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loading...
간호대학 간호학과 / 학사
2025-1학기
권장 선수과목 인간과건강(811.214)
본 교과목은 기본간호학에서 배운 지식과 기술을 임상에 적용하기 위한 실습과목이다. 학생들은 실험실에서 기본간호 술기를 연습함으로써 환자 간호에 필요한 기초적 간호역량을 함양할 수 있다. 교과의 주요내용은 간호사정, 간호진단, 상처 간호와 심폐소생술, 영양, 배설, 산소간호, 투약에 대한 기술을 실습하는 것이다.
졸업 후 의학교육제도 및 전문의제도의 개선에 관한 연구
졸업 후 의학교육제도 및 전문의제도의 개선에 관한 연구
The athlete's dilemma : sacrificing health for wealth and fame /
The athlete's dilemma : sacrificing health for wealth and fame /
Checklist for change : making American higher education a sustainable enterprise
Checklist for change : making American higher education a sustainable enterprise
Self-determination theory : basic psychological needs in motivation, development, and wellness
Self-determination theory : basic psychological needs in motivation, development, and wellness
Athletic identity : invincible and invisible, the personal development of the athlete
Athletic identity : invincible and invisible, the personal development of the athlete
Teaching what they learn, learning what they live : how teachers' personal histories shape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
Teaching what they learn, learning what they live : how teachers' personal histories shape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
Health and elite sport : is high performance sport a healthy pursuit?
Health and elite sport : is high performance sport a healthy pursuit?
Measurement concepts in physical education
Measurement concepts in physical educationThe insider's guide to match-fixing in football
The insider's guide to match-fixing in football
Comprehending behavioral statistics
Comprehending behavioral statistics
승진의 심리학
승진의 심리학
Innovative tracks at established institutions for the education of health personnel : an experimental approach to change relevant to health needs
Innovative tracks at established institutions for the education of health personnel : an experimental approach to change relevant to health needs
Coaching matters : leadership and tactics of the NFL's ten greatest coaches
Coaching matters : leadership and tactics of the NFL's ten greatest coaches
Educating physicians : a call for reform of medical school and residency
Educating physicians : a call for reform of medical school and residency
ACSM's fitness assessment manual
ACSM's fitness assessment manual
AFCA's offensive football drills
AFCA's offensive football drills
Bloomsbury cpd library : mentoring and coaching
Bloomsbury cpd library : mentoring and coaching
영양섭취 타이밍과 근육발달 : "무엇을, 얼마나? 이젠 언제 먹느냐가 중요하다"
영양섭취 타이밍과 근육발달 : "무엇을, 얼마나? 이젠 언제 먹느냐가 중요하다"
Serious training for serious athletes
Serious training for serious athletes청소년상담학회지
서종수; 최성열; 신이나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s Science and Coaching
Meyer J.,Klatt S.高校生物学教学研究(电子版) / Biology Teaching in University
张伟; 时永香; 王仁卿; ZHANG Wei; SHI Yong-Xiang; WANG Ren-Qing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Wilson, Mathew G.; Hull, James H.; Rogers, John; Pollock, Noel; Dodd, Miranda; Haines, Jemma; Harris, Sally; Loosemore, Mike; Malhotra, Aneil; Pieles, Guido; Shah, Anand; Taylor, Lesley; Vyas, Aashish; Haddad, Fares S.; Sharma, SanjayAnnals of Thoracic Surgery
Olive J.K.,Yost C.C.,Robinson J.A.,Brescia A.A.,Han J.J.,Haney J.C.,Forbess J.M.,Varghese T.K.,Backhus L.M.,Cooke D.T.,Cornwell L.D.,Preventza O.A.한국초등체육학회지
김승재, 최원순Ultrasound in Medicine and Biology
Jacobsen N.,Nolsøe C.P.,Konge L.,Graumann O.,Dietrich C.F.,Sidhu P.S.,Gilja O.H.,Meloni M.F.,Berzigotti A.,Harvey C.J.,Deganello A.,Prada F.,Lerchbaumer M.H.,Laursen C.B.Nurse education today
Arveklev SH; Tengelin EOccupational therapy in health care
Kafel T; Šuc L; Vidovič M; Smith MHealth Education and Behavior
Wayment H.A.,Huffman A.H.European Sport Management Quarterly
Chiu W.,Hui R.T.y.,Won D.,Bae J.s.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Coyne I; Sleath B; Surdey J; Pembroke S; Hilliard C; Chechalk K; Rafferty S; Rogerson S; Hughes M M; Murphy M; Cody D; Roche EThe Korean Journal of th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Dong-woo Lee; Jong-ho MoonNutrients
Adamski M.,Truby H.,Bennett C.,Gibson S.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for Health Professions
임만섭, 허선温州职业技术学院学报 / Journal of Wenzhou Vocational and Technical College
宋美娜; SONG MeinaAsian Journal of African Studies
Machimu, Gervas, Mwakilema, Nicodemus S.Journal of Surgical Education
Lyons J.,Bingmer K.,Ammori J.,Marks J.Palliative and Supportive Care
Gil F.L.,Hernández-Ribas R.,Sánchez N.,Gil J.,Casellas-Grau A.BMC Medical Education
Nieto-Gutierrez W.,Taype-Rondan A.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대학원
이 오리엔테이션 교과목은 아동가족학과 대학원 신입생들이 원활하게 석사과정, 박사과정, 석·박사통합과정을 시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학사 측면에서는 대학원 교육과정, 졸업요건, 융합전공 등을 소개하며, 연구 측면에서는 학과 내 연구실별 연구분야와 아동가족학 연구동향을 전반적으로 살펴본다. 이와 함께, 대학원 과정에서 필요한 학문적 글쓰기, 연구윤리, 진로개발 등의 필수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교수진과의 교류, 학내 자원 탐색, 대학원생 간 네트워킹 기회를 제공하여 대학원 생활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성공적인 학업과 연구를 위한 기반을 다질 수 있도록 한다.논문 / 대학원
본 과정은 석사 및 박사 학위 과정에 있는 학생들의 논문 주제를 상의하여 결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상세 지도 사항으로서 주간 또는 월간 단위로 연구 및 실험 진행 상황을 점검 및 논의하고 추후 진행 방향을 지도한다.전필 / 대학원
치의학 관련 학문의 발달과 사회 환경의 변화로 치의학도가 선택할 수 있는 진로 선택의 폭이 과거에 비해 크게 증가하였다. 학생들은 이 교과목에서 치의학 연구자, 창업을 통한 기업가 국제기구 행정가 등, 다양한 분야에의 진출 가능성을 접함으로써, 비전과 도전 정신을 배우고 스스로 미래설계를 할 수 있는 기회를 갖는다.전선 / 학사
본 수업은 다양한 현장의 전문가를 섭외하여 수업이 구성된다. 정규 교과 과정에서는 잘 다루어지지 않은 실험적인 분야와 형식에서부터 시기에 따라 변하는 시의성이 있는 테마를 수업의 주제로 빠르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업이다. 학과의 교수진과 학생들의 의견을 고루 반영하여 매학기, 매년 수업의 형식과 주제를 유동적으로 선정하도록 한다.논문 / 대학원
본 교과는 지도교수의 지도 아래 학위논문을 준비하기 위한 교과목이다.전선 / 학사
본 과목을 통해 졸업논문을 작성한다. 다앙한 스케일의 공간에서 발생하는 환경적 현안을 파악하고 이와 관련한 연구주제, 연구질문을 설정한다. 이후 문헌조사, 데이터 수집과 준비, 방법론을 결정한 후 분석을 진행한다. 본 과목은 2학기에 개설되는 졸업논문 세미나 2 의 선수과목이다.전선 / 대학원
학생인턴은 3, 4학년의 임상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보다 심도 있게 진료에 참여하는 2주 임상실습 과정이다. 이 과정을 통해 독립된 의사로서 역할을 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학생인턴은 1기-7기까지 모든 임상과에서 개설되며, 진로탐색을 위해 원하는 실습을 선택할 수 있다.전선 / 학사
학생인턴은 3, 4학년의 임상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보다 심도 있게 진료에 참여하는 2주 임상실습 과정이다. 이 과정을 통해 독립된 의사로서 역할을 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학생인턴은 1기-7기까지 모든 임상과에서 개설되며, 진로탐색을 위해 원하는 실습을 선택할 수 있다.전선 / 학사
본 과목은 스포츠의학의 입문 과목으로서 스포츠의학의 개념·역사·영역을 소개하고 각각의 영역에 대한 개괄적인 이해를 도모한다. 또한 의학적측면에서 신체활동을 통한 인체의 효과를 분석,관찰함으로써 건강을 증진시키고 선수들에게 도움을 주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스포츠의학분야는 방대하여 전문화된 지식습득에 어려움이 있다. 본 교과목에서는 스포츠의학의 개념을 소개하고, 적용분야는 신체 내적구조(해부학)과 기능(생물학)으로 구분한다. 또한 질병에 대한 운동의 효과와 스포츠 상황에서의 상해와 장애에 대해 학습한다.전필 / 학사
본 강좌를 통해 약학을 전공하는 학생, 예비보건의료인으로서 의사소통 관련 개념을 학습하고, 다양한 환경에서의 의사소통 방법을 익힘. 약학연구자, 환자, 타보건의료인을 포함한 다양한 인간관계에서 대상자를 공감적으로 이해, 배려, 수용하는 태도를 지닌 약학전문인의 리더십 역량을 배양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