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환경설계학과
전지구적 생물다양성 위기에 따라 생물다양성 보전의 중요성이 지역적 차원에서도 날로 커지고 있다. 따라서 신규 개발사업은 물론 기존의 환경관리과정에서도 어떻게 그 지역의 생물다양성을 평가할 수 있으며 어떠한 보전·복원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지가 매우 중요하다. 이 과정에서는 보전 대상인 복잡한 생태계를 생물서식지(habitat)의 개념으로 명료하게 치환하여 접근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서식지의 질과 공간특성, 관리계획에 대한 분석적 사고가 요구된다. 본 수업에서는 서식지 생태영향평가 방법론(HEP; Habitat Evaluation Procedure)을 활용하여 대상지의 생물다양성 보전계획을 정량적, 과학적 논거에 기초하여 스스로 생각해보고, 이를 어떻게 합리적으로 설득시킬 수 있을지를 토론하게 된다.
loading...
사범대학 영어교육과 / 학사
2025-1학기
권장 선수과목 영문학개론(707.207) , 경험과 성장(M2184.000500)
본 교과목은 언어의 일반적 특징, 영어의 구조, 분석방법등에 관한 개론이다.
Vergleichende Grammatik Spanisch-Deutsch
Vergleichende Grammatik Spanisch-Deutsch
El Verbo y su conjugación
El Verbo y su conjugación
Chinese lexicology and lexicography : a selected and classified bibliography = 中國詞彙學及 辭典學分類參考書目
Chinese lexicology and lexicography : a selected and classified bibliography = 中國詞彙學及 辭典學分類參考書目
Syntax : an introduction
Syntax : an introductionLexical phrases and language teaching
Lexical phrases and language teaching
Sociolinguistics in deaf communities
Sociolinguistics in deaf communities
Mandarin Loanwords
Mandarin Loanwords
A handbook of Germanic etymology
A handbook of Germanic etymology
The Prague school of structural and functional linguistics : a short introduction
The Prague school of structural and functional linguistics : a short introduction
Dictionnaire des locutions en moyen français
Dictionnaire des locutions en moyen français
The Berkeley Conference on Dutch Linguistics 1997 : the Dutch language at the millennium
The Berkeley Conference on Dutch Linguistics 1997 : the Dutch language at the millennium
The dynamics of focus structure
The dynamics of focus structure
Russian reference grammar
Russian reference grammar
German through pictures
German through pictures
Vocabulary : applied linguistic perspectives
Vocabulary : applied linguistic perspectivesPhonetic linguistics : essays in honor of Peter Ladefoged
Phonetic linguistics : essays in honor of Peter Ladefoged
L'analyse du discours contrastive : théorie, méthodologie, pratique
L'analyse du discours contrastive : théorie, méthodologie, pratique
Early trilingualism : a focus on questions
Early trilingualism : a focus on questions
Linguistics for everyone : an introduction
Linguistics for everyone : an introductionAesthetic as science of expression and general linguistic
Aesthetic as science of expression and general linguistic스페인어문학
김경희Natural Language and Linguistic Theory
Chen S.,Vander Klok J.,Matthewson L.,Rullmann H.영어영문학21
정윤희Corpus Pragmatics
Giomi R.중국학논총
JINHONGSHIMorphology
Erschler D.Chinese Journal of Applied Linguistics
Zhou, Siruo; Xiong, Dan; Zhou, Tongquan; Pang, PingSTUF - Language Typology and Universals
Nataliya LevkovychAttention, Perception, and Psychophysics
McLaughlin D.E.,Carter Y.D.,Cheng C.C.,Perrachione T.K.일어일문학
이충규VOPROSY YAZYKOZNANIYA
Vydrin, Arseniy P.; Mazurova, Julia, VSTUDIES IN ETHNICITY AND NATIONALISM
Maxwell, Alexander; Zahorik, Jan; Turner, MollyAnnual Review of Linguistics
Annelies KustersTopoi
Abreu Zavaleta M.Journal of child language
Hacquard V.English for Specific Purposes
Zhou H.,Jiang F.K.언어와 정보
김지은Semiotica
Kijania-Placek K.Korean Association For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Jeong Han Han; Hye Gyeong YoonNOWELE-NORTH-WESTERN EUROPEAN LANGUAGE EVOLUTION
Tarsi, Matteo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필 / 학사
프랑스어학에 대한 지식은 프랑스어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기본이다. 본 강의에서는 프랑스 고유의 어학 이론들의 핵심적인 주장과 언어 분석법을 고찰하고, 이 중에서 프랑스 어 교육에 영향을 미친 이론들을 살펴봄으로써 프랑스어에 대한 이해와 프랑스 어 교육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전선 / 학사
이 교과목은 러시아어를 처음 접하거나 혹은 아직 초보적인 수준에 있는 학생들이 러시아어의 발음에 익숙해지고 나아가 기초적인 러시아어 회화를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데 중점을 둔다. 원어민 교수는 러시아어를 처음 배우는 학생들이 정확한 러시아어 발음과 억양을 익힐 수 있도록 학생 개개인에게 관심을 쏟을 것이며, 또한 러시아어에 대한 기초적인 문법적 지식도 필요할 때마다 제공할 것이다. 학생들은 소그룹을 설정하여 실생활에서 부딪히는 여러 기본적인 상황을 만들고 실제로 재연해 봄으로써 생생한 러시아어를 반복 연습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전선 / 대학원
최근에 널리 다뤄지고 있는 담화에 관한 여러가지 이해 방식 및 혼동들을 살펴본 후 언어학의 연구 대상으로 다뤄지고 있는 담화를 한정, 이에 관한 여러 이론들을 일별해 보고 구체적인 담화 분석을 통해 이해의 폭을 넓힌다.전선 / 대학원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학습할 때 부딪치는 가장 큰 어려움 중의 하나는 문화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언어사용의 난해함이다. 이 강좌에서는 다양한 텍스트를 대상으로 한국어 표현에 영향을 미치는 제반 문화요소를 탐구하며, 문화원리를 도입한 한국어교육에 대해 논의하게 된다.전선 / 학사
이 강의는 현재 독일어의 문장구조, 의미구조 및 음성음운구조를 이론적으로 분석하고 습득하려는 데에 주요목적을 둔다. 독일어의 문장구조는 전통적으로 주문장, 부문장의 분석보다 이들 중 부문장을 기본문장 구조로 하고 주문장을 유도하는 이론을 전개할 것이다. 독일어의 의미구조는 어휘구조와 문장의미구조를 동시에 분석할 것이고 독일어의 음운구조는 독일어의 특유의 음운현상으로서 어말무성음화, Umlaut, 장음화 등의 음운구조를 분석하면서 이론적으로 설명될 것이다.전선 / 학사
본 교과목은 외국인 교수와의 토론식 수업을 통해 기초적인 프랑스어 표현 능력을 향상시킨다.전필 / 학사
본 교과목은 프랑스어 문해력과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프랑스어 어휘 및 문법 구조의 이해와 학습에 그 목적이 있다.전선 / 학사
이 교과목은 음운론에 관한 일반적인 이론의 흐름을 개관하고 그것이 한국어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알아본다. 먼저 음소 설정 방법을 통해 한국어의 음소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고 그 음소들은 어떤 체계를 구성하고 있는지 알아본다. 나아가 음운규칙을 설정하고 어떤 음운과정이 있는지 살핀다. 이러한 공시음운론 외에 음운의 역사적 변화를 다루는 통시음운론도 여기서 다루어진다.전선 / 대학원
이 교과목은 '음성학연구 1'(108.518)의 교과목 내용을 기초로 이론의 확대적용 및 발전을 좀더 깊이 있게 모색한다.전선 / 학사
본 강좌는 제1 언어로 한국어를 습득하는 한국어 모어 화자들과 제2 언어 또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를 습득하는 학습자들의 한국어 발달 과정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제1 언어로서의 한국어 습득과 제2 언어 또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습득의 차이를 고찰하고, 모어 화자와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발달 단계를 음소, 음운, 어휘, 통사, 화용적 측면에서 통시적으로 비교해 본다. 나아가 모국어로서 혹은 제2 언어나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습득과 관련된 다양한 언어 습득 이론을 소개하고, 언어발달 차이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들을 탐구한다. 이를 바탕으로 학생들은 실제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모어 화자들 및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발달 과정 및 개인 간의 언어 숙달 차이를 이해하는 데에 필요한 이론적, 실제적 지식을 갖출 수 있다.전선 / 대학원
영어학이나 영어사 분야의 고급 과목으로 최근 연구 주제들과 이론적 발전에 대해 연구한다. 구체적인 강의 내용은 매 학기 담당교수가 공지한다.전선 / 학사
이 교과목은 중국어 말소리의 특성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능력을 기르는 데에 목표를 둔다. 음성언어 연구에 필요한 기본 개념과 방법을 익히고, 표준중국어의 말소리 목록을 이해한다. 자음과 모음, 성조, 강세가 표준중국어에서 실현되는 양상을 탐색하고, 한국어와의 공통성과 차이를 논의한다. 이를 토대로 언어 비교, 발음 습득 및 음성 인식, 합성 등의 영역으로 지식을 확장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전선 / 대학원
언어활동에는 도구요인과 문화요인이 내재해 있는바, 이 강좌에서는 한국어활동의 문화요인을 집중적으로 다루게 된다. 다양한 텍스트의 분석을 통해 한국인의 언어 표현과 이해의 문화를 추출하고, 이러한 문화요인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서 갖는 교육적 함의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하게 된다.교양 / 학사
본 교과목은 보다 실용적인 강좌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사회 환경과 변화하는 학생들의 요구에 부합하기 위해 문법, 독해가 아닌 회화 위주로 진행되는 수업이다. 불어불문학과 전용 어학실습실에서 진행되는 이 교과목은 비디오테이프, 카세트테이프, CD ROM 타이틀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한 프랑스어 말하기 능력의 습득은 물론 언어를 통한 프랑스 사회 문화의 이해도 아울러 목표로 삼고 있다.전필 / 학사
이 강좌에서는 언어로 사고하는 행위, 특히 국어로 이루어지는 사고행위가 어떻게 교육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지를 살펴본다. 국어라는 매개로 생성된 창의적 사고가 국어 사용자라는 공동체 내에서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전달하는 얼개를 살펴보고, 그것을 글로 표현하는 논술교육의 단계로 이어지도록 한다.전선 / 대학원
현재까지 국어교육은 남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국어교육의 목표와 내용, 실천 방안을 탐구해 왔다. 앞으로의 국어교육은 통일 시대를 대비하여 남북한 언어와 문화의 동질성 회복을 위한 목표와 내용으로 그 범위를 확장하여 남북한의 교육통합에 기여할 필요가 있다. 이 강의는 남한의 표준어와 북한의 문화어에 대한 탐구, 남북한 국어교육의 실상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통일 시대 국어교육의 이론적 기반과 구체적 교육 내용 및 방법 모색을 목표로 한다. 그리하여 북한 이탈 주민 대상 국어교육 연구, 통일 시대 국어교육과정 연구, 통일 시대 국어과 교수학습 연구에 기여하고자 한다.전선 / 대학원
[영어음운론] 또는 [영어의미론]에 대한 기초과목을 이수한 대학원생이 좀 더 이론적인 틀을 이해하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둔다. 구체적 강의내용은 담당교수가 강의개요를 통해 밝힐 것이다.전선 / 학사
이 강의는 고전기 대표적 산문작가들인 투키디데스와 플라톤의 문장을 통해 고전 그리스어 문법과 문장 독해 능력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중요한 산문들을 함께 읽으면서 문장을 정확하게 독해하고 문장 단위에서는 배우기 어려웠던 문체, 논증 및 문단 구성, 수사적 기법 등을 분석하는 능력을 배양할 것이다.전선 / 학사
영어 이해의 토대로서 영어교육자가 필요로 하는 영어의 역사적 변천 과정을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및 사회언어학의 관점에서 개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