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체육교육과
체육학의 여러 분야 중에서 스포츠심리학만큼 빠르게 발전하는 분야는 없다. 과거에 운동학습, 운동제어, 운동발달을 포함한 넓은 의미로 스포츠심리학을 지칭했던 시대도 있었다. 스포츠 심리학의 영역을 구분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사람도 많다. 이 강의에서 다루는 내용이 최근의 ‘스포츠 심리학’이라고 말한다면 넓은 의미로 스포츠심리학을 이해하고 있던 사람들은 격세지감을 느낄 것이다. 경기력 향상에 관한 지식이 축적된 것은 비교적 근래의 일이다. 스포츠심리학은 그만큼 역동적으로 성장하는 학문이다. 체육학을 공부하는 학생, 운동선수, 스포츠 지도자, 생활체육지도자, 운동트레이너 등이 이 강의를 통해 스포츠와 운동 상황에서의 목표를 달성하기를 기대한다.기계공학부
초음파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특성에 따른 파동의 전파 특성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본 강좌에서는 무한/반무한 탄성체에서의 기본적인 파동 현상을 공부한 다음, 오일러보, 티모센코보에서의 굽힘파, 평판에서의 램파와 전단파, 실린더에서의 포크햄머-크리파 등 다양한 유도초음파를 다룬다. 또한 파동전파 특성을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최근의 기술에 대해서도 공부한다.기계공학부
본 과목은 기계공학분야에서 메카트로닉스 시스템 구성을 위한 전기전자회로 설계, 마이크로프로세서 응용기술에 대한 이론과 실습으로 구성된다. 우선 전기/전자회로 구성을 위해서 DC 회로설계, 저항, 커패시터, RC회로, 필터회로, 다이오우드 회로, 트랜지스터, OP 앰프등의 설계 및 운용기술을 강의한다. 그리고 8086/8088/80196마이크로프로세서 시스템의 구조, 설계, 입출력 인터페이스등을 강의한다. 실습에서는 회로설계를 구현할수 있는 보드, 회로 구성요소들이 나누어지며, 매 실험에서 부과된 회로를 직접 설계 구현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회로설계, 마이크로프로세서 응용설계, 디지털 입출력 시스템 구현, 스테핑모터, 센서입출력등이 실험되고, 최종 학기말 프로젝트로서 각 팀별로 메카트로닉스 시스템을 설계, 제작하는 것이 부과되고, 경연대회를 통해서 성능평가를 실시한다.의학과
진료 및 연구결과로 얻어진 결과 데이터들을 분석하고 관리하는데 필요한 기초이론을 다룬다. 주된 내용으로는 access를 이용한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인터넷에서의 정보검색, matlab 등을 이용한 생체신호분석등의 내용을 다룬다.재료공학부
본 교과목에서는 재료에서 발생하는 크랙 생성 및 성장에 의한 파괴에 대한 이론적인 기초를 다룬다. 이를 위해 취성 및 연성 재료의 파괴 역학, 탄성 및 탄성 플라스틱 재료의 점근 응력 필드, 파괴 기준, 절단에 의한 파괴, 공극 성장, 응집력 영역 모델, 균열 변형 및 피로 균열 성장 및 수명 예측 등의 주제가 포함된다. 균열 역학에 대한 정량적 이해를 개발하고 대학원 연구에서 고급 주제에 대해 파괴 역학을 사용하는 이론적 배경을 제공한다. 특히 파괴 이론과 파괴 분석에 중점을 둘 것이다.
loading...
공과대학 재료공학부 / 대학원
2025-1학기
권장 선수과목 재료공학 기초핵심 역량강화(M1569.001300) , 유한요소해석(M2794.007300)
본 교과목에서는 재료에서 발생하는 크랙 생성 및 성장에 의한 파괴에 대한 이론적인 기초를 다룬다. 이를 위해 취성 및 연성 재료의 파괴 역학, 탄성 및 탄성 플라스틱 재료의 점근 응력 필드, 파괴 기준, 절단에 의한 파괴, 공극 성장, 응집력 영역 모델, 균열 변형 및 피로 균열 성장 및 수명 예측 등의 주제가 포함된다. 균열 역학에 대한 정량적 이해를 개발하고 대학원 연구에서 고급 주제에 대해 파괴 역학을 사용하는 이론적 배경을 제공한다. 특히 파괴 이론과 파괴 분석에 중점을 둘 것이다.
Fracture mechanics : fundamentals and applications
Fracture mechanics : fundamentals and applications
The welding entineer's guide to fracture and fatigue
The welding entineer's guide to fracture and fatigue
Micro- and nanostructured epoxyrubber blends
Micro- and nanostructured epoxyrubber blends
Fracture mechanics and structural concrete
Fracture mechanics and structural concrete
Inorganic-whisker-reinforced polymer composites : synthesis, properties, and applications
Inorganic-whisker-reinforced polymer composites : synthesis, properties, and applications
Fatigue crack growth thresholds, endurance limits, and design
Fatigue crack growth thresholds, endurance limits, and design
Ceramics by Fance Franck
Ceramics by Fance FranckCollected works of J. D. Eshelby : the mechanics of defects and inhomogeneities
Collected works of J. D. Eshelby : the mechanics of defects and inhomogeneities
Mechanical properties of metallic composites
Mechanical properties of metallic composites
Modeling of defects and fracture mechanics
Modeling of defects and fracture mechanics
Fracture toughness
Fracture toughness
Fracture mechanics : Proceedings of the Thirteenth National Symposium on Fracture mechanics : a symposium
Fracture mechanics : Proceedings of the Thirteenth National Symposium on Fracture mechanics : a symposium
Dynamic fracture toughness and its evaluation in a heavy-sectioned ferritic nodular cast iron
Dynamic fracture toughness and its evaluation in a heavy-sectioned ferritic nodular cast iron
Fracture mechanics
Fracture mechanicsPrinciples of polymer composites
Principles of polymer composites
Advances in applied mechanics.
Advances in applied mechanics.Tough composite materials : recent developments
Tough composite materials : recent developments
Proceedings of the 2nd ROC-ROK joint workshop fracture of metals
Proceedings of the 2nd ROC-ROK joint workshop fracture of metals
Applied elasto-plasticity of solids
Applied elasto-plasticity of solidsHandbook of fiberglass and advanced plastics composites
Handbook of fiberglass and advanced plastics composites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Journal of Manufacturing Science and Engineering, Transactions of the ASME
Das H.,Upadhyay P.Journal of Materials Engineering and Performance
Dutt, B. Shashank; Babu, M. Nani; Ganesan, V.; Shanthi, G.; Moitra, A.Innovative Food Science and Emerging Technologies
Guan X.,Wang Z.,Xu J.,Lin B.,Li R.,Wang S.Materials and Design
Ma X.,Bian K.,Liu H.,Wang Y.,Xiong K.RADIATION PHYSICS AND CHEMISTRY
Almurayshid, Mansour; Alsagabi, Sultan; Alssalim, Yousif; Alotaibi, Zayed; Almsalam, Rashed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Kubo Y.,Yamaji A.Archives of Civil and Mechanical Engineering
Kubit A.,Trzepiecinski T.,Bochnowski W.,Drabczyk M.,Faes K.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Manufacturing Technology
Zhu Z.,Kang R.,Huang J.,Zhu Y.,Sun X.Optical and Quantum Electronics
Hussein, E. M. Abou; Shaban, S. E.; Madbouly, A. M.Materials and Design
Liu Y.,Yao Z.,Zhang P.,Lin S.,He M.,Lu S.,Wu X.Acta Materialia
Borasi L.,Frasca S.,Charbon E.,Mortensen A.Materials and Design
Ruiz-Moreno A.,Hähner P.,Fumagalli F.,Haiblikova V.,Conte M.,Randall N.International Journal of Biological Macromolecules
Wu S.,Zhang J.,Li C.,Wang F.,Shi L.,Tao M.,Weng B.,Yan B.,Guo Y.,Chen Y.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Liu S.,Hao H.,Hao Y.,Li J.Journal of Physics D: Applied Physics
Yin K.,Yan J.,Zhang H.,Duan Q.,Wang Q.,Zheng C.,Zhang Z.,Xie Q.Engineering Failure Analysis
Zeng L.,Liu Y.,Zhang H.,Mo J.,Liu C.,Xiao Y.Composites Part A: Applied Science and Manufacturing
Wittemann F.,Maertens R.,Kärger L.,Henning F.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Manufacturing Technology
Wu H.,Li D.,Niu C.,Chen J.Materialia
Miao Song; Rajib Kalsar; Cody Miller; Nicole Overman; Kenneth I. Johnson; Timothy Roosendaal; Curt Lavender; Vineet V. JoshiComposites Part B: Engineering
Ogi K.,Yashiro S.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대학원
섬유보강복합재료의 보강재가 되는 섬유, 기지가 되는 고분자 각각의 물성을 먼저 살펴보고 그 두 가지 물질을 연결시켜주는 계면의 성질을 살펴본다. 그리하여 이들 두 가지 성분이 합쳐진 새로운 물질인 복합재료의 물성을 실험결과와 이론식으로 고찰해본다.전선 / 학사
본 과목에서는 다음의 세 가지 주요 내용을 학습한다. 먼저 일반 상선의 전반적인 구조 특성과, 구성하는 다양한 구조 부재의 명칭과 역할에 대해 학습한다. 그 이해를 바탕으로 재료역학에서 학습한 보이론, 비틀림 , 기둥의 좌굴 등을 선체 구조 평가에 어떻게 적용하는지를 학습한다. 두 번째로 선박해양 구조물에 특화된 주요 이론들에 대해 학습한다. 판이론을 바탕으로 판의 좌굴강도와, 사고한계상태 해석에 기초가 되는 보와 판의 소성강도에 대해 학습한다. 세 번째로 판의 접합 방법 및 용접 강도를 배우며, 용접부의 피로강도 및 반복적인 환경하중으로 인한 선박의 피로손상도 계산법 등에 대해서 학습한다.전선 / 대학원
본 교과목에서는 고체 재료 내 열에너지의 생성, 저장, 수송 성질을 다룬다. 격자와 전자의 양자적인 특성에 의해 구현되는 열용량과 열전도도 등 열적 성질의 기본 이론을 배우며, 광자의 양자 특성에 의한 열복사 성질도 함께 소개한다. 기본 이론을 토대로 금속, 무기, 유기 소재 및 최근 새로운 소재에서 나타나는 열전달 특성을 이해하며, 전자/에너지 소자의 열 관리를 위한 소재 설계 방안에 대하여 함께 다룬다.전선 / 대학원
고체재료의 역학적 성질은 크게 탄성, 점탄성, 소성으로 나누어서 고려되는 데 특히 소성은 변형이 탄성한계를 넘어 영구변형을 하는 경우, 최종 변형이 최종 응력상태 뿐만 아니라 응력역사에 따라 달라지는 성질을 다룬다. 이 과목은 연속체 역학으로서의 소성 역학의 기초이론과 함께 작은 변형과 큰 변형 시 소성의 현상학적 구성방정식을 다룬다.전선 / 대학원
복합재료는 높은 기계적 성질과 요구되는 상황에 맞게 강화되는 방향을 설정할 수 있는 설계적 장점이 있어, 항공우주산업과 같은 경량형 구조가 사용되는 곳에 널리 활용이 되어왔다. 또한, 방탄 및 방검복을 포함하는 다양한 충돌에너지 발생 상황에서 매우 효과적으로 에너지를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최근에는 전통적인 섬유/폴리머 기반의 복합재료 이외에도 다기능의 금속, 세라믹, 폴리머가 포함된 재료도 복합재료로 취급된다. 따라서, 이러한 특성을 이해하고 실제 산업군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전통적인 이론적 접근법뿐만 아니라 실험을 통한 결과 고찰과 이를 이해하기 위한 해석 방법 등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본 과목에서는 유한요소법해석 및 초고속 카메라를 이용한 고속충돌시험 수행과 분석을 포함하며 관련한 최신이론과 기법을 조사하고 공부하게 된다.전선 / 대학원
새로운 치과용 세라믹의 개발 및 적용방법에 관하여 토의한다. 주조형 세라믹 및 CAD/CAM 용 세라믹의 응용에 관한 논문을 분석하며 심미성과 연관된 주제를 고찰한다. 치과용 세라믹과 금속의 결합방식 및 결합력 증대방안을 토론하며, 세라믹의 강화 및 강화기전에 관한 주제를 포함한다. 치과용 세라믹의 광학적 특성 및 표면 특성을 고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