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약학과
사이토카인은 특정 자극에 의해서 세포에서 만들어지며 세포간의 대화를 매개함으로써 항상성 유지 및 염증반응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이 강의는 특히 인간의 질병과 관련된 사이토카인들을 위주로 그 생성 및 기능을 살펴보는 것을 내용으로 한다. 또한 이들 중 현재 질환 치료의 표적으로 이미 사용되거나 시험 중에 있는 방법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앞으로 생명과학 및 의약학을 전공하고자 하는 학생들에게 기초지식과 전망을 제시한다.건축학과
건축은 특정한 언어를 통해 기록이 되고, 설계가 되며, 건축적 상상력과 분석력 또한 건축의 고유한 표현기법을 활용한 글과 그림을 통해 생성되고 공유된다. 본 수업은 전통적인 스튜디오 체계에 맞춰 순차적으로 전개되는 설계과제들을 중심으로 , 각 학생의 분석, 창작, 표현 활동이 대화와 토론을 통해 발견되고 진행된다. 직각/평행 투영, 추상적/구축적 모형, 실체/가상 미디어를 아우르는 건축의 기초 표현기법을 습득하고 언어와 그림을 통해 특정한 건축적 사고가 가능해 지는 것을 인지하며 적합한 기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본 수업의 목표라고 할 수 있다. 본 수업의 진행 방식은 다음과 같다: 공간적 상상력: 공간을 기획하는 기본 요소로서 비율, 빛, 그리고 신체와의 관계 등을 통해 눈에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내재되어 있는 다양한 건축적 가능성들을 상상하고 표현하는 능력 배양 건축적 창의력: 장소/환경과의 대화, 그리고 사물의 전이(translation)/이화(defamiliarization)/변용(transformation) 방식을 수단으로 건축적 개념 창출과 의미 생성 방식을 습득 다양한 표현기법, 시각적 언어의 이해 능력, 그리고 이미지 표출 기법을 바탕으로 물질/사물을 해석하고, 건축적 의미를 생성하며, 구성/생산/제작의 논리를 수립하는 과정을 경험국어교육과
국어교육의 연구 대상과 방법에 입각해서 학문적 체계를 지향·탐구한다. '언어사용 능력의 신장'이라는 국어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제반 원리와 연구 영역 등, 국어교육의 실천, 연구 등에 필요한 기초적이고도 전반적인 개념과 방법들을 다룬다.지리학과
기존 도시와 급격한 도시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도시문제 해결과 도시 인프라 구축, 그리고 미래 도시의 모델 및 전략으로서 스마트도시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국가차원의 스마트도시 전략과 개발은 향후 국토공간의 변화를 주도할 것이며, 세계적인 스마트도시 개발은 도시네트워크 및 세계 공간구조에 영향을 줄 것이다. 본 수업에서는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함께 스마트도시가 주요 공간 전략으로 등장하게 되는 배경과 이해관계자 등을 이해하고 전 세계 다양한 스마트도시의 추진 사례를 살펴본다. 또한, 재난, 안전, 교통 등을 포함한 다양한 도시 영역에 활용되고 있는 기초적인 정보통신기술을 이해하고 스마트도시 개발로 나타나게 될 지역주민의 생활양식과 생활공간의 변화 등을 포함한 지리적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loading...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 학사
2025-2학기
권장 선수과목 자연지리학개론(208.219) , 회계원리(251.205)
기존 도시와 급격한 도시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도시문제 해결과 도시 인프라 구축, 그리고 미래 도시의 모델 및 전략으로서 스마트도시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국가차원의 스마트도시 전략과 개발은 향후 국토공간의 변화를 주도할 것이며, 세계적인 스마트도시 개발은 도시네트워크 및 세계 공간구조에 영향을 줄 것이다. 본 수업에서는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함께 스마트도시가 주요 공간 전략으로 등장하게 되는 배경과 이해관계자 등을 이해하고 전 세계 다양한 스마트도시의 추진 사례를 살펴본다. 또한, 재난, 안전, 교통 등을 포함한 다양한 도시 영역에 활용되고 있는 기초적인 정보통신기술을 이해하고 스마트도시 개발로 나타나게 될 지역주민의 생활양식과 생활공간의 변화 등을 포함한 지리적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徐州汉画像石
徐州汉画像石Regional information and regional planning
Regional information and regional planning
독성기 : 국가보다 도시에 맹세하는 중국인
독성기 : 국가보다 도시에 맹세하는 중국인
中州鉤沈
中州鉤沈
The Geography of the flowering plants
The Geography of the flowering plants
Korean regional farm product and income, 1910-1975
Korean regional farm product and income, 1910-1975
Modern Xinjiang
Modern Xinjiang
Urban leviathan : Mexico city in the twentieth century
Urban leviathan : Mexico city in the twentieth century北京圖書館藏青銅器全形拓片集
北京圖書館藏青銅器全形拓片集
The Routledge history of rural America
The Routledge history of rural America
都市と村落の地理
都市と村落の地理
Invisible China : how the urban-rural divide threatens China's rise
Invisible China : how the urban-rural divide threatens China's riseLocal government and community in Java : an urban case-study
Local government and community in Java : an urban case-study
春秋占筮書
春秋占筮書
Walks amongst Beijing's venerable trees
Walks amongst Beijing's venerable trees
National agricultural research systems in Asia : report of the regional seminar held at the India International Centre, New Delhi, India March 8-13, 1971
National agricultural research systems in Asia : report of the regional seminar held at the India International Centre, New Delhi, India March 8-13, 1971
中国司法体制改革备要 : 实现社会公平正义、完善市场经济环境的必由之路
中国司法体制改革备要 : 实现社会公平正义、完善市场经济环境的必由之路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urban planning in small towns : a case study of the integrated action planning approach in Nepal.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urban planning in small towns : a case study of the integrated action planning approach in Nepal.
炳燭編
炳燭編The citizen's guide to planning
The citizen's guide to planning
(한눈에 읽는) 스마트시티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은 도시를 어떻게 바꾸는가?"
(한눈에 읽는) 스마트시티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은 도시를 어떻게 바꾸는가?"
스마트 시티, 더 나은 도시를 만들다 : 4차 산업혁명이 만드는 새로운 도시의 미래
스마트 시티, 더 나은 도시를 만들다 : 4차 산업혁명이 만드는 새로운 도시의 미래
도시지리학개론 =
도시지리학개론 =
스마트 도시계획
스마트 도시계획
Uneven innovation : the work of smart cities
Uneven innovation : the work of smart cities
Uneven innovation : the work of smart cities
Uneven innovation : the work of smart cities
스마트 도시계획
스마트 도시계획Geoforum
López Cifuentes M.,Freyer B.,Sonnino R.,Fiala V.湖北第二师范学院学报 / Journal of Hubei University of Education
洪谊雅; 林存文; HONG Yi-ya; LIN Cun-wenEnvironmental Science and Pollution Research
Wang Y.安徽体育科技 / Journal of Anhui Sports Science
尹莉君; 刘翔; Yin Lijun; Liu XiangJOURNAL OF INTERNATIONAL STUDIES-JIS
Sule, Babayo; Mikail, Ibrahim Kawuley; Yahaya, Muhammad AminuHabitat International
Pan W.,Wang J.,Lu Z.,Liu Y.,Li Y.Entropy
Wang X.,Gao P.,Song C.,Cheng C.SUSTAINABILITY
Chen, Mo; Wang, Jiacan; Sun, Jing; Ye, Fang; Zhang, HongyanJournal of Coastal Research
Zhang, TianhaiJournal of Geographical Sciences
Wu S.,Yan J.,Zhang Y.,Peng T.,Su K.地域研究与开发 / Areal Research and Development
覃颖; 罗光杰; 李阳兵; 廖晶晶; 谭秋; 田爽; QIN Ying; LUO Guangjie; LI Yangbing; LIAO Jingjing; TAN Qiu; TIAN Shuang东北师大学报(哲学社会科学版) / Journal of Northeast Normal University (Philosophy and Social Sciences)
谢小芹; 张春梅; XIE Xiao-qin; ZHANG Chun-meiUrban Studies
van Holm E.J.,Wyczalkowski C.K.民族艺林 / The World of National Art
朱於; ZHU YuEnvironment, Development and Sustainability
Xiao Zhou; Han Wang; Zhixin Duan; Guoqing ZhouHeritage
Migoń P.地域研究与开发 / Areal Research and Development
刘姗; LIU ShanTransport Policy
Cao M.,Hickman R.Journal of Geographical Sciences
Zhang F.,Xu N.,Wang C.,Guo M.,Kumar P.保定学院学报 / Journal of Baoding UNIVERSITY
张保石; 魏俊杰; 滕忠才; Zhang Baoshi; Wei Junjie; Teng Zhongcai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학사
이 강좌는 수도권지역이라는 거대 도시권을 대상으로 도시 지리학적 지식을 적용하여 대도시권의 성장과 발전, 그리고 이에 수반되는 문제들을 조명해 보고 문제해결을 위한 대안들을 모색해보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특히 이 강좌에서는 수도권 자체에 대한 이슈들 뿐 만 아니라 수도권을 포함하는 대도시권 일반에서 최근에 나타나는 현상들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새로운 도시이론, 정책, 분석기법 등을 함께 다루게 된다.전선 / 대학원
본 교과목은 발표 및 토론을 통해 국제농업개발협력 분야의 최신 이론 및 연구 사례를 학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학생들은 최신 연구 사례를 선정하여 분석하고 결과를 발표한다. 본 세미나 교과목을 통해 국제농업개발협력에 관한 다양한 연구를 이해하고 비판적으로 토론하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전선 / 학사
지리학 전공자들을 위한 인문지리학 입문과목이다. 지리학의 학문적 범위와 목적, 근대 인문지리학의 발전, 인문지리학 관련 과목의 편성 등에 대해 개관한다. 인문지리학의 하위분야로서 역사지리학, 문화지리학, 사회지리학, 도시지리학, 경제지리학, 정치지리학, 지정학, 환경주의 등의 주요 주제에 대해 학습한다. 지역지리학 중요성과 부흥에 대해 논의한다. 인문지리학 전공자의 미래에 대해 토론한다.전선 / 대학원
東·西洋間의 文化交流史를 아시아는 西洋文化의 수혜자라는 입장에서 벗어나 東洋文化의 西流에도 동등한 관심을 두고 상호 어떤 관련이 있었는가를 時代別·主題別로 把握하도록 노력한다. 이는 世界史 理解의 중요한 한 부분으로서도 의미가 있다.전선 / 대학원
해양학에 관련된 전반적인 소개와 함께 해양에서 일어나는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환경적 현상에 관하여 토픽중심으로 강의한다. 가능하면 학생들에게 흥미있는 토픽을 선택하게 하고 이에 대한 자유로운 토론에 의해서 결론에 이르도록 유도한다. STS(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적인 주제에 의해 다양한 교육방법을 도입할 것이다.전선 / 대학원
본 강좌는 역대의 시학 및 문학사상, 문학이론 등에서 비중 있는 문헌과 핵심 이론을 선별적으로 검토 연구함으로써, 중국고전문학이론의 실제를 포괄적, 통섭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개설되었다. 통시적으로는 선진시기부터 청대까지의 주요 문헌과 이론을 다루며, 공시적으로는 근대 이후에 수행된 중국고전문학이론 연구의 이론과 실제도 함께 다룬다. 다만 상술한 범위는 그 양과 깊이가 상당하므로, 실제 강좌는 고전문학이론 그 자체와 연구사에서의 주요 논점이 되는 다양한 주제를 선정하여, 이를 매개로 중국고전문학이론에 대한 체계적인 안목과 깊은 통찰력 및 응용력을 배양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따라서 주제는 매 학기 달라지며, 부제의 형태로 사전에 공지된다. 강의형태는 부제에 따라 주요 원전에 대한 강독과 주석, 세부 주제에 대한 토론과 세미나, 연구논저의 강독과 비판적 읽기 및 에세이 작성 등의 방식을 선별적으로 운용한다.전선 / 대학원
도시의 형태와 공간구조에 관한 이론들을 시간적, 공간적 범위를 넘어서서 섭렵하고, 미래에 새로운 도시를 조성함에 있어서 활용할 수 있는 적합한 도시구조 모색한다.전선 / 대학원
정치 종교 인종 이념 문화 등 갈등으로 인한 분쟁 및 전쟁은 가장 큰 규모의 재난이며, 이로 인한 경제적 사회적 손실과 인명의 살상은 가장 심각한 재난 의료서비스를 필요로 하고 있음. 특히 한반도는 전쟁위험과 분쟁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재난 위해도가 가장 심각한 지역 중 하나임. 재래식 전쟁과 디지털 기술을 응용한 무인 전쟁, 그리고 화학무기, 생물학 무기, 그리고 방사능 핵물질 무기 등 특수 전쟁의 위협이 크게 증가하고 있음. 전쟁 재난으로 인한 의료서비스 수요 및 대응에 대한 체계적인 준비 및 대응에 대한 학문적 탐구와 분석이 필요함.전선 / 학사
이 강의는 유럽에서 발전한 지역통합이론 및 역사적 발전과정을 탐구하고, 이를 유럽 외 지역통합사례에 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