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서양화과
이 수업은 서양화과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창의적인 표현 능력을 기르기 위한 첫걸음으로서의 실기 수업이다. 관련된 이론을 바탕으로 시각적 표현의 다양한 요소와 원리에 대해 새롭게 접근하고 고찰하며, 작품의 기본이 되는 재료와 표현에 대해 학습한다. 또한 작품의 소재와 주제를 탐색하고 고민해봄으로써 미술을 통해 생각하고 표현하는 연습을 한다. 토론과 크리틱으로 개별 과제를 검토하고, 작품을 분석, 비평, 감상하는 능력을 기른다.
loading...
약학대학 / 대학원
2022-1학기
권장 선수과목 의약 신호전달생화학 특강(375.541) , 의약면역학특강(375.737A)
이 강의는 노화로 인한 생리학적 변화를 이해함을 목표로 한다. 세포수준에서 노화의 기전 및 신호전달체계를 심화 학습한다. 또한. 개체수준에서, 심혈관계, 근골격계, 내분비계의 노화에 따른 특징적 변화를 노화 관련 만성 질환과 연관 지어 논의 한다. 본 강의는 세포 및 개체 수준의 노화 생리에 대한 기초 지식을 제공하고, 이로써 의약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이 고령화 사회의 문제점에 대한 과학적 해결책을 연구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Peripheral nervous system
The Peripheral nervous system
The Howell book of cat care
The Howell book of cat care
The crustacean nervous system
The crustacean nervous system
The human brain book
The human brain book
DNA polymorphisms as disease markers
DNA polymorphisms as disease markersExtracranial cerebrovascular disease : diagnosis and management
Extracranial cerebrovascular disease : diagnosis and managementPopulation genetics in forestry: proceedings of the meeting of the IUFRO Working Party "Ecological and Population Genetics" held in Göttingen,August 21-24,1984
Population genetics in forestry: proceedings of the meeting of the IUFRO Working Party "Ecological and Population Genetics" held in Göttingen,August 21-24,1984Animal models for the study of human disease
Animal models for the study of human disease
Cats in art : timeline
Cats in art : timelineInsect hormones
Insect hormonesMolecular mechanisms of hormone actions on behavior
Molecular mechanisms of hormone actions on behavior
The melatonin and aging sourcebook
The melatonin and aging sourcebookBioinformatics for dummies
Bioinformatics for dummies
Handbuch der inneren sekretion
Handbuch der inneren sekretionPost-transcriptional processing and the endocrine system
Post-transcriptional processing and the endocrine system
Recent advances in growth research nutritional, molecular, and endocrine perspectives
Recent advances in growth research nutritional, molecular, and endocrine perspectives
Côté's clinical veterinary advisor : dogs and cats
Côté's clinical veterinary advisor : dogs and cats
From neuron to brain : a cellular and molecular approach to the function of the nervous system.
From neuron to brain : a cellular and molecular approach to the function of the nervous system.Endocrine physiology
Endocrine physiologyNeurobiology of Aging
Jih K.Y.,Chou Y.T.,Tsai P.C.,Liao Y.C.,Lee Y.C.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Guo Y.,Gui D.,Zhang X.,Liu W.,Xie Q.,Yu X.,Wu Y.Journal of Medical Genetics
Kato K.,Miya F.,Hamada N.,Negishi Y.,Narumi-Kishimoto Y.,Ozawa H.,Ito H.,Hori I.,Hattori A.,Okamoto N.,Kato M.,Tsunoda T.,Kanemura Y.,Kosaki K.,Takahashi Y.,Nagata K.I.,Saitoh S.Aquaculture
Zhu Y.,Yu Z.,Liao K.,Zhang L.,Ran Z.,Xu J.,Yan X.Journal of the neurological sciences
Casiraghi V; Milone I; Brusati A; Peverelli S; Doretti A; Poletti B; Maderna L; Morelli C; Ticozzi N; Silani V; Verde F; Ratti ACurrent Developments in Nutrition
Arunkumar Ranganathan; Fuyen Chang; James Lauderdale; Douglas Menke; Heike Kroeger; Binxing Li; Paul BernsteinGENES
Rasmussen, Astrid; Hildonen, Mathis; Vissing, John; Duno, Morten; Tumer, Zeynep; Birkedal, UlfBRITISH JOURNAL OF PHARMACOLOGY
Bowley, George; Kugler, Elizabeth; Wilkinson, Rob; Lawrie, Allan; van Eeden, Freek; Chico, Tim J. A.; Evans, Paul C.; Noel, Emily S.; Serbanovic-Canic, JovanaFree Radical Biology and Medicine
Zhang Q.,Ren J.,Wang F.,Pan M.,Cui L.,Li M.,Qu F.Archives of microbiology
Casey C; Sleator RDReproductive BioMedicine Online
Jin C.,Qin L.,Liu Z.,Li X.,Gao X.,Cao Y.,Zhao S.,Wang J.,Han T.,Yan L.,Song J.,Zhang F.,Liu F.,Zhang Y.,Huang Y.,Song Y.,Liu Y.,Yao Z.,Chen H.,Zhang Z.,Zhao S.,Feng Y.,Zhang Y.n.,Qian Y.,Sun T.,Feng Q.,Zhao H.International Journal of Biological Sciences
Zhang R.,Chen Y.,Wang X.,Tian H.,Liu H.,Xiang Z.,Qi D.,Huang J.H.,Wu E.,Ding X.,Wang X.Stem Cell Reports
Chang A.C.Y.,Pardon G.,Chang A.C.H.,Wu H.,Ong S.G.,Eguchi A.,Ancel S.,Holbrook C.,Ramunas J.,Ribeiro A.J.S.,LaGory E.L.,Wang H.,Koleckar K.,Giaccia A.,Mack D.L.,Childers M.K.,Denning C.,Day J.W.,Wu J.C.,Pruitt B.L.,Blau H.M.PLoS Computational Biology
Brown L.S.,Doyle F.J.Journal of mammary gland biology and neoplasia
Ortiz JR; Lewis SM; Ciccone M; Chatterjee D; Henry S; Siepel A; Dos Santos COTOXICS
Combarnous, Yves; Thi Mong Diep NguyenGeroScience
Hillary F Huber; Hannah C Ainsworth; Ellen E Quillen; Adam Salmon; Corinna Ross; Adinda D Azhar; Karen Bales; Michele A Basso; Kristine Coleman; Ricki Colman; Huda S Darusman; William Hopkins; Charlotte E Hotchkiss; Matthew J Jorgensen; Kylie Kavanagh; Cun Li; Julie A Mattison; Peter W Nathanielsz; Suryo Saputro; Diana G Scorpio; Paul-Michael Sosa; Eric J Vallender; Yaomin Wang; Caroline J Zeiss; Carol A Shively; Laura A CoxCurrent Neurology and Neuroscience Reports
Saade, Joseph; Mestre, Tiago A.Biology Open
Pırez N.,Bernabei-Cornejo S.G.,Fernandez-Acosta M.,Duhart J.M.,Fernanda Ceriani M.Acta neuropathologica
Hickman RA; Dewan R; Cortes E; Traynor BJ; Marder K; Vonsattel JP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필 / 학사
식물병의 최종 목적인 효과적인 방제를 위해서 정확한 병의 진단과 각각의 병에 대한 깊이 있는 특성의 이해가 필요하다. 본 과목에서는 식물병의 원인이 되는 병원체의 종류별 특성을 이해하고 각각의 병원체에 의한 병 발생, 병환, 병징, 발생조건, 방제에 관한 이해를 도모한다. 강의에 포함되는 내용은 병의 개요, 곰팡이, 세균, 바이러스, 선충, 파이토플라즈마병의 일반과 각론이다. 실험은 병의 진단과 병원체 관찰, 분리 및 접종, 병발생 조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전필 / 학사
이 강의는 신체를 구성하는 기관과 기관계의 생리학적 기능과 생체 내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기전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에너지대사, 체온조절, 비뇨기계/산-염기 균형, 근육계, 내분비계 및 생식기계에 관한 기본적인 생리학 지식을 익히도록 한다.전선 / 대학원
유전체 분석기술의 놀라운 발전과 질병 관련성에 대한 이해의 폭이 넓어지면서, 의학 역시 전통적인 경험의학에서 유전체의학으로 이행되고 있다. 유전체의학은 환자의 유전체 정보를 기반으로 질병의 진단, 치료, 예방을 하는 학문이며, 유전체의학의 등장으로 환자 개개인의 유전적 특성에 따른 맞춤의학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강좌에서는, 인간유전체의 구조와 기능, 분석기술 및 유전체이상과 연관된 질병 등 유전체의학 전반을 살펴보고 향후의 전망을 논의하고자 한다.전선 / 대학원
본 과목에서는 대표적인 내분비질환인 당뇨병, 자가면역성갑상선질환, 뇌하수체 질환, 부신 질환의 발생기전에 있어 유전학적, 면역학적, 분자생물학적 기전과 이에 따른 세포내 신호전달체계에 어떠한 이상이 오는지에 대해 공부한다. 본 과목에서는 내분비 질환에서 펩티드 호르몬의 작용기전으로 성장인자를 통한 신호전달 체계 및 G 단백질을 통한 신호전달 체계, 그리고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작용기전으로 DNA전사 조절에 의한 세포내 신호전달 쳬계에서 어떠한 이상이 발생하는지를 공부한다.전선 / 대학원
통증은 말초에서의 신경전도, 척수/연수에서의 신경회로망, 상위 중추로부터의 조절 및 대뇌에서의 인식 등의 복잡한 과정을 포괄하고 있다. 따라서 통증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multi-disciplinary approach가 요구되는 바, 본 강좌에서는 통증 연구에 사용되는 다양한 방법들의 원리와 응용방법에 대해서 알아본다.전선 / 대학원
새로이 개발되는 신의약, 의료기기, 세포치료제, 조직공학재료, 바이오장기 등에 대한 효능 평가를 위하여 각종 질환모델동물에 대한 기술과 지식이 절실히 필요한 때다. 이에 “질환모델동물"이라는 강좌를 신설하고자 하며 다음과 같은 강좌로 구성하고자 한다. - 질환모델동물 - 원리와 문제점 - 독성연구에서 모델동물 - 생식독성연구에서 모델동물 - 알레르기 모델동물 - 심혈관계 모델동물 - 소화기계 모델동물 - 태자 생리학에서 모델동물 - 신장 연구에서 모델동물 - 당뇨 모델동물 - 신경연구에서 모델동물 - 통증연구에서 모델 동물 - 미생물감염연구에서 모델동물 - 종양연구에서 모델동물전필 / 학사
인체의 장기별 미세구조의 특성과 생리 기능을 통합적으로 이해: 일반세포생리부터 시작하며 심장 및 순환기, 호흡기, 신장과 체액의 항상성, 소화 및 내분비기관 등 핵심 인체기관마다 조직학과 생리학적 지식의 유기적 이해를 지향하는 강의 및 실습으로 구성함.전선 / 대학원
본 과목에서는 소아청소년기 내분비질환과 소아청소년 만성질환에서 발생하는 이차성 내분비 문제의 병태 생리, 진단, 치료에 대해 발표 및 토론하면서 학습합니다.전선 / 대학원
곤충의 발육과 여러 가지 생리현상들도 내분비 호르몬과 신경의 작용으로 조절된다. 그래서 본 과목에서는 곤충의 내분비기관과 조직들의 구조와 특징 및 호르몬들의 화학적 특성을 살펴보고 나아가서 곤충의 발육(배자발생, 후배자발육, 탈피와 변태, 생식 등)과 생리현상(대사활동, 삼투압 조절, 근육활성, 휴면, 다형현상, 체색조절, 페로몬 합성 등)에 관여되는 일반 및 신경호르몬들의 1차구조와 작용특성 등을 검토한다. 또한 호르몬들의 대사와 수용체 및 척추동물의 호르몬들과의 연관성들에 대해서도 검토하고 배자발생과정 중에 일어나는 조직분화메카니즘도 알아본다.전선 / 학사
본 과목은 경제동물뿐만 아니라 모델동물의 내분비학을 분자수준부터 전체 생물시스템 수준까지 소개할 것이다. 이 과목이 포함할 내용은 각각의 호르몬의 범주와 내분비 시스템의 개괄과 세포적 기작, 신경과 체액성 조절의 통합 그리고 내분비 체계의 진화에 대한 것이다.전선 / 대학원
에너지대사는 신경계를 포함한 다양한 기전을 통해 항상성이 유지되며, 이 항상성 조절에 이상이 생기는 경우 대사질환이 유발된다. 이 강좌에서는 신진대사, 체중, 식욕의 신경 조절 및 관련된 연구 분야의 흐름을 파악하고 최신 연구 결과들에 대해 참여자들간의 토론을 통해 고찰한다. 이 강좌를 통하여 학생들은 전신 에너지대사를 조절하는 중추신경계/말초신경계의 기전, 미각과 위장관 영양소의 영향, 각종 호르몬의 역할, 신경계-말초기관 상호작용 등에 대한 최신 지견을 배운다.전선 / 대학원
이 과목은 보건 및 유전체미생물 분야에서 국내외의 최근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연구수행에 관련된 방법론 등에 대한 교수와 학생들과의 토론 및 발표 위주의 교과목이다. 최근 중요시 되는 미생물 유전체 연구를 통한 마이크로비옴과 인체건강과 환경과의 연관성을 강의, 토론, 발표를 통하여 지식을 습득하고, 이러한 최신의 연구를 수행하는 분자생물학 및 유전체 등의 방법론과 기초지식 및 연구역량을 강화하는 강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