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국어국문학과
본 강좌는 대학원에 재학중인 외국인 학생들의 한국어 및 한국문화에 대한 교육을 특별히 효과적으로 실시하도록 짜여있다. (1)가상강의에 띄운 '한국의 언어'에 대한 독해 문답 및 리포트 작성, (2) 교실강의에서 쓰기, 읽기, 말하기, 듣기의 4 기능을 고루 발달시키도록 배려하여 작문연습 및 구두발표 청취, 한국문화의 이해를 위한 어휘, 문형의 학습과 내용 체험(제기차기, 투호, 윷, 잣불켜기)을 도모하도록 한다. (외국인 논문자격시험 대체교과목)
loading...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 대학원
2025-2학기
권장 선수과목 스포츠법론(722.666) , 스포츠과학기술론(722.665)
본 강좌는 대학원에 재학중인 외국인 학생들의 한국어 및 한국문화에 대한 교육을 특별히 효과적으로 실시하도록 짜여있다. (1)가상강의에 띄운 '한국의 언어'에 대한 독해 문답 및 리포트 작성, (2) 교실강의에서 쓰기, 읽기, 말하기, 듣기의 4 기능을 고루 발달시키도록 배려하여 작문연습 및 구두발표 청취, 한국문화의 이해를 위한 어휘, 문형의 학습과 내용 체험(제기차기, 투호, 윷, 잣불켜기)을 도모하도록 한다. (외국인 논문자격시험 대체교과목)
Word-hoard : an introduction to Old English vocabulary
Word-hoard : an introduction to Old English vocabularyPresent tense : an American editor's Odyssey
Present tense : an American editor's Odyssey
The bilingual brain : what it tells us about the science of language
The bilingual brain : what it tells us about the science of language
(Tiger)TOEFL iBT Pedia : Vocabulary
(Tiger)TOEFL iBT Pedia : Vocabulary
Null operator constructions
Null operator constructions
A Comparative study of the Chinese vocabulary in several textbooks for westerners = 西文漢語敎科書中詞彙之比較硏究
A Comparative study of the Chinese vocabulary in several textbooks for westerners = 西文漢語敎科書中詞彙之比較硏究
An introduction to dialectics
An introduction to dialecticsTask force transport intermodality : activity report.
Task force transport intermodality : activity report.
Positional faithfulness : an optimality theoretic treatment of phonological asymmetries /
Positional faithfulness : an optimality theoretic treatment of phonological asymmetries /
Sentencing : the decision as to type, length, and conditions of sentence
Sentencing : the decision as to type, length, and conditions of sentence
101 American English proverbs : understanding language and culture through commonly used sayings
101 American English proverbs : understanding language and culture through commonly used sayings
Unification and grammatical theory
Unification and grammatical theory
Roget's II : the new thesaurus
Roget's II : the new thesaurusAutosegmental phonology
Autosegmental phonology
A Basic vocabular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A Basic vocabular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Translation & taboo
Translation & taboo
What research has to say about vocabulary instruction
What research has to say about vocabulary instruction
Moderne Linguistik: Terminologie Bibliographie ; ein Handbuch und Nachschlagewerk auf der Basis der generativtransformationellen Sprachtheorie.
Moderne Linguistik: Terminologie Bibliographie ; ein Handbuch und Nachschlagewerk auf der Basis der generativtransformationellen Sprachtheorie.
프로필 사회 : 진정성에서 프로필성으로
프로필 사회 : 진정성에서 프로필성으로
Metarules of Pāṇinian grammar : the Vyāḍīyaparibhāṣāvṛtti critically edited with translation and commentary
Metarules of Pāṇinian grammar : the Vyāḍīyaparibhāṣāvṛtti critically edited with translation and commentaryReading Teacher
Louie B.,Sierschynski J.吉林省教育学院学报 / Journal of Educational Institute of Jilin Province
吴进; WU JinBilingualism: Language and Cognition
Xuemei Chen; Robert Hartsuiker; Suiping WangScientific Studies of Reading
Young-Suk Grace Kim; Karen R. Harris; Rebecca Goldstone; April Camping; Steve GrahamINTERACTIVE LEARNING ENVIRONMENTS
Hwang, Gwo-Jen; Fu, Qing-KeBulletin of Ugric Studies
Rakin A.N.Behavior research methods
Li L; Zhao W; Song M; Wang J; Cai QApplied Pragmatics
Han Y.ELT Journal
Sun Q.,Soden B.Digital Scholarship in the Humanities
Liu J.,Gunn E.,Youssef F.,Tharayil J.,Lansford W.,Zeng Y.슬라브硏究
추석훈일본연구
박선령Chinese Language Education and Research
HwaJin JinPhilosophia Mathematica
Armour-Garb B.,Kroon F.영어교과교육
남대현Cogito
Daesik JeongKorean Association For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일본언어문화
Komatsu NanaLanguage
Canaan Breiss; Bruce HayesApplied Sciences (Switzerland)
Hu N.,Zhou X.,Xu B.,Liu H.,Xie X.,Zheng H.T.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교양 / 학사
본 강좌는 중급러시아어1의 연장선상에서 학생들이 실생활의 간단한 실용 러시아어에 필요한 초급 문법이나 어휘의 토대 위에 난해한 어휘나 구문, 표현 등을 익혀 고급 문체의 텍스트를 이해하고 다양한 주제에 관해 교양있는 대화체 러시아어를 구사하며 메모, 편지, 일기 등을 쓸 수 있도록 가르칠 것이다. 이 강좌는 나아가 모든 발화, 문학 장르의 기본 러시아어 텍스트를 강독할 수 있는 기술을 가르칠 것이고 학생들이 러시아 문화, 역사, 문학 등에 관한 호기심과 애정을 가질 수 있도록 도울 것이다.논문 / 대학원
언어학의 각 분야별로 최근 가장 쟁점이 되고 있는 이론이나 방법론 등을 소개하여 언어연구의 현주소와 미래를 예측하도록 도모한다.주로 논문제출과 관련한 이론지도과목으로 중점활용될 수 있도록 최근의 학문동향을 거시적으로 살펴보는 데 본 교과목의 목적이 있다.전선 / 학사
언어이해의 여러 단계들(예: 언어지각, 어휘처리, 통사처리, 덩이글이해, 추론 등)에서 이루어지는 표상과 처리과정을 다루는 과목이다. 이론과 실험적 증거들에 근거하여 언어이해 과정을 탐구함으로써 언어이해 기제에 대한 지식을 축적하고 언어심리 실험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킨다.전선 / 학사
한문 자료의 해독 능력은 중국문학 전공자들에게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과제이다. 고등학교 과정과 교양과정에서 배운 한문 지식을 보다 체계화하고 직접 한문자료를 다룰 수 있는 수준으로 고양시키는 동시에 좋은 문장을 보다 풍부하게 접할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이 강의의 목표이다. 이 강의에서는 한문 학습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좋은 문장의 전범으로 '맹자'를 선택하여 강독하는 것을 기본적인 과제로 한다. '맹자'강독을 통해 수강자들은 한문에 관한 체계적인 지식을 쌓아가는 동시에 한문 자료를 다루는 방법을 배울 수 있을 것이다. <한문강독 1>과 연계하여 두 학기에 걸쳐 '맹자'의 완독을 목표로 강의를 진행한다.전선 / 대학원
본 교과목은 중세에 창작된 작품들을 강독하고 당시의 문학적 경향에 대해 연구하는 수업이다. 중세작품들을 연구하기 위한 준비작업으로 처음 몇 시간은 중세불어 어휘와 문법에 대한 학습을 하며, 중세불문학의 대표적인 작품들인 성배이야기, 여우이야기, 무훈시 등을 주요 고찰대상으로 삼는다.전선 / 학사
이 교과목은 스페인어의 세계적 위상과 스페인어의 구조적 특징, 그리고 스페인어의 유래와 발달사 등을 전반적으로 소개하는데 그 목표를 둔다. 따라서 스페인어를 제 2외국어로 습득하려는 학생은 물론 이미 기초 스페인어를 배운 학생들도 수강할 수 있도록 강의 내용이 구성된다. 이 교과목은 언어적 탐구만이 아닌 포괄적 언어사회학 연구 강좌가 될 것이다. 또한 교수의 일방적 주입식 강의를 피해 학생들이 주마다 제기된 문제를 연구·발표·토론하는 대화식·토론식 강의를 유도한다.전선 / 대학원
사회언어학의 기본이론과 방법을 개관하고 언어의 본질과 기능, 언어능력, 영어의 변이형, (특히 기능, 상황적 변이형)등에 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결과를 외국어로서의 영어교육의 이론과 실제에 적용하는 문제를 다룬다.전선 / 학사
본 교과목은 아랍어 초급 단계를 거친 학습자들을 위해 기획되었다. 초급 단계에서 아랍어 어휘와 단문을 중심으로 표현법의 기본을 익힌 학습자는 본 교과목을 통해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아랍인과 기본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중급 수준의 어휘와 문법, 아랍어 단문과 중문이 사용된 짧은 단락이나 회화 문장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으며 특히 문학 작품과 공식 문건, 학술 논문의 독해에 중점을 둔다.전선 / 학사
러시아문학에 있어 독특한 입지를 지니고 있는 여러 저명한 작가들 중에서 한명 또는 수명을 선택해 그들의 주요 작품들을 감상하고 분석함으로써 개설적인 내용에서 벗어나 한 작가에 대한 보다 다양하고 깊은 이해를 습득하게 된다.교양 / 학사
프랑스어에 관한 기본 지식을 습득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쉬운 어휘와 구문을 사용하여 구성한 프랑스어 문장으로 의사표현을 할 수 있는 프랑스어 글쓰기 능력을 기르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하여 프랑스어 문장의 구조와 어휘의 통사적 역할 등에 대해 체계적으로 교육하고 동시에 실제 프랑스어 문장을 구성하게 하고 이를 고쳐 주는 방식을 병행할 것이다.교양 / 학사
우리는 매일 언어로 생각하고 언어로 이야기한다. 우리의 마음은 우리가 사용하는 말을 통해 표현되고 이해된다. 언어 속에 담겨진 마음, 그리고 마음이 담긴 언어, 그리고 그 속에 숨겨진 인간 두뇌의 인지능력, 이것이 본 강의의 중심 주제이다. 이 강의는 우리의 마음을 표현하고 이해하는 언어 사용의 기본 원리와 언어 인지 능력을 파악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본 강의에서는 언어 커뮤니케이션의 기본 원리를 소개하고 인간의 언어 인지 능력을 연구하는 학문 분야 및 방법론을 소개한다. 또한 강의 후반부에는 실험 실습 과정을 통해서 강의 참여자들이 직접 언어 인지 처리 과정을 탐구해 보는 기회를 갖게 된다. 본 강의의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인간의 언어 사용과 인지 작용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얻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전선 / 학사
이 교과목은 스페인어 문법 체계와 문장 구조를 깊이 있게 이해하여 정확하고 자연스러운 표현력을 키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 스페인어의 동사 시제 체계, 문장 구성 원리, 구문적 관계 등을 체계적으로 학습하며, 실생활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언어적 감각을 함양하여 의사소통 능력을 강화한다. 학습자는 다양한 문법적 패턴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정확한 문장을 구성하고 이해하는 연습을 통해 실질적인 언어 사용 능력을 향상시킨다. 이 교과목은 단순히 문법 규칙을 학습하는 것을 넘어, 문법적 구조가 스페인어 문장에서 의미를 형성하고 전달하는 방식을 탐구하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