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loading...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 대학원
2025-1학기
권장 선수과목 스포츠조직론 및 거버넌스(722.656) , 스포츠마케팅연구(722.669)
본 강좌의 목표는 스포츠와 관련된 법적 이슈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법적 권리와 스포츠 팬, 에이전트, 코치, 의사, 기자 등의 책임에 대해 익숙해 질 것이며, 스포츠 법의 맥락에서 다양한 이슈들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학생들이 의뢰인의 권리와 책임에 대하여 조언하고 불법행위, 계약, 민사, 헌법, 자산 등과 관련된 법적 문제를 해결할 때, 법을 적용하는데 있어 도움이 될 것이다.
Who makes the law : the Supreme Court, Congress, the states, and society
Who makes the law : the Supreme Court, Congress, the states, and society
Penal practice and penal policy in Ancient Rome
Penal practice and penal policy in Ancient Rome
Principles of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Principles of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International encyclopaedia of laws
International encyclopaedia of laws
民事執行法ᆞ民事保全法 = Law of civil execution & civil provisional remedies
民事執行法ᆞ民事保全法 = Law of civil execution & civil provisional remedies
Textbook on civil liberties and human rights
Textbook on civil liberties and human rights
Human rights, ownership, and the individual
Human rights, ownership, and the individual
The Ages of American law
The Ages of American law
Sources of law
Sources of law
Political political theory : essays on institutions
Political political theory : essays on institutions
La Constitution
La ConstitutionInternational law opinions : selected and annotated
International law opinions : selected and annotated
權力分立新論
權力分立新論The Optional Protocol to the UN Convention Against Torture
The Optional Protocol to the UN Convention Against Torture
Festschrift für Thomas Fischer
Festschrift für Thomas Fischer
Research handbook on international criminal law
Research handbook on international criminal law
Oil and gas law in a nutshell
Oil and gas law in a nutshellCriminal law : cases and materials
Criminal law : cases and materials
The manual of the law of armed conflict
The manual of the law of armed conflict
An introduction to international law : chiefly as interpreted and applied in Canada
An introduction to international law : chiefly as interpreted and applied in Canada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International Journal of Constitutional Law
Joan Ridao-Martín臺北大學法學論叢 / Taipei University Law Review
金孟華(Mong-Hwa Chin); 蘇怡如(Yi-Ju Su)福建农林大学学报(哲学社会科学版) / Journal of Fujian Agriculture and Forestry University (Philosophy and Social Sciences)
殷爱民; YIN AiminThe English Historical Review
ALLERFELDT, KRISTOFERYale Law Journal
Blackhawk M.政法学刊 /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and Law
董楚琨; DONG Chu-kunJournal of College & University Law
PATRICKUS, KRISTIInternational Journal of Law and Management
Paudel K.P.NORDIC JOURNAL OF HUMAN RIGHTS
Smith, TaraJournal of Indonesian Legal Studies
Andrés Herrera Esquivel; Ahmad Sabirin; Dian Adriawan Dg. Tawang; Maria Silvya E. WanggaHouston Law Review
Addis, AdenoEDINBURGH LAW REVIEW
Scott, Paul F.Estudios Eclesiasticos
Izzi C.Presidential Studies Quarterly
Brown R.L.,Epstein L.New York University Law Review
Kowiak M.Journal of Australian Studies
Alison HollandJCMS: Journal of Cinema and Media Studies
Mafe, Diana AdesolaIEEE Technology and Society Magazine, Technology and Society Magazine, IEEE, IEEE Technol. Soc. Mag.
Michael, K.지방정부연구
김흥주, 황광선Constitutional Political Economy
Boddery S.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대학원
미국의 연방제도와 법체계, 사법제도 및 사법절차 일반에 대한 개요에 이어, 미연방헌법의 주요 내용을 비교법적 관점에서 체계적·심층적으로 연구함. 개별 주요 주제의 예시: 미국의 연방제도, 미국의 법체계, 미국의 사법제도와 사법절차 일반, 입법권, 행정권, 사법권, 기본권보장체계와 사법심사제도, 기본권 일반, 절차적 및 실체적 적법절차, 평등보호, 표현의 자유, 위헌법률심사의 기준전선 / 대학원
이 과목은 투자자와 투자유치국간의 국제투자분쟁을 중요한 최근 국제투자중재사건의 판정례를 중심으로 검토할 예정이다.전선 / 학사
인권의 정치·역사적 배경, 법적·제도적 현황, 그리고 규범적 정당화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전선 / 대학원
이 과목에서는 한국 법학도의 관점에서 보통법 체계와 미국사법제도의 기초적 사항을 연구하고, 영미법계 법제와 판례의 이해 그리고 국내외 법 실무에 요구되는 기본적 영어 법률용어를 숙지하며, 이를 기초로 하여 법률문장에 적용되는 일반원칙 하에서 목적에 부합하고 효율적이며 설득력 있는 영어 법률문장의 작성을 연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1) 효과적이고 설득력 있는 법률문장의 기본적 원칙 및 여러 형식과 용도의 법률문서를 개관한 후, (2) 영미법 형성의 역사적 배경, 법원(法源), 사법제도, 법원(法院)조직, 기본적 소송절차, 법조와 법학교육을 알아보고, (3) 평이한 용어, 간결한 문장, 능동태의 사용법을 연습하고, (4) 정확하고 효율적인 정보의 전달 및 문단 내부와 문단간의 논리적 연결을 주제로 문장론을 연습하며, (5) 특정 내용을 강조하거나 또는 강조하지 않아야 하는 각 경우에 법조윤리의 원칙 하에서 문장론을 통한 효과적 서술법을 연습한다. (8) 목적과 대상에 적합한 어법의 사용과 호소력을 주제로 서술의 방법을 연습하고, (9) 영미법의 법원(法源)과 관련 정보 검색 및 법·판례·학설 등의 인용법에 관해 알아본 후, 판례 읽기, 분석, 요약을 연습한다. (10) 실제의 법률문서로서 letters, 소장 등 pleadings, legal memoranda, appellate brief, court order를 예시와 작성연습을 통해 접해 보도록 한다. 원칙적으로 매주 부과되는 각 주제별 과제와 함께 필기시험인 중간시험과 학기말시험을 통해 수강생의 학업성취도를 평가한다.전선 / 대학원
본 강의는 공법 1(헌법과 정치제도)에서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보다 심화된 차원의 논의를 다루는 과목으로서 권력분립과 정부형태의 일반이론, 의회제도의 쟁점과 과제, 사법제도의 이론과 실제 등을 집중적으로 분석한다. 이를 위해 관련 법령의 현황, 헌법재판소와 대법원 판례, 해외의 논의상황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게 될 것이다.전선 / 대학원
이 세미나는 헌법의 어려 영역 가운데 중요한 주제를 선정하여 그 주제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세미나마다 다양한 주제와 구성이 있을 수 있다.전선 / 대학원
형사실체법과 형사절차법에 관련된 주요한 대법원 및 헌법재판소 판결을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형사법규의 해석 ·적용능력을 고양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강좌이다. 형사법 이론상의 쟁점과 관련하여 내려진 지도적 판결과 학계에서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는 판결에 초점이 두어진다. 담당교수에 따라 형사실체법 판결분석이 수업이 집중될 수도 있으며, 형사절차법 판결분석에 집중될 수도 있다. 이 강좌에서 다루지 못한 판례분석은 '형사판례특수연구 '에서 다루어진다.전선 / 대학원
형법총론상의 주관적 구성요건, 객관적 구성요건, 위법성, 책임, 공법, 미수 등에 관한 범죄론의 주요 쟁점과 형벌과 보안처분에 대한 주요 쟁점에 대하여 이론적 현황과 논쟁점을 심층적으로 검토 ·분석하고, 비판적 안목을 함양한다. 교과서 수준의 이론 검토를 넘어서서 최근 발표된 학술논문을 총괄 검토한다.전선 / 대학원
남북 평화공존과 궁극적 평화통일을 위한 남북한간의 정치, 군사적 신뢰구축, 남북경제교류협력, 국제사회에서의 협력, 군비통제, 문화.예술 교류, 스포츠 교류 관계를 살피고, 현황 및 효율적인 추진방법의 모색과 전망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전선 / 대학원
국제사회에서의 무력충돌로부터 비롯되는 각종 국제법적 현상을 연구하는 과목이다. 세부적으로는 전쟁 자체에 관한 국제법적 규제를 연구하는 전쟁법론, 전쟁에 참여하지 않는 제3국의 법적 지위인 중립론, 전쟁과 관련된 범죄의 성립요건과 처리 방법에 관한 전쟁범죄론으로 구분될 수 있다.전선 / 대학원
법의 그리고 법에 관한 심층 주제. 개설연도에 따라 법의 성격, 법과 정치 및 도덕 사이 관계, 또는 기본권, 세금, 차별, 형벌, 인권 등 세부 법 영역의 문제를 논의한다. 주기적으로 국제법에 중점을 둔다.전선 / 대학원
헌법의 기본원리를 재인식하고 이를 바탕으로 권력현상으로서의 헌법현실과 권력제어수단으로서의 헌법규범의 상관관계를 연구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 권력과정으로서의 정치를 권력의 본질이란 측면에서 논의해 보고 이와 함께 통치의 과정을 분석한다. 다음으로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전제적 정부형태, 입헌적 정부형태 등에 대해 자세한 연구가 진행될 것이며, 이와 함께 기본권의 보장이란 측면에서 기본권의 관계, 자유권과 사회권 등의 논제를 검토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민주정치와 다원주의, 헌법과 정치 등에 대해 연구할 것이다.전선 / 대학원
" 2개 학기에 걸친 국제법 강의의 후반부 강의이다. 1학기 강의에 이어서 역시 국제사회를 규율하는 기본적인 법질서에 대한 기본지식을 전달함을 강의의 목표로 한다. 주로 다루는 주제는 국제형사법, 국가영역의 취득, 해양법, 외교관계법, 국제기구법, 국제환경법, 국제분쟁의 해결제도, 국제사회에서의 무력사용 등이다. 다만 강의자에 따라 약간의 변동은 있을 수 있다. "전선 / 대학원
국가간의 외교사절제도에 관한 내용을 중심으로 연구하는 과목이다. 외교사절제도의 역사, 외교사절의 파견, 특권과 면제 등을 학습한다. 아울러 영사제도와 국제기구에 파견되는 외교사절과 관련된 법적 문제도 학습한다.교양 / 학사
한국의 사법제도와 헌법, 민법, 형법의 전반적이고 핵심적인 내용을 한 학기에 걸쳐 3인의 법과대학 교수가 강의함. 수강자의 전공을 제한하거나 선수과목을 설정하지 않으며, 학부과정에서 법을 처음으로 접하는 학생의 입장을 전제로 하여, 한국의 사법제도와 헌법, 민법, 형법 각 영역의 핵심적 개념과 법제, 판례 및 현안을 소개하고 논의하는 교양과목임. 강의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 내용 및 진도는 첨부한 강의계획서와 같으며, (가) 한국의 사법제도 개관에 이어, (나) 헌법의 영역에서 한국헌법사, 권력분립 및 헌법기관, 기본권과 헌법재판을, (다) 민법의 영역에서 계약법과 불법행위법을 중심으로 한 한국 민법의 특징적 요소들과 한국 민사소송절차 개관을, 그리고 (라) 형법의 영역에서 한국 형법의 기본원칙 및 주요쟁점, 그리고 한국 형사소송의 구조와 향후 변화를 중심 주제로 하여 강의를 진행함.전선 / 대학원
국제사회에서 국가의 위법행위와 관련된 각종 법 현상을 연구한다, 국제책임제도의 일반원칙, 위법행위의 개념, 발생태양, 대응조치, 국가책임의 해제방법 등이 주 연구대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