 구조연습을 통 한 교수법 등 다양한 불어교육과 관련된 이론들을 살펴봄으로써 가장 나은 불어교육이론을 모색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전선 / 대학원
본 강의는 주로 석사학위과정에 있는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계획서의 작성에 대한 강의를 하고, 산림과학의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의 특강을 통하여 각 분야의 최근의 학문적 동향을 접할 기회를 가지게 한다. 학생들의 석사학위 논문을 위한 연구프로젝트의 연구계획서를 작성, 발표하게 하여 연구계획을 사전에 검증받을 기회를 가지며, 또한 자신의 전공분야와 관련된 주제에 대하여 발표한다.전선 / 학사
현재까지 배운 고급 과정 지식을 토대로 실무에 연관시켜 문제 해결 능력 향상과 학생들의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수업을 통하여 실무에서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파악함으로써 자신감을 부여한다. 학생들에게 창의적인 프로젝트 개발을 위한 주제를 선정하고, 이를 통하여 창의적인 프로젝트 아이디어 기획, 설계, 개발 등의 자기주도적인 실무능력을 배양하며 학생 역량의 달성을 목표로 한다.전필 / 학사
본 과목은 여러 분과 학문을 아우르는 큰 주제를 설정하고 이를 통합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종합적 시각을 형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이 과목은 여러 명의 교수들이 함께 참여하여 강의와 토론을 진행한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세미나 주제에 다양한 시각으로 접근하고 그 결과를 창의적으로 종합하는 훈련을 한다.전선 / 학사
이 강의는 한국의 중등학교 과학교육에 맞추어 물리수업의 실천 및 수업분석 능력개발에 중점을 두며, 물리지식의 본성, 물리교육의 본질, 성공적인 물리 수업을 위한 이론과 방법 등을 구체적으로 다룬다. 이 강의는 학생들이 반성적이며 실천적인 능력을 갖춘 물리교사로서 성장할 것을 기대한다.전선 / 학사
이 강의는 현대 학교교육이 가지고 있는 가장 큰 특징인 표준화교육의 문제점과 한계를 검토함과 아울러 이 프레임을 넘어설 수 있는 대안적 체계로서의 복잡성 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대 학교교육은 지식, 학습, 교사, 학생, 학교, 학제 등 대부분의 학교교육 구성요소들이 표준성과 획일성을 그 핵심원리로 삼고 있다. 이런 특징은 이후의 다양한 교육개혁, 즉 인간화 교육, 대안교육, 민주시민성교육, 생태적 교육 등으로 전환하려는 움직임을 근본적으로 가로막는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 이 강좌는 그런 한계를 자세히 검토함과 동시에 이것을 극복하기 위해 나타난 인간성교육, 민주시민성 교육, 복잡생태교육 등의 새로운 프레임들이 어떻게 표준화교육의 논리적 한계를 하나씩 극복해갈 수 있는 가능성을 생산해낼 수 있는지를 검토한다.교양 / 학사
축구는 고대 희랍에서 유래되어 1908년 국제경기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축구는 경기규칙이 비교적 간단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스포츠이다. 실제적인 축구 경기를 통해 협동심, 책임감, 준법정신 등과 같은 사회성을 함양하도록 하며 지구력, 투지력, 판단력등을 고양시키도록 교과과정을 구성한다.전필 / 학사
사회과교육에 관한 가장 기초적인 과목으로서 사회과교육의 개념과 특징, 역사적 발전과정과 기초원리 등을 학습한다. 이와 함께 고등학교 사회과교육의 목표와 교육과정 및 교육방법의 최근 경향, 사회과학과 사회과교육의 관계 등을 검토하면서 사회변동이 심한 우리나라 현실에 적합한 고등학교 사회과교육의 방향과 방법을 모색하는 데에 교과의 목표가 있다. 사회과교육에 관한 최근의 연구경향과 문헌의 조사도 이 과목의 중요한 부분이 되며 이러한 연구는 앞으로 사회과교육의 교재연구와 지도방법 등을 전문적으로 탐구하는데 기초가 된다. 또한 사회과 수업의 실제와 과정 중심의 평가 등 초중등 교육과정의 각론내용에 중점을 둔다.전선 / 학사
본 과목의 목적은 [자율연구1]을 성공적으로 수강한 학생들에게 자신이 탐구하고 싶은 주제와 방법을 자율적으로 선택하고 지도교수의 도움을 받아 한층 더 창의적이고 심도 깊은 연구를 수행할 기회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학생들은 [자율연구1]에서 수행한 연구를 더욱 발전시킬 수도 있고 새로운 주제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 과목을 통하여 자유전공학부가 중시하고 있는 자기주도적 학습, 비판적 사고,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을 더욱 신장시키고, 초보적인 수준에서나마 학문 연구 수행의 경험을 해보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전선 / 대학원
본 과목에서는 중,고등학교 도덕,윤리과교육의 이론과 실제에 관심을 기울이며 특히 지도방법에 강조점을 둔다. 다시 말해, 도덕철학,도덕심리학,교육방법 및 공학 등에 기초하여 중등 도덕과에서 좋은 수업을 하기 위해 필요한 제반 이론적 관점을 정립하고, 도덕과에서 효과적인 다양한 교수법과 수업모형 및 수업전략, 그리고 지도안 작성요령 등 실용적이고 도구적인 아이디어들을 풍부하게 제공하는 데 초점을 갖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