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서양화과
이 수업은 서양화과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창의적인 표현 능력을 기르기 위한 첫걸음으로서의 실기 수업이다. 관련된 이론을 바탕으로 시각적 표현의 다양한 요소와 원리에 대해 새롭게 접근하고 고찰하며, 작품의 기본이 되는 재료와 표현에 대해 학습한다. 또한 작품의 소재와 주제를 탐색하고 고민해봄으로써 미술을 통해 생각하고 표현하는 연습을 한다. 토론과 크리틱으로 개별 과제를 검토하고, 작품을 분석, 비평, 감상하는 능력을 기른다.
loading...
사범대학 영어교육과 / 학사
2025-1학기
권장 선수과목 영어응용음성학(707.204) , 영어학개론(707.301)
토론, 회의, 수업 및 기타 실생활에 필요한 영어능력을 상급단계에서 배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Reading & conversation for intermediate and advanced students of English.
Reading & conversation for intermediate and advanced students of English.
Spanish conversation
Spanish conversation
On voluntary servitude : false consciousness and the theory of ideology
On voluntary servitude : false consciousness and the theory of ideology
Asian and African linguistic studies.
Asian and African linguistic studies.Strengthening teacher education: the challenges to college and university leaders
Strengthening teacher education: the challenges to college and university leaders
Phonological relations between words
Phonological relations between words
교육학개론
교육학개론
Письма и заметки Н. С. Трубецкого
Письма и заметки Н. С. Трубецкого
Signs, dialogue, and ideology
Signs, dialogue, and ideologyDe la logique à l'argumentation
De la logique à l'argumentation
Undoing whiteness in the classroom : critical educultural teaching approaches for social justice activism
Undoing whiteness in the classroom : critical educultural teaching approaches for social justice activism
Cognitive control and consequences of multilingualism : a descriptive and prescriptive analysis
Cognitive control and consequences of multilingualism : a descriptive and prescriptive analysis
Educational change in international early childhood contexts : crossing borders of reflection
Educational change in international early childhood contexts : crossing borders of reflection
Interpreting musical gestures, topics, and tropes : Mozart, Beethoven, Schubert
Interpreting musical gestures, topics, and tropes : Mozart, Beethoven, Schubert
Final report of the Sixth APEID Regional Seminar on Special Education in Japan : 14-21 Oct. 1986, Yokosuka.
Final report of the Sixth APEID Regional Seminar on Special Education in Japan : 14-21 Oct. 1986, Yokosuka.
음악교육의 기초와 원리
음악교육의 기초와 원리
Conversation analysis
Conversation analysisSocial realism, knowledge and the sociology of education : coalitions of the mind
Social realism, knowledge and the sociology of education : coalitions of the mind
Colloquial Cantonese
Colloquial Cantonese
Elementary science methods : a constructivist approach
Elementary science methods : a constructivist approach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International Journal of Multilingualism
Huang C.F.Political Theory
Rodman E.Open Archaeology
Nowak M.Revue d’histoire moderne & contemporaine
Lamy, Jérôme교육종합연구
최한올AUSTRALIAN FEMINIST STUDIES
Mayhew, Louise R.; Rydstrand, Helen教育教学论坛 / jiaoyu jiaoxue luntan
王文豪; 吴复忠; WANG Wen-hao; WU Fu-zhong일어일문학
후키아게준코Informal Logic
Duran C.Estudios Atacamenos
Díaz S.G.,Carrandi J.Z.Journal of Music Teacher Education
Cara Faith BernardLanguage Teaching: Surveys and Studies
Borkovska, NataliyaPROSPECTS: Comparative Journal of Curriculum, Learning, and Assessment
Sarkar Arani, Mohammad Reza; Lander, Bruce; Shibata, Yoshiaki; Iksan, Zanaton; Tan, Shirley甘肃理论学刊 / Gansu Theory Research
刘小年; LIU Xiao-nian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Jaeger E.L.南昌师范学院学报 / Journal of Nanchang Normal University
李立; LI LiSport, Education and Society
Harvey S.,Pill S.四川民族学院学报 / Journal of Kangding Nationality Teachers College
昝琦; Zan QiInternational Journal for Educational and Vocational Guidance
Ennerberg E.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논문 / 대학원
석박사 과정 학생들의 학위논문 준비와 관련하여 실제적인 차원에서의 논문집필 교육을 담당하는 교과목.전필 / 학사
한국음악학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음악의 개념, 갈래, 악곡, 악기, 나아가 한국음악 문화를 소개하는 과목이다. 음악의 갈래를 궁중음악, 풍류계 음악, 민속음악, 창작국악으로 나누고 개별 갈래의 음악 청취와 분석을 통해 이해를 깊게 한다. 전통음악을 주로 소개하며, 창작음악의 경우 전통음악을 의식적으로 수용한 작품을 소개한다. 1, 2학기 연강이다.전선 / 대학원
본 교과목은 통사론의 기본 개념들이나 이론들을 살펴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구조주의 언어학에서부터 최근의 최소주의 언어학에 이르기까지 불어통사론의 전반적인 흐름들을 살펴보고, 특히 현대프랑스어통사론의 핵심연구들을 토대로 강의가 진행될 것이다.교직 / 학사
이 과목은 교직과목의 하나로 학교교육과 전반적인 사회구조 간의 복합적 관계에 관한 기존의 교육사회학 제 이론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우리나라 학교교육의 사회적 현실을 총체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안목을 형성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전선 / 대학원
교육 주체들의 다양성과 이질성을 포용하는 공존은 포스트 디지털 사회의 교육이 지향해야 할 새로운 방향이다. 이 강좌는 포스트 디지털 사회의 교육적 맥락으로 등장하고 있는 인간과 기계의 공존, 인간과 인간의 공존, 인간과 자연의 공존을 개념적, 실천적으로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전선 / 대학원
모든 기록물 관리과정에 있어서 중요 기능을 하는 기록들의 수집 및 평가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기록의 수집과 평가는 모든 기록들의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첫 번째 핵심 과정으로서, 본 과정에서는 전자기록을 포함한 수집 및 평가의 일반적인 전락과 방법들을 살펴본다. 또한 강독과 토론을 통하여 기록들의 수집과 평가에 관련된 제 이론들과 전략들이 실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를 고찰함으로써, 학생들의 실질적인 능력을 제고시키고자 한다.교양 / 학사
고급일본어 1과 연계된 과정으로서, 일본과 일본인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관련 주제를 다룬 지문을 읽고, 지문을 읽고, 그를 통해 인문학적 소양을 습득함과 동시에 고급 일본어 표현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특히 학술서에 많이 등장하는 구문과 어휘를 중점적으로 학습함으로써 학술 일본어(Academic Japanese)에 대한 이해를 높여 종합적인 일본어능력을 갖출 수 있게 된다. 또한 인문학적 소양을 바탕으로 일본과 일본인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도록 한다.전선 / 학사
이 강의에서는 일본과 일본인, 일본문화에 관해 발표된 ‘일본론’을 다룬다. 이를 통해 일본인들의 행동 및 사고양식에 대한 이해를 심화한다. 일본어로 발표된 문헌뿐만 아니라 한국어 및 영어로 출판된 문헌을 읽는다. 강의는 텍스트의 강독 외에 주제발표를 병행하는 세미나 형식으로 진행한다.전선 / 대학원
국가 사회의 현안 문제들이나 환경교육의 주요 관심 주제들을 대상으로 환경교육학적인 방법론을 사용하여 체계적·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논리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익힌다.전선 / 학사
교육학 전공 학생들에게 제공되는 교육공학에 대한 입문 과목이다. 교육공학의 영역과 역사, 관련이론, 현대적 동향 등의 이론적 부분과 그 활용 등의 실제적 부분에서의 접근이 이루어지는 과목이다. 학생들은 단위수업의 교수설계 경험, 정보통신기술 기반의 교육 자료 개발, 이러닝, 사이버 대학, 기업교육 등 교육공학의 실제 적용 영역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하게 된다.전선 / 학사
로봇의 인간과 상호작용의 역할이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 이런 흐름에서, 심리학은 특히 인간스러운 로봇을 개발하는 데 중요한 통찰을 제공하고 있다. 본 강의에서는 지각 심리학과 발달 심리학에서 잘 연구된 인간 특징들(지각, 지능, 창의성, 동작, 감정 그리고 자기 개념)을 살펴보고, 이것들이 어떻게 로봇에게 이식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이론과 실습을 통해 배운다. 구체적으로, 체화인지, 지각 심리학, 동작 인지, 인간-기계 상호작용, 기계학습의 기초, 발달 로봇의 이론에 대해 배운다. 본 강의는 앞으로 다가오는 인공지능 시대의 삶을 이해하고 준비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교양 / 학사
본 강의는 불교철학에 대한 역사적 이해와 나아가 불교가 제시하는 여러 이념들이 가진 심리학적, 철학적 의미맥락을 이해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인도불교를 중심으로 불교의 초기~대승시대에 이르기까지 불교철학의 기초를 형성한 사성제와 연기설 등의 핵심 개념들의 철학적, 심리학적 의미에 대해 논의하고, 이 교설이 동아시아 문화에 끼친 역사적 과정과 그 의미를 논의할 것이다. 그리고 이런 이론적 이해 위에서 현대사회의 가장 중요한 이슈의 하나인 인간과 자연환경의 관계, 개인과 공동체 간의 윤리적 문제, 동물의 생명권 등의 사회적 문제 등을 불교사상의 관점에서 자유롭게 논의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