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체육교육과
이 강좌에서는 장애인 체육의 다양한 이론들을 바탕으로 하여 현재 장애인 체육의 다양한 이론들을 바탕으로 하여 현재 장애인 체육의 흐름을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국내외 장애인 체육 저널 및 논문을 소개하는 것 뿐만 아니라 토론을 통해 장애인 체육의 새로운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기회 또한 제공하고자 한다물리·천문학부
이 교과목에서는 학생들이 실제로 실험을 통하여 자연의 다양한 현상을 탐색하고, 또 주위에서 일상적으로 일어나는 일 뒤에 숨어있는 물리 법칙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 다른 목적은 물리, 자연과학, 공학 등 관련 분야의 학생들에게 실험실에서의 종합적인 경험을 갖게 하는 것이다. 이 교과목에서는 힘과 운동, 에너지, 파동, 그리고 열 현상 등과 관련된 실험을 주로 다룬다.경영학과
본 과목은 회계원리를 수강한 학생들을 위하여 중급재무회계의 다양한 주제들을 강의한다. 먼저, 자산, 부채 및 주주지분과 관련한 회계절차를 살펴본 후, 리스회계, 법인세회계, 회계변경 및 오류수정, 현금흐름표, 파생상품회계 등과 같은 특수주제도 다루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과목은 기업이 재무정보를 창출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당면하는 의사결정의 문제와 이슈도 다룬다. 본 과목을 이수한 학생은 수업 중에 다루었던 문제와 이슈들을 완전히 이해하여, 재무제표를 해석하고 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찾아낼 수 있어야 한다. 또, 逆으로 재무자료가 주어지면, 이를 이용하여 재무제표를 작성할 수도 있어야 한다. 아울러, 습득한 회계이론과 개념을 말과 글로 자신 있게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물리·천문학부
우주를 구성하는 기본 단위인 은하의 세계와 우주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학습하여 올바른 현대적 우주관을 배양한다. 우리 은하의 구조 및 진화, 정상은하의 특성, 퀘이사와 활동은하의 본질, 우주의 거대구조, 우주의 팽창과 나이, 우주배경복사, 우주론 등을 학습한다. 현대천문학에서 중요한 연구과제인 중력렌즈와 아직도 정체가 명확히 밝혀지지 않고 있는 암흑물질 등을 소개한다.화학생물공학부
이 강의에서는 화학 반응 현상을 이해시켜 최종적으로는 반응기를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화학 반응 전후의 물질수지, 반응물질의 전환율과 반응기 크기의 결정 방법, 화학양론과 반응속도와의 관계 등을 배운 다음 온도가 일정한 상태로 운전되는 회분반응기, 혼합조반응기 및 관형반응기의 설계법, 실험실 규모의 반응기로부터 반응기 설계에 필요한 반응 속도 정수 및 반응차수를 구하는 방법 등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배운다. 마지막으로 촉매를 사용하는 불균일계 반응계에서 흡착, 표면반응 및 탈착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고 실험을 통해 반응기 설계 자료를 구하는 방법, 촉매반응기의 종류 및 기초설계 방법 등에 대하여 이해시킨다.화학생물공학부
본 학부와 관련된 학계 및 산업계에 종사하는 외부인사를 초청하여 강연하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이 연사와 접촉할 수 있는 기회를 증대시키고 학생들의 발표력 향상과 장래의 진로 결정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물리·천문학부
자연과학 또는 공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물리학의 기본적인 내용을 터득케 하는 과정으로서 중력, 물체의 운동, 에너지, 파동, 열현상 등에 연관된 물질세계의 특성에 대해 물리학적 접근 방법을 배운다. 이공계 학생들에게 공통적으로 필요한 기초교과목으로서의 성격을 강조한다.
loading...
자연과학대학 물리·천문학부 / 학사
2025-1학기
권장 선수과목 건축과 컴퓨터(4012.203) , 기초스튜디오 1 (건축과 표현)(M1498.000700)
자연과학 또는 공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물리학의 기본적인 내용을 터득케 하는 과정으로서 중력, 물체의 운동, 에너지, 파동, 열현상 등에 연관된 물질세계의 특성에 대해 물리학적 접근 방법을 배운다. 이공계 학생들에게 공통적으로 필요한 기초교과목으로서의 성격을 강조한다.
Symmetries in elementary particle physics
Symmetries in elementary particle physics
현대 물리학
현대 물리학
Explorations in mathematical physics : the concepts behind an elegant language
Explorations in mathematical physics : the concepts behind an elegant language
Differential geometrical methods in mathematical physics : proceedings
Differential geometrical methods in mathematical physics : proceedings
Facets of physics : a conceptual approach
Facets of physics : a conceptual approach
Correspondence, invariance, and heuristics : essays in honour of Heinz Post
Correspondence, invariance, and heuristics : essays in honour of Heinz Post
Inquiry into physics
Inquiry into physics
Isolated gravitating systems in general relativity, Varenna on Lake Como, Villa Monastero, 28th June-10th July 1976
Isolated gravitating systems in general relativity, Varenna on Lake Como, Villa Monastero, 28th June-10th July 1976
The role of neutrinos, strings, gravity, and variable cosmological constant in elementary particle physics
The role of neutrinos, strings, gravity, and variable cosmological constant in elementary particle physics
Perspectives in the structure of hadronic systems
Perspectives in the structure of hadronic systems
Physics : principles with applications
Physics : principles with applications
Physics of the solar corona : Proceedings
Physics of the solar corona : Proceedings
Particle physics : perspectives and opportunities : report of the DPF Committee on Long-term Planning
Particle physics : perspectives and opportunities : report of the DPF Committee on Long-term PlanningAccretion processes in astrophysics : proceedings of the twenty-first Rencontre de Moriond, Astrophysics Meeting, Les Arcs, Savoie, France, March 9-16, 1986
Accretion processes in astrophysics : proceedings of the twenty-first Rencontre de Moriond, Astrophysics Meeting, Les Arcs, Savoie, France, March 9-16, 1986
Basic concepts in physics : from the cosmos to quarks
Basic concepts in physics : from the cosmos to quarks
The origins of the universe for dummies
The origins of the universe for dummiesUnitary symmetry and elementary particles
Unitary symmetry and elementary particles
The physics of quantum mechanics
The physics of quantum mechanicsSolid-state astrophysics : 27 June-7 July 1989
Solid-state astrophysics : 27 June-7 July 1989The Special theory of relativity
The Special theory of relativityAstrophysical Journal
Vynatheya P.,Hamers A.S.AIMS Mathematics
Siddiqi M.D.,Khan M.A.,Al-Dayel I.,Masood K.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Zhao J.,Heinke C.O.Physical Review D
Bieri L.CHINESE PHYSICS LETTERS
Qin, Si-Xue; Roberts, C. D.Physical Review D
Rachid Benbrik; Mohammed Boukidi; Stefano MorettiAstronomy and Astrophysics
Tabone B.,Cabrit S.,Pineau Des Forêts G.,Ferreira J.,Gusdorf A.,Podio L.,Bianchi E.,Chapillon E.,Codella C.,Gueth F.Physical Review D
Braguta V.V.,Chernodub M.N.,Kotov A.Y.,Molochkov A.V.,Nikolaev A.A.Astronomy and Astrophysics
Boselli A.,Fossati M.,Côté P.,Cuillandre J.C.,Ferrarese L.,Gwyn S.,Amram P.,Ayromlou M.,Balogh M.,Bellusci G.,Boquien M.,Gavazzi G.,Hensler G.,Longobardi A.,Nelson D.,Pillepich A.,Roediger J.,Sanchez-Janssen R.,Sun M.,Trinchieri G.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Zhang C.,Churazov E.,Dolag K.,Forman W.R.,Zhuravleva I.Journal of High Energy Physics
Bern Z.,Herrmann E.,Kosmopoulos D.,Roiban R.Optics Express
Meng P.,Man Z.,Konijnenberg A.P.,Urbach H.P.Physical Review Letters
Duncan Neill; Rebecca Preston; William G. Newton; David TsangAstrophysical Journal
Damiano M.,Micela G.,Tinetti G.Journal of Physics: Conference Series
Christos ParaskevopoulosPhysical Review D
Laha R.Physical Review Accelerators and Beams
Lei Wang; Jian Cheng YangJournal of High Energy Physics
Li Q.,Chang C.H.,Wang T.,Wang G.L.Nuclear Physics B
Chakraborty I.,Roy H.,Srivastava T.Symmetry
Schiffer M.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대학원
전파천문학 분야에서 흥미로운 주제를 선정하여 한학기 동안 강의와 토의로 진행한다. 전파천문학 강좌를 수강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다.전선 / 대학원
핵 또는 입자물리학에 관련된 내용의 대학원 석ㆍ박사과정 공통과목으로 물리학과의 석ㆍ박사 교육과정에 유용한 주제를 다룬다. 구체적인 교과 내용은 교육과정상의 필요에 따라 바뀌게 된다.전선 / 대학원
현대 물리학의 연구에 가장 중요한 토대인 양자역학을 기본 개념에서부터 출발하여 체계적으로 다룬다. 양자역학2 의 주요 내용은 건드림 이론과 변분 이론등의 어림방법, 흩뜨림 이론, 대칭성, 꼭같은 알갱이들, 원자와 분자, 내비침의 양자이론, 상대론적 양자역학 등이다.전선 / 학사
역학, 열역학, 전자기학이라는 전통적인 물리의 성공적인 정착 이후, 우리 인류는 지난 100여년간 양자 역학이라는 새로운 분야의 물리에 대한 큰 발전을 목격하였다. 이제 양자 물리는 소립자 단위의 상호작용과 광활한 우주 전체의 형성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자연 대상에서 적용되어, 우리 인류의 자연에 대한 이해를 혁명적으로 바꾸게 하였다. 이 교과목은 앞으로 물리학을 전공하거나 관련된 영역에서 물리학을 활용할 대학생이, 양자 역학 개념의 근간을 이루는 역사적으로 중요한 현대물리 실험을 수행한다. 동시에, 이 같은 역사적 실험의 결과로 발전된 원자, 고체, 핵, 입자 물리 영역의 대표적인 실험 개념을 이해하고 체험하고자 한다. 이 과목은 매주 한 시간의 강의와 네 시간의 실험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과목에서, 빛의 양자화, 물질의 파동성과 입자성을 포괄하는 이중성, 보어의 원자 모형을 낳게 한 원자 분광학 등, 현대 물리의 핵심 개념을 정립하는데 도움 된 중요한 실험을 수행한다. 대표적인 예시 실험에는, 흑체 복사, 밀리컨 기름방울 실험, 플랑크-헤르츠 실험, 수소 가스, 네온 가스 등의 분광학, 광전 효과, 홀효과 실험 등이 포함될 수 있다.전선 / 대학원
우주에서 별은 생명 탄생에 꼭 필요한 원소를 합성하는 동시에 행성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천체이다. 그리고, 행성도 별과 함께 탄생한다. 한편, 성간물질은 궁극적으로 별이 탄생하는 장소로 은하의 공간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성간물질의 밀도와 별의 밀도, 그리고 성간물질의 조성과 행성의 조성을 비교해 보면 그 차이가 상상하기 힘들 정도로 크다. 이 강의에서는 성간물질의 물리적 특성과 별과 행성이 탄생하기까지의 과정을 알아보고 이해하고자 한다. 천문학의 중요한 주제인 성간물질과 별의 탄생에 대한 이해는 천문학을 전공하는 학생과 천문학을 보다 깊이 배우고자하는 지구과학 교사에게 꼭 필요한 안목을 제공할 것이다.전필 / 학사
이 교과목은 <고급 양자물리> 교과에서 배운 내용의 이해를 증진시키고 학생들의 응용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고급 양자물리>에 관련된 구체적 문제들에 대해 그 풀이과정을 공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전선 / 대학원
나선은하인 우리은하의 내부구조와 성분을 학습한다. 또 외부은하의 형태와 물리·화학적 성질, 거리 측정법, 공간 군집도 등을 배운다. 나아가 은하군, 은하단, 초은하단, 우주거대구조, 그리고 고 적색이동 천체들의 물리적 성질을 개관한다. 표준우주모형을 학습하고, 우주모형에 따른 공간과 물질과 물질요동의 기원·진화를 학습하고 관측과 비교한다. 우주기원, 초기우주의 진화, 급팽창가설, 차가운 암흑물질, 중력 불안정성에 의한 천체 생성론, 우주배경복사 등 현대 우주론의 핵심 내용을 이해한다.전필 / 학사
천문학을 배우려는 학생들에게 이 강좌를 통하여 천문학의 기본개념을 명로하게 제시하여 주고, 더 높은 수준의 연구를 하는데 바탕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한다. 천체 역학, 천체물리, 태양계, 항성, 은하, 우주론등의 내용을 통해서 다양한 천문학의 분야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진다. 수학적, 물리적인 지식을 기본으로 하여 천문학에 대한 지식을 심화시킬 수 있고, 이론의 습득과 함께 천문학의 각종 자료를 가지고 결과를 도출해보는 실험을 수행하고 직접 망원경관측을 통해 천체를 관측한다.전선 / 학사
항성과 항성계(이중성, 성협, 성단 등)의 기본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이해하기 위한 기본 천체물리를 학습하며, 항성의 진화를 공부한다.전필 / 학사
양자물리의 심화 과정으로 양자물리의 주요 응용과 근사 계산 방법 등을 다룬다. 주요 내용은 대칭성과 각운동량, 섭동이론, 다양한 근사방법 및 산란이론, 양자 정보의 기초 등이다.전선 / 학사
이 교과목의 목적은 수리과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수학적 엄밀성을 기반으로 물리학의 근간을 이루는 고전역학, 전자기학, 양자역학, 열역학 및 통계역학을 소개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앞으로 선택하게 될 수학의 세부 전공분야에서 등장하는 물리학적인 요소에 대한 전반적인 통찰을 얻고 연구의 기반 동력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전필 / 학사
특수 상대론, 고전 양자론, 수소원자의 모형, 고전통계, 양자통계, 고체물리, 핵물리 및 소립자론을 다룸으로써 현대물리 개념을 습득하고 교육적 측면을 고찰한다.전필 / 학사
<물리학1, 2> 및 <물리학실험 1,2>를 이수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며, 전자기 현상의 기본이 되는 내용(전기와 자기현상에 대한 실험적 사실로부터 나오는 여러 법칙들에서 부터 맥스웰 방정식의 유도까지)을 강의한다. 특히 벡터 연산을 이용하여 정량적인 물리량을 계산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시키도록 하며 주요 내용으로는 벡터연산, 정전기학, 프와송 방정식 및 라플라스 방정식의 풀이, 유전체에서의 전기장, 분극현상, 정전기에너지, 정상전류에 의한 자기장, 전자기 유도, 자기에너지, 맥스웰방정식 등이 있다.전선 / 학사
20세기 중반에 시작된 전파관측천문학은 오늘날 천문학의 크고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우주의 배경온도가 약 3 K으로 매우 낮고 별과 행성이 탄생하는 영역 또한 밀도가 높고 온도가 낮은 성간의 분자운이다. 이러한 저온의 대상은 광학관측 대신 전파관측으로 연구한다. 밀도가 낮은 고에너지 플라즈마 영역에 대한 연구도 전파관측이 중요하다. 이 강의는 복사와 전파망원경과 같은 전파관측천문학의 일반적인 내용과 함께 전파간섭계의 원리와 전파간섭계 자료를 처리하고 분석하는 과정도 포함한다. 앞으로도 계속 그 중요성이 커질 전파관측천문학에 대한 이러한 지식과 경험은 천문학자의 기본 소양이 될 뿐만 아니라 지구과학 교사로서 가져야 할 천문학에 대한 폭넓은 시각을 제공할 것이다.전선 / 대학원
응집물질 물리학의 내용에 관한 대학원 석박사과정 공통과목으로 물리학전공의 석박사 교육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내용을 다룬다. 구체적인 교과내용은 교육과정상의 필요에 따라 바뀌게 된다.전선 / 대학원
최근에 연구가 많이 되고 있는 이론천문 분야의 주제에 대하여 발표된 논문을 중심으로 연구한다.교양 / 학사
이 교과목은 <010.112 물리학 1>과 같이 자연과학 또는 공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물리학의 기본적인 내용을 터득케 하는 과정으로서 전기와 자기, 빛, 상대성이론, 양자물리, 원자 및 입자물리 등에 연관된 물질세계의 특징에 대해 물리학적 접근 방법을 배운다. 이공계 학생들에게 공통적으로 필요한 기초교과목으로서의 성격을 강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