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화학생물공학부
음용수 및 각종 생물(의약, 식품, 등) 및 화학산업 (의류, 반도체 등)의 공정수 생산을 위한 물리 및 화학적 수처리 공정의 기본원리와 응용을 다룬다. 주요 내용으로 물리 및 화학적 수처리 공정의 핵심 공정인 응집, 화학침전, 흡착, 소독, 산화 환원 반응, 막공정 등이다. 이러한 물리 및 화학적 원리가 실제공정의 예측과 제어를 목적으로 한 모델구성에 어떻게 포함되는지 모델구성의 원리와 응용도 함께 다룬다.지리학과
대자연에서는 다양한 수문, 기상, 기후, 지형, 생물 현상이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이 모든 자연적 요소들은 본질적으로 시공간상에서 펼쳐진다. 자연지리학에서는 시스템적 접근이라는 맥락에서, 지구를 기권(atmosphere), 수권(hydrosphere), 암석권(lithosphere), 생물권(biosphere)으로 나눈다. 본 교과목에서는 각 영역에 대해 현장에서의 실측조사와 실험, 컴퓨터 시뮬레이션 등을 통해 깊은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며 각 영역으로부터 얻은 지식을 모아 지구의 자연환경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도모한다. 자연지리학자로서의 기본적인 소양을 배양하여 궁극적으로는 적절한 환경정책의 입안과 효과적인 환경관리에까지 참여할 수 있는 지리학도를 양성하고자 한다.자유전공학부
본 과목은 주로 담당 교수와의 1:1 면담을 통하여 수강생이 장차 선택하거나 설계하고자 하는 전공과 관련된 학문적 내용과 방법, 장래의 가능성과 진로 등을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학생설계전공을 하려는 학생은 반드시 수강해야 하는 과목이지만, 기존의 전공 가운데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할 학생들도 이 강좌를 통해 자신의 적성과 잠재력을 발견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필요시 강의 및 워크샵 등을 진행한다체육교육과
본 강의는 실증적 분석을 통한 스포츠 경제, 그리고 스포츠 리그의 다양한 관점에 대해 알아본다. 또한 프로 스포츠 팀의 사업과 경제, 스포츠 중계권, 선수 연봉과 같은 선수-조직 간의 문제, 대학 스포츠나 독점 금지법, 경기장 건립 재정 이슈등과 관련된 공공재정의 문제 등 여러 가지 이슈들에 대해 다룰 것이다.치의학과
본 과목은 치의학대학원 학사과정 1학년 학생들이 예비의료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기본역량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심리검사를 활용한 나 자신에 대한 사회심리학적 이해로부터 시작하여 소그룹 주제별 토론학습을 통한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배양하도록 한다. 특히, 성찰적 독서활동과 지역사회 봉사활동에 참여하여 인문학적 소양을 넓히고 봉사리더십을 실천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인문학과 자연과학을 아우르는 폭 넓은 토픽을 설정하고 이를 다양한 시각에서 접근하여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관련 전공의 교수들이 함께 참여하여 강의와 토론을 진행한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다양한 전공의 주제별 텍스트를 읽고 해석하고 학문적 글쓰기에 참여하게 되며 궁극적으로는 본인의 관심분야를 탐색하는 과정에서 학부교육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요구하는 논리적이고 비판적으로 사고하는 능력을 함양할 수 있다.의학과
면역학 연구에 있어서 임상과 기초과학 분야 모두에 적용되는 가장 기본적인 면역학적 개념을 이해하고 익히는 내용을 교육한다. 이에는 면역반응의 특성, 항체분자의 특성, 면역유전학의 기본적인 사항, B 세포 및 T 세포의 발달과 활성화 과정, 면역관용, NK cell 등의 내용이 포함된다.지능정보융합학과
나노미터 수준의 화학적 반응과 소재에 대해 심도 있게 알아본다. 본 교과목에서는 화학적인 패턴닝과 리소그래피, 다층 자기조립, 나노접촉 인쇄와 쓰기, 나노선 및 나노튜브, 나노결정체의 합성과 자기조립, 마이크로포러스 및 메조포러스 물질, 블록공중합체의 자기조립 등을 학습 한다. 또한, 여러 가지 중요한 나노물질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과 이들의 다양한 창의적인 기계적, 전기적, 전자적인 장치에서의 응용을 알아본다.체육교육과
스포츠 심리학 분야에서 이루어진 많은 이론적인 틀을 토대로 하여, 경쟁을 수반하지 않는 일반인들의 지속적인 운동 참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하고, 운동강도와 운동참가 기간에 따른 운동의 다양한 심리적인 효과를 탐색한다. 특히 운동이 특성불안, 상태불안, 자신감, 자기개념, 수면 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데에 중점을 둔다.
loading...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 대학원
2025-1학기
권장 선수과목 체육연구설계법(722.601) , 연구윤리의 이해(M2480.000100)
스포츠 심리학 분야에서 이루어진 많은 이론적인 틀을 토대로 하여, 경쟁을 수반하지 않는 일반인들의 지속적인 운동 참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하고, 운동강도와 운동참가 기간에 따른 운동의 다양한 심리적인 효과를 탐색한다. 특히 운동이 특성불안, 상태불안, 자신감, 자기개념, 수면 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데에 중점을 둔다.
Geriatric neuropsychology : assessment and intervention
Geriatric neuropsychology : assessment and intervention
무엇을 위해 살 것인가 스탠포드대 인생특강·목적으로 가는 길 /
무엇을 위해 살 것인가 스탠포드대 인생특강·목적으로 가는 길 /Cognition and instruction
Cognition and instruction
모성의 본능: 사랑과 보호의 심리
모성의 본능: 사랑과 보호의 심리
두려움이 나를 망친다 : 관계에 대한, 버림받는 것에 대한,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나를 망친다 : 관계에 대한, 버림받는 것에 대한,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실패에 대한…
(상담·심리치료에서의) 가치명료화 : 개인 및 집단 상담을 위한 실제 전략
(상담·심리치료에서의) 가치명료화 : 개인 및 집단 상담을 위한 실제 전략
우리는 왜 잊어야 할까 : '기억'보다 중요한 '망각'의 재발견
우리는 왜 잊어야 할까 : '기억'보다 중요한 '망각'의 재발견아동발달론 =
아동발달론 =
Stress in college athletics : causes, consequences, coping
Stress in college athletics : causes, consequences, coping
Loneliness : human nature and the need for social connection
Loneliness : human nature and the need for social connection
갈등을 잘 다루니 인간관계가 쉬워졌습니다 : 갈등에 서툴고 막막한 사람들을 위한 책
갈등을 잘 다루니 인간관계가 쉬워졌습니다 : 갈등에 서툴고 막막한 사람들을 위한 책
Neuropsychology
Neuropsychology
Exploring language aggression against women
Exploring language aggression against women
Do horses gallop in their sleep? : consciousness, evolution, and the problem of animal minds
Do horses gallop in their sleep? : consciousness, evolution, and the problem of animal minds
Man & his fellowmen : modern chapters on social psychology
Man & his fellowmen : modern chapters on social psychology
Phenomenological psychology : lectures, summer semester, 1925
Phenomenological psychology : lectures, summer semester, 1925
Death, anxiety, and religious belief : an existential psychology of religion
Death, anxiety, and religious belief : an existential psychology of religion
Educational psychology : a developmental approach
Educational psychology : a developmental approach
What's wrong with mindfulness (and what isn't) : Zen perspectives
What's wrong with mindfulness (and what isn't) : Zen perspectives
스포츠 심리학 =
스포츠 심리학 =
The sport psych handbook
The sport psych handbook
Social psychology in sport
Social psychology in sport
Essential readings in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Essential readings in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Sport psychology
Sport psychology
(운동행동과)스포츠 심리학
(운동행동과)스포츠 심리학
Fundamentals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Fundamentals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Sport psychology
Sport psychology
Sport psychology : from theory to practice
Sport psychology : from theory to practicePolicy Insights from the Behavioral and Brain Sciences
Seehagen S.Computers in Human Behavior
Schokkenbroek J.M.,Hardyns W.,Ponnet K.PANORAMA
Alonso Montoya-Restrepo, Ivan; Patricia Rojas-Berrio, Sandra; Alexandra Montoya-Restrepo, LuzNeurology
Tondo G.,Boccalini C.,Vanoli E.G.,Presotto L.,Muscio C.,Ciullo V.,Banaj N.,Piras F.,Filippini G.,Tiraboschi P.,Tagliavini F.,Frisoni G.B.,Cappa S.F.,Spalletta G.,Perani D.International Journal of Law and Psychiatry
Baysal D.,Senturk Cankorur V.Current opinion in psychology
Laura Knox; Gery C. Karantzas; Daniel Romano; Judith A. Feeney; Jeffry A. SimpsonInnovation
Etienne St-Jean; Rahma ChouchaneGerontology and Geriatric Medicine
Boshnjaku, Arben; Krasniqi, ErmiraBJPsych Open
Michael Shaw; Alana Durrant; Leia Penfold; Opeyemi Okediran; Hideaki Tokuma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David D.,Dobrean A.,Păsărelu C.R.,Iftene F.,Lupu V.,Predescu E.,Döpfner M.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Luo X; Shen Y; Sun L; Qi X; Hong J; Wang Y; Che X; Lei YTransportation Research Part F: Traffic Psychology and Behaviour
Zhang M.,Ihme K.,Drewitz U.한국사회복지학
최미경MARRIAGE AND FAMILY REVIEW
Lebert-Charron, Astrid; Wendland, Jaqueline; Vivier-Prioul, Stephania; Boujut, Emilie; Dorard, GeraldineEpilepsia
Elliott N.,Pembroke S.,Quirke M.,Pender N.,Higgins A.Accounting and Finance
Gerrans P.,Asher A.,Earl J.K.BJPsych International
Mitika Kanabar; Preethy Kathiresan; Hussien Elkholy; Arash Khojasteh Zonoozi; Laura Orsolini; Jiang Long; Mehdi Farokhnia; Roshan Bhad; Jenna L. Butner; Francina Fonseca; Vicky Phan; Sophia Achab; Marc N. PotenzaJournal of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Studies
Zumaeta J.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and Educational Innovation
Wiesława PACHOLEC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Casale S.,Fioravanti G.,Rugai L.,Flett G.L.,Hewitt P.L.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학사
가족치료의 기초이론을 바탕으로 가족진단 및 가족문제에 대한 개입 방법을 파악하고 가족문제의 유형별로 role play의 실현과 전화상담기관에서의 현장실습을 통하여 이론적, 실천적 태도를 통합시킨 가족치료자로서의 자질을 함양시킨다.전선 / 학사
약물중독 (예: 술, 담배, 대마초), 행동중독 (예: 도박중독) 등으로 잘 알려진 중독 장애 (addictive disorders)는 큰 사회적 문제이고 엄청난 사회경제적 손실비용을 초래하고 있다. 이 강의를 통해 학생들은 (1) 약물중독 및 행동중독과 관련된 인지생물학적인 기제 및 취약성에 대한 이해를 증진할 수 있고, (2) 중독이 뇌와 행동에 미치는 다양한 영향을 살펴보고, (3) 뇌영상 기법을 포함한 인지신경학적인 접근법들이 어떻게 중독의 평가와 치료를 발전시키는데 쓰일 수 있는지 배울 수 있다.전필 / 학사
학생들에게 심리학 실험 나아가서 심리학 연구에 대한 이해력을 높이고 심리학 연구 특히 실험적 연구의 역량을 증진시키는 데 있다. 따라서 이 교과목에서는 첫째로 과학적 과정에 포함된 활동을 학생들에게 인식시키며, 둘째로 심리학에서 이용되는 연구설계를 소개하며, 셋째로 연구과정에 포함된 활동을 이해시키고자 한다. 또한 심리학 각 하위 영역의 대표적이고 전형적인 실험 연구의 내용을 소개하여 실제 연구에 대한 학생들의 친숙성을 제고하고자 한다.교양 / 학사
기계문명의 급속한 발달로 인해 운동부족이라는 심각한 국면에 처해 있는 현대사회에서 건강을 유지하고 보람찬 삶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내용이 개괄적으로 교수된다. 예를 들면 건강을 해치는 주요 원인인 운동부족, 불규칙적인 식습관, 과중한 스트레스 등이 삶에 미치는 영향을 생각해보고 바람직한 생활태도 및 효율적인 운동방법 등을 논의한다. 강의의 주요내용으로는 건강의 개념, 건강증진방안, 운동의방법, 정서불안의 극복방법, 운동의효과, 성인병의 예방등이 포함된다.전선 / 학사
인간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이 인간의 심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심리학적인 이해를 기반으로 파악한다. 심리학의 기본적인 이론과 연구방법에 대하여 배우고 그것을 토대로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에 대하여 접근한다. 특히 소음, 고층, 고밀도와 같은 도시의 주거환경이 인간의 심리에 미치는 영향을 실제적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배우고 자연 환경의 회복적 효과에 대한 심리학적 이론을 배운다. 강의를 토대로 학생들이 현재 우리 도시의 환경 속에 인간의 건강한 심리를 위한 실제 환경의 개선 방안을 모색할 수 있도록 한다.전선 / 대학원
우리 뇌의 학습과 기억 시스템을 통해 우리는 새로운 정보를 학습하고 저장하며 후에 저장된 정보를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교과목에서는 이러한 학습과 기억에 대한 인지 심리학적 측면과 신경과학적 측면을 고찰하고 최신 연구결과에 대해 논의함으로써 뇌의 학습과 기억 시스템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연구에 응용할 수 있는 지식 기반을 제시하고자 한다.전선 / 대학원
놀이가 아동의 사고방식과 행동양식을 형성해 주는 기제임을 익힌다. 놀이 유형별 발달과정, 놀이와 아동발달의 관계를 학습하고 놀이지도에 관한 지식을 습득하고 실습한다.교직 / 학사
이 강좌의 목적은 예비교사들이 최근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학교폭력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사전예방하기 위한 조치 및 사후 학교폭력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규정과 절차를 이해하는 데 있다. 인성교육, 학생생활문화, 학생정서행동발달, 학생생활지도 등 아동·청소년 발달과 관련된 중요한 이슈 또한 다룰 예정이다. 이를 위해 이 강좌에서는 학교폭력 및 아동·청소년 발달에 대한 개념적 이해뿐만 아니라, 실제 사례들을 중심으로 학교폭력과 기타 문제들을 예방하고 문제 발생 시 효과적으로 조치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에 대해 알도록 한다. 이 강좌에서는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성범죄를 예방하고 신고하는 절차에 대한 내용도 포함한다.전선 / 학사
이 강의는 학생들에게 실험심리학적 사실들을 실생활에 응용하는 방법을 소개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 강의에서는 실험심리학의 이론과 연구들의 응용에 대하여 학습하고 실험심리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실생활의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논의할 것이다. 이 강의에서 다루어질 주제는 시각, 지각, 인지, 언어심리, 문제해결과 의사결정 영역에서 연구된 실험 및 인지심리학의 이론과 응용에 관련된 내용들이다.교양 / 학사
이 강의는 21세기의 변화된 문학 환경 아래에서 한국 현대소설이 어떠한 문학적 모색과 실험을 해왔는지를 점검하고 앞으로 어떻게 대응해 나갈 것인가를 전망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이를 위해서 중요 작가들의 문제작들을 중심으로 한국 사회 속에서의 문화적 맥락, 한국 사회에 대한 재현의 전략과 방법 등을 폭넓게 이해하도록 할 것이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한국 소설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가질 수 있게 되며, 새로운 미디어 환경 속에서 서사(Narrative)의 나아갈 방향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확보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전선 / 대학원
새로운 학문분야로 발전한 체육학의 포괄적 이해를 도모한다. 체육학의 학문적 발전과정을 살펴보고, 세부하위학문영역들에 대하여 전반적인 이해를 갖는다. 다양한 체육현상의 공통요소에 대한 본질적 탐색을 바탕으로 체육학의 학문적 특성을 파악한다.전필 / 대학원
본 강좌는 심리학에 대한 기초지식을 습득하게 하고, 심리학의 각 분야에서 개발된 이론들을 토대로 하여 우울, 불안 등의 심리적 문제를 가진 만성 통증 환자를 이해하고 평가하며 치료하는데 필요한 지식을 익히며, 임상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전선 / 대학원
이 과목은 영아기, 유아기, 아동기 및 청소년기 이상발달의 전반적 개요를 살펴보고 각종 발달장애의 원인, 특성, 진단, 처치 및 예방에 관한 최근 연구 동향 파악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아동·청소년 정신병리의 발달적 접근에 대한 주요 이론을 살펴보고, 전형적인 발달과정 동안 나타나는 각종 발달장애의 특성, 병인론, 진단 및 치료와 관련된 연구주제를 다룬다. 그리고 아동·청소년 이상발달의 문제를 다루기 위해 국내외에서 시도된 각종 중재 프로그램의 성과를 평가하고,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중재 방안을 모색한다.전선 / 대학원
인지, 기억, 사회성발달에 관한 발달심리학의 기초 연구들을 개관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실제 현장이나 실생활에서 어떻게 응용될 수 있는지에 관한 연구 논문들을 살펴본다. 그리하여 발달심리학의 기초연구와 응용연구 간의 관계에 관한 심도있는 고찰을 하며, 현장에서 발달심리학을 응용할 수 있는 좀 더 넓은 시야를 기를 수 있게 한다.전선 / 대학원
본 강좌는 정신병리학의 기초가 되는 개념 및 실험 정신병리학 방법론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주요 정신질환의 연구들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정신질환의 신경과학적 연구들에 주안점을 두고 강좌가 진행되어 신경과학적 기초 지식이 요구된다. 강좌는 세개의 Part로 구성되어 있는데 Part 1에서는 정신병리학의 포괄적이고 철학적, 방법론적인 문제들을 다룰 것이며, Part 2에서는 두 개의 대표적인 정신증인 정신 분열병과 양극성 장애를 중심으로 구체적인 실험정신병리학 연구들에 대한 소개와 논의가 있겠다. 마지막Part 3에서는 신경발달학적 질환들인 치매와 아동 정신병리학을 다루고자 한다. 이 강좌를 신청하는 사람들은 학부의 임상신경심리학 혹은 대학원의 고급 임상신경심리학 이수를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