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약학과
사이토카인은 특정 자극에 의해서 세포에서 만들어지며 세포간의 대화를 매개함으로써 항상성 유지 및 염증반응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이 강의는 특히 인간의 질병과 관련된 사이토카인들을 위주로 그 생성 및 기능을 살펴보는 것을 내용으로 한다. 또한 이들 중 현재 질환 치료의 표적으로 이미 사용되거나 시험 중에 있는 방법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앞으로 생명과학 및 의약학을 전공하고자 하는 학생들에게 기초지식과 전망을 제시한다.건축학과
건축은 특정한 언어를 통해 기록이 되고, 설계가 되며, 건축적 상상력과 분석력 또한 건축의 고유한 표현기법을 활용한 글과 그림을 통해 생성되고 공유된다. 본 수업은 전통적인 스튜디오 체계에 맞춰 순차적으로 전개되는 설계과제들을 중심으로 , 각 학생의 분석, 창작, 표현 활동이 대화와 토론을 통해 발견되고 진행된다. 직각/평행 투영, 추상적/구축적 모형, 실체/가상 미디어를 아우르는 건축의 기초 표현기법을 습득하고 언어와 그림을 통해 특정한 건축적 사고가 가능해 지는 것을 인지하며 적합한 기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본 수업의 목표라고 할 수 있다. 본 수업의 진행 방식은 다음과 같다: 공간적 상상력: 공간을 기획하는 기본 요소로서 비율, 빛, 그리고 신체와의 관계 등을 통해 눈에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내재되어 있는 다양한 건축적 가능성들을 상상하고 표현하는 능력 배양 건축적 창의력: 장소/환경과의 대화, 그리고 사물의 전이(translation)/이화(defamiliarization)/변용(transformation) 방식을 수단으로 건축적 개념 창출과 의미 생성 방식을 습득 다양한 표현기법, 시각적 언어의 이해 능력, 그리고 이미지 표출 기법을 바탕으로 물질/사물을 해석하고, 건축적 의미를 생성하며, 구성/생산/제작의 논리를 수립하는 과정을 경험
loading...
공과대학 건축학과 / 학사
2025-1학기
권장 선수과목 서양미술사(M2182.000100) , 한국미술과 문화(600.228A)
건축은 특정한 언어를 통해 기록이 되고, 설계가 되며, 건축적 상상력과 분석력 또한 건축의 고유한 표현기법을 활용한 글과 그림을 통해 생성되고 공유된다. 본 수업은 전통적인 스튜디오 체계에 맞춰 순차적으로 전개되는 설계과제들을 중심으로 , 각 학생의 분석, 창작, 표현 활동이 대화와 토론을 통해 발견되고 진행된다. 직각/평행 투영, 추상적/구축적 모형, 실체/가상 미디어를 아우르는 건축의 기초 표현기법을 습득하고 언어와 그림을 통해 특정한 건축적 사고가 가능해 지는 것을 인지하며 적합한 기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본 수업의 목표라고 할 수 있다. 본 수업의 진행 방식은 다음과 같다:
공간적 상상력: 공간을 기획하는 기본 요소로서 비율, 빛, 그리고 신체와의 관계 등을 통해 눈에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내재되어 있는 다양한 건축적 가능성들을 상상하고 표현하는 능력 배양
건축적 창의력: 장소/환경과의 대화, 그리고 사물의 전이(translation)/이화(defamiliarization)/변용(transformation) 방식을 수단으로 건축적 개념 창출과 의미 생성 방식을 습득
다양한 표현기법, 시각적 언어의 이해 능력, 그리고 이미지 표출 기법을 바탕으로 물질/사물을 해석하고, 건축적 의미를 생성하며, 구성/생산/제작의 논리를 수립하는 과정을 경험
건축재료학 =
건축재료학 =
Surface architecture
Surface architecture
The heart of the city : legacy and complexity of a modern design idea
The heart of the city : legacy and complexity of a modern design idea
クリスチャン·ケレツ不確かな必然性 = Christian Kerez, uncertain certainty
クリスチャン·ケレツ不確かな必然性 = Christian Kerez, uncertain certaintyMozarabischer Baudekor 1.
Mozarabischer Baudekor 1.Charles Moore
Charles MooreMaisons des champs dans l'Europe de la Renaissance : actes des premières Rencontres d'architecture européenne, Château de Maisons, 10-13 juin 2003
Maisons des champs dans l'Europe de la Renaissance : actes des premières Rencontres d'architecture européenne, Château de Maisons, 10-13 juin 2003
Modern architecture through case studies 1945-1990
Modern architecture through case studies 1945-1990モダン建築の京都100 : 展覧会オフィシャルブック = MODERN ARCHITECTURE IN KYOTO 100
モダン建築の京都100 : 展覧会オフィシャルブック = MODERN ARCHITECTURE IN KYOTO 100
The Gothic world, 1100-1600 : a survey of architecture and art
The Gothic world, 1100-1600 : a survey of architecture and art
Glass construction manual
Glass construction manual
Alvar Aalto : Through the Eyes of Shigeru Ban
Alvar Aalto : Through the Eyes of Shigeru Ban
Natural Metaphor : Architectural Papers III
Natural Metaphor : Architectural Papers IIIエミリオ·アンバ-スの世界 : Architecture & design : 1973-1993.
エミリオ·アンバ-スの世界 : Architecture & design : 1973-1993.
L'architecture des arbres
L'architecture des arbresXII prophecies for XXI century : XII profecias para el siglo XXI
XII prophecies for XXI century : XII profecias para el siglo XXI
레고 건축가 : 내 손으로 만드는 세계의 50가지 건축물
레고 건축가 : 내 손으로 만드는 세계의 50가지 건축물Existence, space & architecture
Existence, space & architecture
Creative crafts for everyone : a studio book
Creative crafts for everyone : a studio book
Gender space architecture : an interdisciplinary introduction
Gender space architecture : an interdisciplinary introductionLessons for students in architecture
Lessons for students in architecture
Drawing : the motive force of architecture
Drawing : the motive force of architecture
Oblique drawing : a history of anti-perspective
Oblique drawing : a history of anti-perspective
건축학 입문
건축학 입문Lessons for students in architecture
Lessons for students in architecture
(헤르만 헤르츠버거의)건축 수업
(헤르만 헤르츠버거의)건축 수업
디자인 도면
디자인 도면
Drawing : the motive force of architecture
Drawing : the motive force of architecture
건축가의 언어 26
건축가의 언어 26AM JOURNAL OF ART AND MEDIA STUDIES
Eres, Davor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김형숙대한건축학회논문집
차혜란; 최춘웅Artforum International
Avgikos, Jan雕塑 / Sculpture
吴文成; Wu WenchengAdaptive Behavior
Kiverstein, Julian; Withagen, Rob; Costall, Alan대한건축학회논문집
김란수音乐艺术 / Art of Music
夏佩婷; 陶亚兵; Xia Peiting; Tao Yabing阿坝师范学院学报 / Journal of Aba Teachers College
张勤; Zhang QinMedia, War and Conflict
Ristić K.Journal of Cinema and Media Studies
Mihailova M.Art Inquiry
Łarionow D.中北大学学报(社会科学版) / Journal of North University of China (Social Science edition)
卓雅; ZHUO YaThe Journal of Liberal Arts
Jeonghyun Yun; Seoungho Choi; Hyunshik Ju문화와융합
배혜정Educ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ies
Süner-Pla-Cerdà, Sedef; Öztürk, Elif; Ünlü, Canan Emine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서민우Artforum International
Jeppesen, TravisMaclean's
Heinrichs, RachelArtforum International
Panicelli, Ida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학사
본 교과목은 1)각자의 관심과 주제에 적절한 작업 방법을 모색하고 2)작품제작 과정을 관찰, 해석함으로써 자신과 타인의 작업과 작품에 대한 개인적, 역사적 이해를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수업은 개별 면담과 완성작품에 대한 그룹 토론을 병행하며 작업과 연관된 사례와 역사적, 이론적 사실들을 검토한다. 작업의 성격과 진행 정도에 따라 작업과정에 대한 기술(記述) 및 비평적 글쓰기를 시행한다.전필 / 학사
구조에 대한 이해는 모든 건축교육의 바탕이다. 스튜디오에서는 공간을 구축하는 구조의 형식과 공간의 질서를 탐구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일체식구조, 가구식구조, 복합구조 등 다양한 구조의 형식을 탐구한다. 구조 개념을 구체적인 건축공간으로 구현하는 과정에서 도면과 모형을 통해 구조적인 공간을 표현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또한 구조역학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건축의 형태를 이끌어 내는 통찰력을 키운다. '개인과 사회의 요구’를 ‘구축을 위한 기술’을 통해 건축공간으로 실현하는 과정, 즉 요구되는 공간의 프로그램에 합치하는 구조체계를 제안하고 이를 구현하는 설계 과정을 익힌다.전선 / 학사
졸업전시를 위한 미디어디자인 스튜디오 실습과목으로, 미디어디자인프로젝트1에서 진행했던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그룹 크리틱과 개인지도를 중심으로 구성된다. 또한 졸업전시와 관련하여 전시준비, 홍보, 설치, 운영 까지의 과정이 수업내용에 포함된다. 각자가 관심있는 분야를 연구하고 학기말에 졸업전시를 통해 발표한다.전선 / 대학원
다양한 미적, 창조적 가능성을 포함한 도자 예술 전반에 대하여 토의, 분석, 연구한다.전선 / 대학원
디자인 스튜디오 과목은 담당교수의 연구분야를 중심으로 그 내용과 형식은 매 학기 강의를 진행하는 교수의 계획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반복수강을 하여도 별도로 학점이 인정되어 여러 학기를 거쳐 담당교수의 연구자세와 그 내용을 깊이 있게 접할 수 있다. 자세한 강의 내용은 해당학과에 문의할 수 있다.전선 / 학사
독창적인 관점, 기획, 접근, 표현의 방법론을 모색하며 내용과 형식의 상호관계 등 작업의 기본 구조를 습득할 수 있도록 한다. 동시대 담론의 이해를 통하여 각자의 예술적 정체성을 향상시키고 감수성의 개발을 도모하며, 자유로운 매체 선택과 개별적 계획아래 진행되는 수업으로 다양한 실험을 동반하는 창작의 현실을 추구(追究)한다.전필 / 학사
기초스튜디오 2 (건축과 구조)와 연계하여 진행되는 본 수업은 특정한 구조의 틀을 바탕으로 도시적 환경과 조건에 맞춘 공공시설물을 기획하고 설계하는 것을 통해 건축 구조체의 공공성과 사회성에 대해 이해하고, 도시적 맥락을 읽고 해석하며 새롭게 재구성 하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전선 / 대학원
실내장식을 이론적, 실천적으로 깊이 있게 공부하는 과목으로서, 실내장식을 단순한 장식에서 벗어나 공간을 '구축'하고 '표현'하는 독자적 영역으로 정의한다. 실내공간 구성언어와 구성방법 및 그 이론적 뒷받침과 실제 사례를 동서양을 넘나들며 연구한 뒤 이에 비추어 자기 작품 경향을 스스로 분석하고 이를 자신의 고유한 실내공간 디자인 전략으로 가다듬는다.전선 / 대학원
도시재생스튜디오는 기성시가지의 잠재적인 자원을 활용하여 지역을 활성화하는 전략과 실천적인 방법을 모색한다. 물리적 환경개선이나 거주민들의 사회경제적 역량을 제고하는 공간적 처방을 고려하면서 협력적인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다영역간의 전략적 계획과정과 방법을 시도한다.전선 / 학사
이 수업은 음악대학 학부생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교과목으로 DAW(Digital Audio Workstation)와 여러 가지 플러그인 등을 응용하여 프로페셔널한 음악 제작 기술의 입문 과정을 습득하는 교과목이다. 이 과정을 통해 스튜디오 뮤직 메이킹 분야에서 활동할 수 있는 수준 높은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이 본 수업의 목적이다.전선 / 대학원
본 수업은 동시대 미술 현장에서 활동할 신진 미술가 및 기획자들이 미술작품을 발표하는 대표적인 방식인 ‘전시’를 중심으로 미술 제도를 이해하고, 작품의 전시를 위해 필요한 실질적인 내용 및 방식을 연구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전시 및 기획의 유형, 전시 공간의 성격, 작가와 관객의 관계 등을 탐구하는 것은 물론 작품의 선정, 디스플레이, 홍보, 지원제도의 조사 등 전시 기획으로부터 실행에 이르기까지 제반 과정을 실습한다.전선 / 대학원
거시적 측면에서 현대 및 미래디자인을 통찰하기 위한 종합적인 지식을 습득하기 위하여 신제품디자인의 개념, 기능, 그리고 조형과 관련된 주제들, 즉 디자인과 사회, 경제, 기술, 인간, 문화, 환경 등을 다 학제적인 관점에서 연구한다. 주제별 대화와 경험학습이 강조되고, 이를 위하여 이들 각 분야를 이끄는 선도적인 전문가 및 디자이너들을 초빙하여 주제별 세미나, 워크숍 및 토론의 기회를 갖는다.전선 / 대학원
도시설계리빙랩에서는 기존도시의 실질적 문제의 해결을 다양한 차원에서 모색하고자 한다. 무엇보다 건축가 또는 도시설계자로서 도시의 복잡한 이해관계를 파악하여, 서로 상충되는 힘의 조화를 유도하여 좋은 공간을 만들 수 있는 능력을 키우고자 한다. 이는 오늘날 Bottom-Up 형식의 도시관리에서 반드시 필요한 능력으로 새로운 형식의 도시설계방식 또는 접근을 요구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도시설계리빙랩은 “오픈설계스튜디오”로서, 지자체 및 주민과 함께 하는 워크샵을 전제로 한다. 설계주제 및 대상지는 지자체와 사전 협의를 하여 지자체의 입장에서 가장 절실하고 시급한 관리를 필요로 하는 곳으로 선정한다. 무엇보다 설계대상지에서 주민 및 지자체와 함께 진행되는 “현장밀착형 스튜디오”이다. 설계크리틱에는 주민참여는 물론, 설계전문가 이외에 에너지와 경제분야의 전문가 리뷰를 전제로 하는 interdisciplinary urban design studio 이다. 결과적으로 도시설계리빙랩은 다양한 차원과 스케일의 능력을 교육하고자 한다: ● 주민의 의견을 끌어내고 종합하는 언어구사력 ● 이러한 의견을 공간으로 재해석하고 표현하는 능력 ● 사회적, 경제적인 차원의 비젼 설정과 이들을 미적 질을 갖는 공간으로 창조하는 능력 ● 공간의 이용 및 장소화를 위한 전략구상전선 / 학사
택견은 한국의 전통 무술이자 민속놀이이다. 특히, 대한민국의 중요무형문화재 제 76호로 등록되어 있는 택견은 독특한 리듬의 발놀림과, 다양한 기술체계로 구성되어있어 학생들이 흥미롭게 배울 수 있다.교양 / 학사
이 수업은 현대미술의 이론적, 역사적 쟁점들을 소개하는 한편, 작가의 스튜디오와 작업장, 그리고 갤러리와 미술관(혹은 아트페어)을 방문하여 미술이 실제 생산, 전시, 소비되는 일련의 과정을 이해하는 목표를 갖는다. 이를 통해 현재 진행 중인 미술 경향에 대한 일정한 지식을 갖추는 동시에, 그 지식이 적용되고 작동하는 미술 현장에 대한 경험적 이해를 추구한다. 따라서 텍스트와 강의실에 국한된 현대미술에 대한 미술사 및 미술이론 수업의 한계를 넘어서, 실감에 근거를 둔 현대미술에 대한 앎을 도모한다. 작가, 미술사학자나 미술이론가, 평론가나 큐레이터 등 전문적인 미술 실천이라는 구체적인 목표를 갖고 있는 이들 뿐만 아니라, 최근 현대미술에 대한 점증하는 관심을 공유하는 모든 학생들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전선 / 대학원
정원 설계는 개인적인 공간에서 반공공적인 공간에 이르기까지 비교적 작은 규모의 공간설계를 다룬다. 공간의 구성과 세부적인 디테일, 즉 재료, 시설물에서 식물소재에 이르기까지 구체적인 사항을 고려하여 이용자들이 공간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는가에 대한 이해와 폭을 넓힌다.전선 / 대학원
본 강좌는 조각적 재료와 기능, 그것의 개발에 관한 수업으로, 학생들은 구상조각에 관한 표현에 있어서 자신 만의 독특한 방법을 찾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또한 그들은 현대미술의 장 안에서 작가적 태도를 가지고 자신들의 작업을 진행하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