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환경설계학과
전지구적 생물다양성 위기에 따라 생물다양성 보전의 중요성이 지역적 차원에서도 날로 커지고 있다. 따라서 신규 개발사업은 물론 기존의 환경관리과정에서도 어떻게 그 지역의 생물다양성을 평가할 수 있으며 어떠한 보전·복원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지가 매우 중요하다. 이 과정에서는 보전 대상인 복잡한 생태계를 생물서식지(habitat)의 개념으로 명료하게 치환하여 접근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서식지의 질과 공간특성, 관리계획에 대한 분석적 사고가 요구된다. 본 수업에서는 서식지 생태영향평가 방법론(HEP; Habitat Evaluation Procedure)을 활용하여 대상지의 생물다양성 보전계획을 정량적, 과학적 논거에 기초하여 스스로 생각해보고, 이를 어떻게 합리적으로 설득시킬 수 있을지를 토론하게 된다.체육교육과
본 강의는 한국 스포츠미디어의 역할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수업에서는 먼저 스포츠미디어에 대한 개괄적인 이해를 통해 주요 개념 및 주제들을 살펴보게 될 것이다. 또한 스포츠미디어에서 인종·성별·국가주의· 자본주의/소비자상주의·폭력·스포츠산업 등 다양한 스포츠상황과 관련된 주제들에 대한 이론적 고찰 및 현장적용에 대한 실천적 지식을 습득한다. 스포츠미디어와 한국 스포츠 환경과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통해 학생들은 스포츠의 생성, 역할과 관계 등 스포츠미디어의 일반적인 역할 및 윤리적인 태도에 대한 비판적 접근과 역사적 고찰을 동시에 경험할 수 있으며, 스포츠현장에서의 말하기 및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생명과학부
생명체를 물리학적인 개념에서 해석하고자 하는 시도를 소개한다. 분자수준의 분자생물물리학, 세포수준의 세포생물물리학, 그리고 그 이상의 수준을 다루는 복합계 생물물리학으로 나누어 그 개념들을 소개한다.재료공학부
막대한 자원 및 에너지를 소비하면서 운영되고 있는 현대 문명의 지속 가능성이 위협을 받고 있다. 그렇지만 이를 막거나 멈추기 위해서 무조건적인 사용 억제 정책을 수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러한 문제의 합리적인 해결책을 얻기 위해서, 이 강의에서는 지속 가능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올바른 재료의 선택, 재료의 제조 그리고 재료의 재활용 등 재료의 생애주기를 따라가면서 어떻게 하면 최소의 자원과 에너지 소비 속에서 우리의 문명을 지속시킬 수 있는가 하는 방안을 찾아보고자 한다.보건학과
보건통계학의 기본적인 이론을 이해하고 실습을 통하여서 자료를 수집, 처리, 분석 및 평가하는데 필요한 통계기법을 습득하게 한다. 본 교과목의 내용은 주로 일반통계부문에서 평균치와 산포도, 정규분포 및 그외 여러가지 성질, 카이자승분포, 포아슨분포, F분포와 그의 검정법, 추정법, 분산분석, 상관 및 회귀분석법을 포함한다.에너지자원공학과
다공질 지층 내에 존재하는 유체, 즉 석유, 가스, 그리고 지하수의 개발 및 활용과 관련된 공학적 이론을 다룬다. 구체적으로 다공질 암석의 물리적 성질과 암석내에서 지하유체분포 제어기능, 지하유체의 물리적 특성 및 상거동 등을 학습하며 이와 관련된 실험이 수행된다.수리과학부
생명과학을 전공할 학생을 위한 기초수학 강좌로서 전염병 전염모델의 연립 미분방정식과 축차근사법을 이용한 해 등 자연현상에 나타나는 다양한 생명과학 관련 현상들을 기술하는 미분방정식과 그 해법을 소개한다. 수학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한다.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재료역학은 자연 또는 인공 구조물의 역학적인 거동특성을 취급하는 공학의 한 분야이다. 이 과목에서는 응력과 변형도, 변형과 변위, 탄성과 비탄성, 변형에너지, 하중지지능력 등의 기본개념을 소개한다. 이러한 개념들은 다양한 역학 및 구조 시스템의 해석과 설계에 요구되는 전문지식 형성의 기초가 될 것이다. 또한, 실제 역학문제를 다루는 실험시간을 통하여 개념적인 강의내용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국악과
한국음악학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음악의 개념, 갈래, 악곡, 악기, 나아가 한국음악 문화를 소개하는 과목이다. 음악의 갈래를 궁중음악, 풍류계 음악, 민속음악, 창작국악으로 나누고 개별 갈래의 음악 청취와 분석을 통해 이해를 깊게 한다. 전통음악을 주로 소개하며, 창작음악의 경우 전통음악을 의식적으로 수용한 작품을 소개한다. 1, 2학기 연강이다.
loading...
환경대학원 환경설계학과 / 대학원
2025-1학기
권장 선수과목 미시경제이론(212.201) , 한국어와 한국문화 1(990.804)
환경대학원의 환경계획학과와 환경조경학과에서 다루고 있는 여러 분야의 응용학문에 대한 전반적인 소개를 목표로 한다.
Communicative tools in sustainable urban planning and building
Communicative tools in sustainable urban planning and building
Innovative urban community development and disaster management :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Series on Innovative Urban Community Development and Disaster Management, Kyoto, 26 Sept. 1995, Osaka, 27-28 Sept. 1995, Kobe, 30 Sept. 1995
Innovative urban community development and disaster management :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Series on Innovative Urban Community Development and Disaster Management, Kyoto, 26 Sept. 1995, Osaka, 27-28 Sept. 1995, Kobe, 30 Sept. 1995
Housing and urban development planning in Mexico : a bibliography
Housing and urban development planning in Mexico : a bibliography
Food and the new agricultural technology.
Food and the new agricultural technology.
街路の意味
街路の意味
Energy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Asia and the pacific region : challenges and lessons from UNDP projects
Energy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Asia and the pacific region : challenges and lessons from UNDP projects
The biological farmer : a complete guide to the sustainable & profitable biological system of farming
The biological farmer : a complete guide to the sustainable & profitable biological system of farming
Cities at risk : planning for and recovering from natural disasters
Cities at risk : planning for and recovering from natural disasters
Forest policy for private forestry : global and regional challenges
Forest policy for private forestry : global and regional challenges
Land and water for recreation : opportunities, problems, and policies
Land and water for recreation : opportunities, problems, and policies
路地からのまちづくり
路地からのまちづくり
Forest and nature governance : a practice based approach
Forest and nature governance : a practice based approach
Environmental planning : the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of biophysical resources
Environmental planning : the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of biophysical resources
Topics and Methods for Urban and Landscape Design : From the river to the project
Topics and Methods for Urban and Landscape Design : From the river to the project
Wildlife and protected area management : A Compendium of FAO implemented projects and related bibliography 1975-1996
Wildlife and protected area management : A Compendium of FAO implemented projects and related bibliography 1975-1996
Beekeeping and sustainable livelihoods
Beekeeping and sustainable livelihoods
Children and their urban environment : changing worlds
Children and their urban environment : changing worldsStadt Raum Zeit : Stadtentwicklung zwischen Kontinuität und Wandel
Stadt Raum Zeit : Stadtentwicklung zwischen Kontinuität und Wandel
Methods for allocating resources in applied agricultural research in Latin America : CIATADC workshop, Cali, Colombia, November 26-29, 1974
Methods for allocating resources in applied agricultural research in Latin America : CIATADC workshop, Cali, Colombia, November 26-29, 1974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FRONTIERS IN MARINE SCIENCE
van Elden, Sean; Meeuwig, Jessica J.; Hobbs, Richard J.; Hemmi, Jan M.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Randin C.F.,Ashcroft M.B.,Bolliger J.,Cavender-Bares J.,Coops N.C.,Dullinger S.,Dirnböck T.,Eckert S.,Ellis E.,Fernández N.,Giuliani G.,Guisan A.,Jetz W.,Joost S.,Karger D.,Lembrechts J.,Lenoir J.,Luoto M.,Morin X.,Price B.,Rocchini D.,Schaepman M.,Schmid B.,Verburg P.,Wilson A.,Woodcock P.,Yoccoz N.,Payne D.Global Environmental Change
Mabon L.,Shih W.Y.Land Use Policy
Hein W.,Wilson C.,Lee B.,Rajapaksa D.,de Moel H.,Athukorala W.,Managi S.Neotropical Entomology
Duffus, NE; Echeverri, A; Dempewolf, L; Noriega, JA; Furumo, PR; Morimoto, JECO-ENVIRONMENT & HEALTH
Zhao, Qi; Yu, Pei; Mahendran, Rahini; Huang, Wenzhong; Gao, Yuan; Yang, Zhengyu; Ye, Tingting; Wen, Bo; Wu, Yao; Li, Shanshan; Guo, YumingEcosystem Services
Karimi A.,Yazdandad H.,Fagerholm N.IOP Conference Series: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
Francesca Vanelli; Monica Lavagna; Paul MinifieConservation Biology
Carroll C.,Noss R.F.,Dreiss L.M.,Hamilton H.,Stein B.A.Geography and Sustainability
Fu B.,Liu Y.,Li Y.,Wang C.,Li C.,Jiang W.,Hua T.,Zhao W.Frontiers in Marine Science
Costa C.,Fanelli E.,Marini S.,Danovaro R.,Aguzzi J.城市发展研究 / Urban Development Studies
郑善文; 张芯蕾; 杨圣洁; 李海龙; 崔丽娜; ZHENG Shanwen; ZAHNG Xinlei; YANG Shengjie; LI Hailong; CUI li'naBiological Conservation
Gooden J.,Moir F.C.Crisisonomy
김경남, 권건주International Journal of Wildland Fire
Souza M.E.B.,Pacheco A.P.,Teixeira J.G.Cities
Hernantes J.,Maraña P.,Gimenez R.,Sarriegi J.M.,Labaka L.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Hickman R.,Garcia M.M.,Arnd M.,Peixoto L.F.G.인문사회 21
Zhenhua PiaoLand Use Policy
Ullah A.,Zeb A.,Saqib S.E.,Kächele H.Habitat International
Ramyar R.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대학원
이 교과목은 산림생태계 경영을 위한 개념, 원리 및 주요 이슈들을 폭넓게 다루기 위해 ‘산림생태계경영학특론’과 ‘산림생태계평가및계획론’의 2개의 부제로 구분하여 진행된다. 제1부인 '산림생태계 경영학특론(Issues of Forest Ecosystem Management)‘에서는 주로 산림생태계 경영의 개념과 국내외에서의 산림생태계 관련 사례문제들을 중심으로 문제의 성격, 규모, 사회적 issue 등에 따른 접근방식을 다룬다. 제2부인 ‘산림생태계 평가 및 계획론(Forest Ecosystem Evaluation and Planning)‘에서는 산림생태계의 감시, 평가 및 예측에 요구되는 다양한 원리 및 적용기법들과 경영계획기법들을 다룬다.전선 / 학사
국토, 도시 및 지역 등 인간 정주환경의 구조와 상호작용 및 변화에 관한 이론과 분석방법을 탐구하고, 조경 실무에서 알아야하는 지속가능성을 추구하는 도시 및 지역계획, 도시설계, 주거/관광/산업단지 계획, 조성 기법 등을 학습한다.전선 / 대학원
본 교과목은 국제환경협약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도모하고 국제환경협약이 산림개발협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집중적으로 학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후변화 완화 및 적응, 생물다양성 보존, 사막화방지, 야생동식물 멸종위기종 국제거래 등 주요 환경 협약의 특징 및 역사를 파악하고, 국제환경협약이 산림개발협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수강생들은 팀활동을 통해 국제환경협약의 구조와 산림개발협력사업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도전적이고 혁신적인 전략을 구상한다.전선 / 대학원
본 과목의 목적은 지역이 직면한 고령화, 과소화 등의 문제를 이해하고 계획·설계가적 관점에서 마을 공간과 공동체에 대한 바람직한 개선안을 제시하는 능력을 기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수업에서는 마을 및 지역 공동체가 당면한 과제를 심도 있게 파악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접근 방법 및 이론을 학습한다. 특히 재생사업의 계획과 시행 과정의 사례를 통해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지식을 전달한다. 공간적 범위는 시군, 중심지(읍, 면, 원도심)이고 내용적 범위는 물리적,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재생을 다루며 계획·설계적 대안을 제시하는 것으로 한다. 지역사회가 요구하는 바람직한 재생방향에 대한 활발한 토론을 기대한다.전선 / 대학원
20세기 후반 이후에 우리는 자연적인 재난 외에도 과학기술이 낳는 재난을 점점 더 자주 경험하고 있다. 재난 수준의 원자력 발전소의 사고, 화학물질 사고, 비행기나 선박 사고, 지하철 사고, 정전 사고, 통신망 오작동, 미세먼지 등이 이런 사례들이다. 태풍, 폭우, 가뭄 등 주로 자연적인 재난만을 다루어 왔던 기존의 재난 연구는 이런 새로운 재난에 관심을 덜 기울였다. 본 수업은 과학기술과 사회의 관계를 분석하는 과학기술학의 방법론을 사용해서 과학기술이 낳은 재난을 이해하고, 이를 극복하는 방안을 탐구해 볼 것이다.전선 / 대학원
본 도시환경론은 도시화와 환경과의 관계를 정립하고 도시의 지형, 지질학적 특성이 어떻게 도시환경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한다. 동시에 도시의 건축환경의 변화에 따라 도시기후의 변화를 살피고, 도시 대기오염, 수질오염, 토양오염, 소음공해, 쓰레기 문제, 자연재해를 다룬다. 그밖에 도시의 식생분포와 변화를 실증적으로 조사 연구하도록 하며, 도시생활에 요구되는 기본적인 도시환경의 조건을 다루고 이를 실습한다.전선 / 학사
이 과목은 산림을 구성하는 요소를 그 규모에 따라 임목, 임분 및 산림으로 구분하여 각 규모에 적합한 inventory 조사의 개념과 적용 방법을 공부한다. 이를 위해 기초 산림통계 분석기법 및 임분측정기법의 이론적 배경을 공부하고, 실습을 통해 실무적 능력을 배양한다. 아울러 SFM 구현을 위한 산림평가의 개념과 산림의 탄소흡수 등 현재 사회가 필요로 하는 자원의 평가 방식을 적용하기 위한 새로운 ICT 기반 측정 기술과 활용 체계에 대해 공부한다.전선 / 대학원
본 교과목에서는 지구환경체계에 관한 기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범 지구적인 주요 환경문제를 중점적으로 다룬다. 특히, 기상 및 기후 변화, 사막화, 공해 물질의 대륙간 이동문제, 자원고갈, 삼림남벌 등 세계의 주요 현안 문제를 집중적으로 교육한다.전선 / 대학원
본 과목에서는 첫째로, 우리나라와 외국 도시의 도시환경의 역사적 변천과정에서 도시환경의 여러 가지 변화를 고찰해 보면서 이러한 도시환경 변화 속에 내재되어 있는 문화와 사상들을 파악해 보고, 둘째로, 이러한 도시환경 변화과정 속에서 발생했던 도시계획, 건축, 조경, 도시설계 사례에서 나타난 계획가와 설계가의 설계철학, 설계안목, 설계가치, 설계방법론 등을 함께 연구해 본다.전선 / 대학원
국제산림협력특강은 기후변화, 생물다양성보전, 사막화방지 등 다양한 산림관련 국제개발협력 주제에 대한 이론과 사례연구를 주요 내용으로 한다. 단순히 산림복원과 생태계 보전이 아닌 산림이라는 공간에서 자연환경과 인간 사회의 공생을 위한 개발협력에 대한 주제를 중심으로 인문학, 자연과학, 사회과학 등 융합적인 접근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학습하고 토론한다. 또한 저개발 국가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국제산림협력 사례와 연구를 통해 해외 산림 현장에서 실제 일어나는 국제개발협력 사업들을 이해하고, 이들 사업에 대한 평가 및 분석 기법을 학습한다.전선 / 학사
산림정책의 역사적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 산림에 관한 정책 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정책이론을 공부한다. 한편 우리나라의 산림정책 형성, 집행, 평가 과정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하는 정책참여자들의 역할을 조명하여 봄으로써 산림정책의 과제와 발전 방향을 고찰한다. 산림자원의 이용, 보호 및 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법 내용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산림정책과제 가운데 학생의 관심사 하나를 선택하여 사례연구를 수행하여 발표한다.전선 / 학사
이 과목은 토지이용 원리, 지역정책과 토지정책, 토지이용과 주택문제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분석·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주요 학습내용은 지대론을 포함하여 토지이용의 경제적 원리를 살펴보고, 이러한 기본적 원리에 입각하여 다양한 토지이용 정책 수단의 효과를 검토한다. 그리고 지역정책의 기본적 수단으로서 토지정책의 의미와 관련성을 이해하고, 토지이용의 대표적인 분야로서 주거용 토지이용을 살펴본다. 주거용 토지이용은 주거입지, 주거지분화, 택지개발정책, 지역정책과 주택정책의 관계에 대한 통합적인 이해를 추구한다. 수강생들은 토지이용의 유형, 특성, 차이, 형성과정과 그 원리에 대하여 학습하고 지식정보사회에 바람직한 국토공간의 계획과 이용방안을 모색하는 기초지식을 습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