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약학과
사이토카인은 특정 자극에 의해서 세포에서 만들어지며 세포간의 대화를 매개함으로써 항상성 유지 및 염증반응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이 강의는 특히 인간의 질병과 관련된 사이토카인들을 위주로 그 생성 및 기능을 살펴보는 것을 내용으로 한다. 또한 이들 중 현재 질환 치료의 표적으로 이미 사용되거나 시험 중에 있는 방법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앞으로 생명과학 및 의약학을 전공하고자 하는 학생들에게 기초지식과 전망을 제시한다.
loading...
약학대학 약학과 / 대학원
2024-2학기
권장 선수과목 노화 생리학(M2175.001700) , 임상생리학(M3316.000300)
사이토카인은 특정 자극에 의해서 세포에서 만들어지며 세포간의 대화를 매개함으로써 항상성 유지 및 염증반응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이 강의는 특히 인간의 질병과 관련된 사이토카인들을 위주로 그 생성 및 기능을 살펴보는 것을 내용으로 한다. 또한 이들 중 현재 질환 치료의 표적으로 이미 사용되거나 시험 중에 있는 방법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앞으로 생명과학 및 의약학을 전공하고자 하는 학생들에게 기초지식과 전망을 제시한다.
Therapeutic immunology
Therapeutic immunology
Dendritic cells and virus infection
Dendritic cells and virus infection
Weir's handbook of experimental immunology
Weir's handbook of experimental immunology
Basic immunology : functions and disorders of the immune system
Basic immunology : functions and disorders of the immune system
Milestones in immunology : a historical exploration
Milestones in immunology : a historical exploration
Immune mechanisms in inflammatory bowel disease
Immune mechanisms in inflammatory bowel disease
Cellular and molecular immunology
Cellular and molecular immunologyHandbook of experimental immunology
Handbook of experimental immunology
최신면역학입문
최신면역학입문
Essentials of mucosal immunology
Essentials of mucosal immunology
Immunology : a short course
Immunology : a short course
Methods in immunology : A laboratory text for instruction and research
Methods in immunology : A laboratory text for instruction and researchImmunology for Medical Students
Immunology for Medical StudentsCellular immunotherapy of cancer :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Symposium on Cellular Immunotherapy of Cancer, held at Racine, Wisconsin, October 30-November 1, 1986
Cellular immunotherapy of cancer :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Symposium on Cellular Immunotherapy of Cancer, held at Racine, Wisconsin, October 30-November 1, 1986Lymphocytes and mast cells,
Lymphocytes and mast cells,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Frontiers in Immunology
Yoon, Bo Ruem; Oh, Yoon-Jeong; Kang, Seong Wook; Lee, Eun Bong; Lee, Won-WooCellular Physiology and Biochemistry
Adam T.,Mathes A.,Isayev O.,Philippov P.P.,Werner J.,Karakhanova S.,Bazhin A.V.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RENAL PHYSIOLOGY
Oates, Jim C.; Russell, Dayvia L.; Van Beusecum, Justin P.Frontiers in Immunology
Zheng J.,Ma Y.,Guo X.,Wu J.Frontiers in Immunology
Hove-Skovsgaard M.,Zhao Y.,Tingstedt J.L.,Hartling H.J.,Thudium R.F.,Benfield T.,Afzal S.,Nordestgaard B.,Ullum H.,Gerstoft J.,Mocroft A.,Nielsen S.D.Biomaterials
Cao Q; Fang H; Tian HAnnals of the rheumatic diseases
Wang Y.,Xie X.,Zhang C.,Su M.,Gao S.,Wang J.,Lu C.,Lin Q.,Lin J.,Matucci-Cerinic M.,Furst D.E.,Zhang G.Nature Materials
Shin S.,Ko H.,Kim C.H.,Yoon B.K.,Son S.,Lee J.A.,Shin J.M.,Lee J.,Song S.H.,Jackman J.A.,Park J.H.Arteriosclerosis, Thrombosis, and Vascular Biology
Goonewardena S.N.,Chen Q.,Tate A.M.,Grushko O.G.,Damodaran D.,Blakely P.K.,Hayek S.S.,Pinsky D.J.,Rosenson R.S.Journal of Leukocyte Biology
Suen, Tsz K; Moorlag, Simone J C F M; Li, Wenchao; de Bree, L Charlotte J; Koeken, Valerie A C M; Mourits, Vera P; Dijkstra, Helga; Lemmers, Heidi; Bhat, Jaydeep; Xu, Cheng-Jian; Joosten, Leo A B; Schultze, Joachim L; Li, Yang; Placek, Katarzyna; Netea, Mihai GDisease Markers
Huan Wang; Jianfang Rong; Qiaoyun Zhao; Conghua Song; Rulin Zhao; Sihai Chen; Yong XieJCI Insight
Bekele Y.,Lakshmikanth T.,Chen Y.,Mikes J.,Nasi A.,Petkov S.,Hejdeman B.,Brodin P.,Chiodi F.TRENDS IN CANCER
Yan, Wei; Jiang, ShuaiThe 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Kabil A; Nayyar N; Brassard J; Li Y; Chopra S; Hughes MR; McNagny KM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Policheni A.N.,Teh C.E.,Robbins A.,Tuzlak S.,Strasser A.,Gray D.H.D.Neurochemical Research
Thapa, K; Shivam, K; Khan, H; Kaur, A; Dua, K; Singh, S; Singh, TG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Mantri C.K.,St. John A.L.Alzheimer's and Dementia
Gericke C.,Kirabali T.,Flury R.,Mallone A.,Rickenbach C.,Kulic L.,Tosevski V.,Hock C.,Nitsch R.M.,Treyer V.,Ferretti M.T.,Gietl A.Nature
Cui A; Huang T; Li S; Ma A; Pérez JL; Sander C; Keskin DB; Wu CJ; Fraenkel E; Hacohen NJournal of Leukocyte Biology
Andrew J, Trease; Meng, Niu; Brenda, Morsey; Chittibabu, Guda; Siddappa N, Byrareddy; Shilpa, Buch; Howard S, Fox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필 / 학사
이 교과는 주요한 미생물군, 숙주면역반응에 관한 내용과 면역계에서 세포와 조직에 대한 이해를 도우며 감염병에 대한 소개를 담고 있다. 학생들은 미생물질환의 기전과 면역계에서 정상과 비정상의 대해 이해토록 해야하며 강좌는 이를 통해 문제해결능력과 지식을 통합적으로 활용할수 있도록 하는데 중점을 둔다.전필 / 학사
면역시스템은 생명체가 유해한 외부 인자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고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역할을 담당하며, 선천면역 시스템과 후천면역 시스템이 유기적 관계를 가지고 작용한다. 본 면역학 강좌에서는 면역 세포가 자기와 비자기를 구분하는 원리와 선천면역 시스템에서 후천면역 시스템으로 연결되는 유기적 관계를 이해하고 이를 설명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전선 / 대학원
○ 인체 면역계에 대하여 학습함 ○ 인체 면역계를 구성하는 면역장기들에 대해서 학습함 ○ 면역장기를 구성하는 세포들에 대해서 학습함전선 / 대학원
면역세포치료제(Immune Cell Therapy)는 단백질 의약품, 항체 의약품등의 바이오 의약품에 이은 차세대 바이오 의약품으로, 살아있는 면역세포 그 자체를 활용하여 암과 같은 난치성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본 수업은 면역세포치료제 개발에 필요한 지식을 습득하고, 개발 방법과 최근 연구동향을 파악하여 관련 분야 연구 및 적용을 위한 역량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수강생들은 면역학, 생화학, 분자생물학, 세포생물학 등의 기초 생물학 지식을 학습하고, CAR-T, Dendritic Cell vaccine 등과 같은 면역세포치료제의 개발 방법 및 동향에 대해서 파악한다. 강의 후반부에는 면역세포치료제 개발과 관련된 최신 논문을 읽고 토론한다.전선 / 대학원
기생충은 감염된 사람에서 병증을 유발시키며, 주로 질병의 원인이 된다. 그러나 최근에는 각종 공해와 환경호르몬, 화학적 약물 오남용으로 면역체계가 정상적이지 않아 생기는 질병이 많다. 예로, 아토피피부염, 알레르기 질환, 크론병이 대표적 면역 체계의 이상으로 발생한다. 또한, 식습관이 서구화되어 나타나는 비만도 현대인에게서는 무시할 수 없는 질환이다. 현대인들에게 고민이 되는 이런 질환들의 해결을 면역을 조절하는 장내 기생충에서 그 해결을 찾을 수 있다. ‘기생충 치료’는 인간과 기생충간의 공진화에 의해 나타나는 면역성 변화를 이용하는 것으로 때로는 기생충이 우리의 몸을 살리는 ‘의학적 이용’의 중요한 미생물이 된다. 본 강좌는 이러한 면역체계 이상에서 비롯된 여러 가지 질환들에 대해 기생충을 이용한 치료 효과를 볼 수 있는 기생충과 질병에 대해 공부하고 미래 임상적 응용성을 갖는 의학적 이용에 대해 공부하고자 한다.전선 / 대학원
면역체계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고, 면역 활성 및 억제, 회피현상들이 어떠한 기전에 의해 일어나는지에 대한 기초적 지식을 습득하며 인체의 다양한 생물학적 현상들과 어떠한 상관관계를 갖는지 탐구하고자 한다. 나아가, 면역학적 지식을 이용한 예방백신의 개발, 치료용 항체, 줄기세포나 조직이식시 대두될 수 있는 면역거부반응 등 다양한 응용적 측면에 대해 알아본다.전선 / 대학원
면역노화 (immunosenescence)는 개체의 연령이 증가함에 나타나는 단위 면역세포 및 면역장기의 기능변화와 이에 수반되는 나타나는 면역기능 저하를 총칭하는 개념으로 노화기전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본 강좌에서는 노화에 따른 면역기능의 변화를 분자생물학적, 세포면역학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이를 통하여 고령자에서 흔히 나타나는 자가면역질환, 감염성 질환 및 염증성 질환의 병인에 미치는 면역노화의 역할을 심도 있게 배우는 과목이다. 본 강좌에서는 최신 수업서를 활용하여 면역노화의 기본지식 강의와 함께 최근 발표된 우수한 연구결과에 대한 세미나 발표 및 토론을 병행하여 최신 연구동향 파악 및 새로운 개념을 습득하도록 도와준다.전선 / 대학원
면역 기능의 저하는 감염성 질병 혹은 암의 발생을 유발할 수 있지만, 면역의 과잉 활성은 자가면역질환 혹은 알레르기/천식 등의 질환의 원인이 된다. 그러므로, 면역 기능을 정교하게 조절하는 것은 다양한 면역관련 질환을 치료하는데 필수적이다. 생체재료를 이용한 정교한 약물전달과 면역세포 제어 기술은 이러한 면역관련질환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강의는 재료공학부 학생을 대상으로 기초적인 면역학 및 면역관련 질환 지식을 전달하고, 다양한 생체재료가 면역질환치료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가에 대한 원리와 예시를 제시하는 것을 내용으로 한다. 이를 통하여 면역질환치료용 생체재료를 디자인하기 위한 기초 지식을 제공하고자 한다.전선 / 대학원
세포면역학은 매우 빠르게 발전하는 학문으로 교과서에서 다루는 지식만으로는 국제적인 학문 추세를 이해하기 어려움. 따라서 최신 세포면역학 특론에서는 가장 최근에 대두된 면역학의 화두 및 연구내용, 그리고 치료법 적용 시도 등을 ‘면역세포’를 중심으로 논의함으로써 대학원생들의 최신 면역학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함.전선 / 대학원
면역세포는 흉선에서 발달하여 말초에서 항원을 만나 활성화 되어 암, 자가면역, 병원체 방어에 있어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다양한 면역 세포의 아형 중 선천성 T 세포 (innate T cell)은 흉선에서 기억 세포로 발달하여 말초에서 항원을 만날 경우 즉각적으로 활성화 되어 기존의 T 세포와 구별되며 우리 몸에 있는 T 세포의 20-30%를 차지한다. 선천성 T 세포는 NKT (natural killer T), MAIT (mucosal-associated invariant T), gamma delta T 세포를 포함하여 사람과 마우스에서 공통적인 발달 양상을 보인다. 본 강의는 발표 수업을 통해 선천성 T 세포의 흉선 발달과 다양한 면역 질환에서의 역할에 대해 최신 지견을 습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전선 / 대학원
연충의 감염시 숙주 면역반응은 type 2 면역반응의 특징을 나타내며 이는 원충에서 나타나는 반응(type 1)과 구별된다. 특히 연충의 이러한 면역 반응은 알러지질환 및 자가면역 질환의 억제와 많은 연관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의학적으로 중요하게 인식되어지고 있다. 강의를 통해 연충에 의한 면역반응에 대해 깊이 연구하고 면역관련질환을 면역학적으로 조절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전선 / 대학원
인체 내 점막 및 피부 조직에서의 면역 시스템은 해당 환경에 적응하며 독특한 특성을 갖도록 진화해왔다. 점막 및 피부 면역은 세균, 바이러스, 기생충과 같은 외부 병원체로부터 숙주를 보호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점막과 피부에 상주하는 비병원성 공생미생물과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에도 필수적이다. 위장관, 호흡기, 생식기, 피부와 같은 점막 장기에서 발생하는 면역 반응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해당 조직에서 특화된 면역세포, 면역 분자, 그리고 공생미생물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통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이 과목에서는 점막 및 피부 조직에서의 면역 반응과 관련된 최신 연구 및 임상 논문을 분석하고 토론하는 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해당 면역 체계의 특성을 보다 깊이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과정을 수료한 학생들은 점막 및 피부 면역이 전신 면역과 어떻게 연결되는지에 대한 통찰을 갖게 되며, 공생미생물과 면역 체계 간의 상호작용을 포함한 점막 및 피부 면역의 역할에 대해 폭넓은 시각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전선 / 학사
본 과정은 면역현상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습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비특이적 면역현상과, 특이적 면역현상의 체액성 반응과 세포성 반응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주 내용이다. 항원의 특성과 이에 대한 면역현상에 관련된 여러 가지 주요 유전자 및 단백질, 세포, 조직 및 조직의 구조와 기능을 유전학적, 생화학적, 분자세포생물학적 측면에서 분석하여 이해하고자 한다.전선 / 대학원
본 강의는 선천면역 반응과 관련된 다양한 기관들에 대해 이해하고, 선천면역 관련된 실험적 기법과 결과들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선천 면역 반응은 생물이 이미 가지고 있는 면역 반응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세균이나 미생물의 감염에 반응하여 빠르게 활성화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선천 면역계를 구성하고 있는 면역 세포들로는 상피세포, 대식세포, 수지상세포, 상피 내 존재하는 림프구 등 다양한 세포들 있다. 본 수업에서는 이러한 선천면역 세포들을 포함한 선천면역계의 핵심 주제들과 최신 연구동향 등에 대한 내용을 다룰 예정이다.전선 / 대학원
이식면역학은 장기이식의 핵심인 면역장벽의 극복을 위하여 이식편에 대한 인체 면역계의 반응을 이해하고 이를 임상적으로 응용하는 학문이다. 특히 본 강좌에서는 HLA를 비롯하여 이식면역에서 중요하게 간주되는 요소들을 임상 검사실에서 진단 및 검사하는 방법에 대하여 깊게 다룬다. 이 강좌를 통해 학생들은 이식면역학의 기초 개념인 조직적합성과 이식편 거부반응을 일으키는 면역학적 요인들, 이를 임상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검사법의 최신 지견을 배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