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작곡과
작곡에 있어서 본질적인 측면, 즉 주어진 음들과 그 음들 사이의 관계의 취급에 관한 문제가 주로 다루어진다. 참가자들은 대위법 연습에서 제시하는 체계적인 훈련 과정을 거친다. 그런 과정을 거침으로써 중세에서 16세기에 이르는 다성 음악의 분석을 통해 작곡의 기본적인 기술을 습득하게 된다. 다만 연습은 2성부 텍스처에 국한한다.
loading...
약학대학 / 대학원
권장 선수과목 천연물생리활성방법론(821.734) , 응용시스템약물학(M1483.000500)
인체에 관한 생화학, 생리학, 해부학적 지식과 일반 약리학 과목을 습득한 학생들이 택하는 과목이다. 천연약물의 약효 성분의 약리와 독성에 관한 각론적 강의를 진행한다. 천연약물 중에서 특히 전통약물의 약리, 독성 및 상호작용에 중점을 둔다. 대체보완의학(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의 특성과 전통의약의 상관성을 탐구하며 전통의약으로부터 천연약물개발 및 기능성 유용천연물 개발에 필요한 지식을 습득하도록 한다.
Methods in pharmacology, v.1
Methods in pharmacology, v.1
Clark's applied pharmacology
Clark's applied pharmacologyMedical pharmacology; principles and concepts
Medical pharmacology; principles and conceptsBiopharmaceutics and clinical pharmacokinetics : an introduction
Biopharmaceutics and clinical pharmacokinetics : an introduction
Elsevier's integrated review pharmacology
Elsevier's integrated review pharmacology
Modern pharmacology
Modern pharmacology
Neuropharmacology of polyamines
Neuropharmacology of polyamines
Pharmacology : an illustrated review
Pharmacology : an illustrated reviewDrug Carriers in Biology and Medicine
Drug Carriers in Biology and Medicine
임상 약리학 : 약물치료 중심으로
임상 약리학 : 약물치료 중심으로
Approved drug products with therapeutic equivalence evaluations
Approved drug products with therapeutic equivalence evaluations
(리핀코트의 그림으로 보는)약리학
(리핀코트의 그림으로 보는)약리학Drug discovery handbook
Drug discovery handbookPharmacology
PharmacologyPharmacologic analysis of drug-receptor interaction
Pharmacologic analysis of drug-receptor interactionMolecular aspects of anti-cancer drug action
Molecular aspects of anti-cancer drug actionHandbook of anticancer pharmacokinetics and pharmacodynamics
Handbook of anticancer pharmacokinetics and pharmacodynamics
Pharmacokinetics
Pharmacokinetics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Biomedicine and Pharmacotherapy
Florentino I.F.,Silva D.P.B.,Cardoso C.S.,Menegatti R.,de Carvalho F.S.,Lião L.M.,Pinto P.M.,Peigneur S.,Costa E.A.,Tytgat J.Journal of Pharmaceutical and Biomedical Analysis
Serrano-Román J.,Nicasio-Torres P.,Hernández-Pérez E.,Jiménez-Ferrer E.Journal of Pharmacy and Pharmacology
Zhang H.,Huang H.,Song H.,Chin B.,Zheng H.,Ruan J.,Wu F.,Cheng B.,Wu J.,Liu X.,Liang Y.,Song F.,Chen Z.,Tang C.,Lu S.,Guo H.,Zou Z.,Su Z.Materials and Design
Chen Y.B.,Qiao T.,Wang Y.Q.,Cui Y.L.,Wang Q.S.Journal of Drug Delivery Science and Technology
Ibrahim T.M.European 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Franchini S.,Sorbi C.,Linciano P.,Carnevale G.,Tait A.,Ronsisvalle S.,Buccioni M.,Del Bello F.,Cilia A.,Pirona L.,Denora N.,Iacobazzi R.M.,Brasili L.Journal of Controlled Release
Berg S.,Uggla T.,Antonsson M.,Nunes S.F.,Englund M.,Rosengren L.,Fahraj M.,Wu X.,Govender R.,Söderberg M.,Janzén D.,Van Zuydam N.,Hugerth A.,Larsson A.,Abrahmsén-Alami S.,Abrahamsson B.,Davies N.,Bergström C.A.S.Toxicology and Applied Pharmacology
Canfield J.R.,Kisor D.F.,Sprague J.E.Molecular Pharmaceutics
Heikkinen E.M.,Ruponen M.,Jasper L.M.,Leppänen J.,Hellinen L.,Urtti A.,Urtti A.,Urtti A.,Auriola S.,Rautio J.,Vellonen K.S.Advanced Therapeutics
Uhl P.,Bajraktari-Sylejmani G.,Witzigmann D.,Bay C.,Zimmermann S.,Burhenne J.,Weiss J.,Haefeli W.E.,Sauter M.Aquaculture
Kverme K.O.,Haugland G.T.,Hannisdal R.,Kallekleiv M.,Colquhoun D.J.,Lunestad B.T.,Wergeland H.I.,Samuelsen O.B.대한신경외과학회지
Jun Seok Koh, Gook Ki Kim, Young Jin Lim, Bong Arm Rhee, Tae Sung KimDrug Delivery
Zhang A.,Li J.,Wang S.,Xu Y.,Li Q.,Wu Z.,Wang C.,Meng H.,Zhang J.Molecular Pharmaceutics
Iikuni S.,Okada Y.,Shimizu Y.,Watanabe H.,Ono M.CURRENT ISSUES IN MOLECULAR BIOLOGY
Ribeiro, Eduarda; Vale, NunoHeliyon
Chung-Kai Sun; Wan-Hsin Lee; Muh-Hwa Yang; Tung-Hu TsaiCell Death and Disease
Fan Y.,Zhang Y.,Shi K.,Cheng S.,Pei D.,Shu X.International Journal of Nanomedicine
Lin Y.,Wang Y.,Lv J.,Wang N.,Wang J.,Li M.Current drug delivery
Vittala Murthy NT; Paul SK; Chauhan H; Singh SJOURNAL OF CLINICAL PHARMACOLOGY
An, Guohua; Lee, Kin Sing Stephen; Yang, Jun; Hammock, Bruce D.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대학원
임상약리학 세부주제 대한 최신지견을 공유하고 토론함으로써, 환자 맞춤약물요법 및 임상약물연구 설계에 필요한 지식을 습득한다.전선 / 대학원
새로이 개발되는 신의약, 의료기기, 세포치료제, 조직공학재료, 바이오장기 등에 대한 효능과 안전성 평가에 대한 기술과 지식이 절실히 필요한 때다. 이에 “신약개발을 위한 독성실험방법론”이라는 강좌를 신설하고자 하며 다음과 같은 강좌로 구성하고자 한다. - 급성, 아급성, 만성 독성 - 피부자극 및 감작성 - 안자극 독성 - 흡입 독성 - 신경 독성 - 면역 독성 - 신장 독성 - 생식 / 발생 독성 - 내분비 독성 - 유전독성 / 발암성 - 동물 조직병리 / 임상병리 - 독물동력학 - 위해도 평가전필 / 학사
본 강좌는 질환별 약물을 약리작용단/생체활성구조와 구조-활성관계를 통해 약물화학적 측면에서 학습하고, 약물의 효능, 부작용 및 약물동태학의 작용기전을 분자 수준에서 이해하여 약물학, 임상약학과 다른 의약화학적 측면에서 약물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학습함.전선 / 대학원
의약품 작용 기전을 수용체, 효소, DNA 등의 분자 수준에서 설명하고, 약물의 화학구조와 약리활성간의 상관성을 이해하기 위해 약리작용단, 생동등체, 정량구조활성관계, 분자모델링 등의 이론을 강의한다. 강의내용은 신약개발 방법 및 과정, 수용체 작용 약물, 효소저해제 기전 약물, DNA 작용 약물, 약물대사, 전구약물 및 약물전달시스템을 포함한다전필 / 학사
본 강좌는 기초 약학지식을 응용하여, 약물 투여 후 약물의 생체내에서의 동태 및 약물 반응 및 독성에 미치는 여러 요인들에 대한 핵심내용을 학습함. 또한 약물이 갖는 약효 및 안전성을 최적화할 수 있는 투여방법이나 투여형태의 핵심내용을 학습함.전선 / 학사
본 교과목은 약학지식을 응용하여, 신약후보물질의 탐색(Discovery)과 규제기관의 기준에 부합하는 신약의 개발(Development)에 관한 원리를 포괄적으로 학습하는 과목이다. 또한 안전성 및 유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의약품의 새로운 투여방법이나 투여형태의 개발에 관하여 학습한다.전선 / 학사
본 과목은 약물 디자인과 작용기전을 유기화학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수업한다. 과목내용은 신약개발과정, 수용체 및 리간드, 효소 및 저해제, DNA 및 작용약물, 약물대사, 전구약물 과정을 포함한다.전선 / 학사
약사법에 규정된 약사가 다루는 생약 및 생약제제를 포함한 생약의 개별적인 특성 및 응용을 배운다. 개별 생약의 화학성분, 약효 및 응용에 대한 내용을 학습한다. 의약품개발에 필요한 개별 생약의 특성을 학습한다.전선 / 학사
본 교과목은 약학지식을 응용하여, 신약후보물질의 탐색(Discovery)과 규제기관의 기준에 부합하는 신약의 개발(Development)에 관한 원리를 포괄적으로 학습하는 과목이다. 또한 안전성 및 유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의약품의 새로운 투여방법이나 투여형태의 개발에 관하여 학습한다.전선 / 대학원
임상약물계량학이란 약물의 약동/약력 현상을 수학적으로 정량하는 기법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기존에는 약물의 효과나 부작용을 예측하기 위해 약물 혈중농도에 기반한 약동학 연구를 하였다. 그러나 약물 혈중농도와 실제 효과 및 부작용 간의 상관관계가 부족하다는 지론이 확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약동뿐만 아니라 약력 현상까지를 통합적으로 고찰하여 더욱 정확한 결과를 산출할 수 있는 약물계량학이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약물계량학은 집단약동학은 물론 약동/약력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을 포함하는, 그 범위 및 활용도가 매우 높은 학문이다. 본 임상약물계량학 교과과정은 강의와 토론을 통해 이러한 약물계량학의 기본 개념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를 돕고 실습을 통해 그 활용 능력을 계발하고자 한다. 또한 학생들이 약물계량학을 통해 "맞춤약물치료"를 위한 최적 용량ㆍ용법개발 연구 결과를 도출하는 데에 그 궁극적 목표를 둔다전필 / 학사
본 과목에서는 생체에 투여된 약물의 작용 원리를 배운다. 약물과 수용체간의 상호작용(약력학), 약물의 체내동태(약동학)를 비롯하여 자율신경계 작용 약물의 약리작용, 동물 종 간의 약물작용의 차이점에 대하여 학습한다. 교과서: Veterinary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Riviere, Papich, 10th ed., 2001).전선 / 학사
약물의 흡수,분포,대사,배설을 약동학적으로 살펴보며 또한 약의 거동을 수학적으로 풀이함으로서 약의 물리적 이해를 넓힌다. 제제의 설계를 통해 흡수, 분포 등 약의 거동을 조절하므로서 인체의 필요한 부위에 재현성있게 정량적으로 송달하여 약물의 유효성, 안정성, 편리성을 확보하고자 한다.전선 / 대학원
재생치료를 포함한 전반적인 질환 치료에 적용되는 약물의 효과를 제고할 수 있는 최신 약물전달시스템에 대해서 강의하고 다양한 의약품, 예컨대 항체, 단백질, 유전자 (mRNA치료제 등)의 표적지향, 국소체류성 증대, 체내 반감기 증대, 프로드럭화 등 다양한 목적에 활용될 수 있는 나노바이오 기술 기반 나노의약소재를 포함한 치료용 의약품, 소재재에 대해서 학습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