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첨단융합학부
첨단융합학부 신입생들의 전공탐색을 위한 공통필수과목으로서, 차세대지능형반도체, 융합데이터과학, 지속가능기술, 디지털헬스케어, 혁신신약 등 첨단융합학부의 다양한 전공 분야를 소개한다. 각 분야에서 개발되고 있는 첨단융합기술의 핵심 개념과 다양한 응용 분야를 소개하고, 각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는 리더 특강을 통해 학생들이 졸업 후의 미래를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환경설계학과
본 과목은 도시설계의 기초적인 이론과 도시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요소를 이해하는 강의 수업이다. 국내외 도시설계의 간략한 역사와 최근 도시개발의 동향을 살펴본 후, 도시정책과 제도, 공공의 의지와 사회참여, 디벨로퍼의 비전, 도시건축 유형과 개발의 관성, 기능적 효율성과 미학, 다양성에 대한 요구 등 현대 도시의 형태를 결정하는 여러 힘들을 살펴본다. 그리고 현대 도시에 대한 다양한 요구, 이를테면 도시쇠퇴와 재생, 건강도시 만들기, 도시의 취약성 극복 등의 주제에 대해 강의와 워크샵을 통해 고찰한다.재료공학부
전산소성역학 교과목에서는 금속, 폴리머, 복합재료의 소성 및 비탄성 거동을 대표적인 전산모사법인 유한요소법에 적용하기 위한 기초 이론 및 수치해석법을 다룬다. 특히, 본 교과목을 통해 다양한 소재에 적용 가능한 탄-소성 구성방정식을 중심으로, 이를 수치적으로 적분하기 위한 알고리즘 및 유한요소 정식화 방법을 습득하며, 복잡한 하중 (및 공정) 조건에서의 소재의 거동을 모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최근 멀티스케일 전산모사법의 일종으로 관심을 끌고 있는 결정소성 유한요소법의 기초 이론과 수치해석적 방법도 본 교과목에서 다루고자 한다. 본 교과목은 재료공학, 기계공학, civil 공학을 전공하는 대학원생을 주 대상으로 한다.영어교육과
교사를 위한 영어음성학으로서 ,발성의 생리학과 소리의 물리학을 다루며, 영어 음소들의 조음음성학적인 고찰과 함께 이들의 정확한 청취와 발음을 목적으로 한다.치의학과
본 강좌는 융합형 치의학자를 양성하기 위하여, 치의학대학원 학사과정 학생들이 인문학적 사유를 통해 self-leadership과 공동체적 리더십을 함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서양의 문명사에서 중요한 고전(classics)들을 역사적 흐름과 함께 읽고, 시대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인간의 삶에 중요한 의미를 지닌 self-leadership과 공동체적 리더십의 핵심 요소를 규명해본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치의학자로서의 자신의 삶을 인문학적으로 성찰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하도록 한다.
loading...
치의학대학원 치의학과 / 학사
2025-2학기
권장 선수과목 치의학신입생세미나(M2189.000100) , 생명과학을 위한 수학 1(F31.111)
본 강좌는 융합형 치의학자를 양성하기 위하여, 치의학대학원 학사과정 학생들이 인문학적 사유를 통해 self-leadership과 공동체적 리더십을 함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서양의 문명사에서 중요한 고전(classics)들을 역사적 흐름과 함께 읽고, 시대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인간의 삶에 중요한 의미를 지닌 self-leadership과 공동체적 리더십의 핵심 요소를 규명해본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치의학자로서의 자신의 삶을 인문학적으로 성찰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하도록 한다.
Kant on Morality, Humanity, and Legality : Practical Dimensions of Normativity
Kant on Morality, Humanity, and Legality : Practical Dimensions of NormativitySociological theory : classical founders and contemporary perspectives
Sociological theory : classical founders and contemporary perspectives
The sociology of health, healing, and illness
The sociology of health, healing, and illness
Reflections on the Marxist theory of history
Reflections on the Marxist theory of history
Architectonics of humanism : essays on number in architecture
Architectonics of humanism : essays on number in architecture
최신 오경 연구 개론
최신 오경 연구 개론
The American law of slavery, 1810-1860 : considerations of humanity and interest
The American law of slavery, 1810-1860 : considerations of humanity and interest
社会认识论 : 科学,科技与社会 = Social epistemology :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社会认识论 : 科学,科技与社会 = Social epistemology :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Action and agency : Fourth Round Table on Law and Semiotics
Action and agency : Fourth Round Table on Law and Semiotics
Expressivism, pragmatism and representationalism
Expressivism, pragmatism and representationalism
Social science in public relations : a survey and an analysis of social science literature bearing upon the practice of public relations
Social science in public relations : a survey and an analysis of social science literature bearing upon the practice of public relationsAccess to higher education
Access to higher educationMeaning, dialogue and enculturation : phenomenological philosophy of education
Meaning, dialogue and enculturation : phenomenological philosophy of education
Humanismus
Humanismus
Structure and agency in young people's lives : theory, methods and agendas
Structure and agency in young people's lives : theory, methods and agendas
Truth without objectivity
Truth without objectivity
Sociology and complexity science : a new field of inquiry
Sociology and complexity science : a new field of inquiry
Mind, language, and subjectivity : minimal content and the theory of thought
Mind, language, and subjectivity : minimal content and the theory of thought
Reality and Humean supervenience : essays on the philosophy of David Lewis
Reality and Humean supervenience : essays on the philosophy of David Lewis
인간의 흑역사 : 인간의 욕심은 끝이 없고 똑같은 실수를 반복한다
인간의 흑역사 : 인간의 욕심은 끝이 없고 똑같은 실수를 반복한다
흐르는 강물처럼 =
흐르는 강물처럼 =
원씽 : 복잡한 세상을 이기는 단순함의 힘
원씽 : 복잡한 세상을 이기는 단순함의 힘
회복탄력성 : 시련을 행운으로 바꾸는 마음 근력의 힘
회복탄력성 : 시련을 행운으로 바꾸는 마음 근력의 힘
소중한 것을 먼저 하라 : 스티븐 코비의 제4세대 시간경영
소중한 것을 먼저 하라 : 스티븐 코비의 제4세대 시간경영
그렇게 이 자리에 섰습니다 : 여성 세계사의 변곡점 위에 섰던 비범한 그녀들의 강렬한 연설 50
그렇게 이 자리에 섰습니다 : 여성 세계사의 변곡점 위에 섰던 비범한 그녀들의 강렬한 연설 50
파이데이아 : 고대 그리스의 교육사상 =
파이데이아 : 고대 그리스의 교육사상 =
하루 15분 정리의 힘 : 삶을 다시 사랑하게 되는 공간, 시간, 인맥 정리법
하루 15분 정리의 힘 : 삶을 다시 사랑하게 되는 공간, 시간, 인맥 정리법연금술사 : 파울로 코엘료 장편소설
연금술사 : 파울로 코엘료 장편소설
생각하는 여자는 위험하다 : 그리고 강하다
생각하는 여자는 위험하다 : 그리고 강하다
성과 텍스트의 정치학
성과 텍스트의 정치학
회복탄력성 : 시련을 행운으로 바꾸는 유쾌한 비밀=
회복탄력성 : 시련을 행운으로 바꾸는 유쾌한 비밀=
통찰과 포용
통찰과 포용영산신학저널
최성훈Philosophies
Gillam W.J.Verbum et Ecclesia
Magezi C.시대와 철학
현남숙; 김영진倫理硏究
정대성Inquiry (United Kingdom)
Gardiner G.聊城大学学报(社会科学版) / Journal of Liaocheng University (Social Sciences Edition)
崔洁; 毛明芳; CUI Jie; MAO Ming-fang한국언어문학
박미경Russian Sociological Review
Reznikov D.Sociological Review
McNarry G.,Allen-Collinson J.,Evans A.B.Journalism Practice
Thorbjørnsrud K.,Figenschou T.U.Digithum
Cyfer I.SPIRITUALITY STUDIES
Sotillos, Samuel Bendeck한국행정사학지
김태희辽宁大学学报(哲学社会科学版) / Journal of Liaoning University(Philosophy & Social Sciences)
张倩; ZHANG QianOpen Journal of Philosophy
Denis LarriveeChristian Education Journal
Williams, JayThe Wordsworth Circle
Ateeb GulCulture, Theory and Critique
Zeitz C.D.Ethical Thought
Troitskiy K.E.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대학원
산업 혁명 이후부터 지속된 과학 및 기술의 발달로 현대 사회는 과거에는 상상하지 못했던 많은 혜택을 누리고 있다. 하지만, 과도한 화석 연료 사용에 의한 기후 위기, 생명과학 발전에 의한 생명윤리 문제, 인공 지능이 가져올 사회적 변혁 등 새로운 사회문제 및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걱정이 그 어느 때 보다 높다. 인류가 직면한 이러한 문제들은 모두 과학적 현상 또는 과학 기술이 불러온 철학적인 문제로, 깊이 있는 과학적 사실에 기초하여 이해하고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 강의에서 학생들은 과학과 기술의 발전이 불러온 다양한 사회적 문제들의 이론적 배경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노력에 대해 알아보게 된다.전필 / 학사
통합사회는 인간, 사회, 국가, 지구 공동체의 문제를 개별 학문의 경계를 넘어 통합적인 관점에서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회적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며, 미래 사회에 필요한 기초 소양과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과목이다. 본 강의는 교육 현장에서 통합사회 과목을 가르칠 때 필요한 교사 전문성을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플립러닝(Flipped Learning)을 포함한 강의와 토의·토론 학습, 프로젝트 학습, 웹/미디어 활용 학습, 수업 지도안 작성, 수업 시연, 수업 관찰 및 분석, 평가 문항 개발 등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한다.전선 / 대학원
최근 인공지능은 사회의 다양한 영역으로 확산되면서 많은 인문사회과학적 문제들을 제기하고 있다. 이에 본 과목은 사회 각 영역에서 전개되고 있는 AI 기술의 양상들을 살펴보고, 이것을 둘러싼 이슈와 함의를 미디어 이론, 기술 철학, 문화 이론 등 다양한 관점에서 논의한다. 이를 통해 AI와 현대 기술문화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이해를 제공하고자 한다.전선 / 대학원
본 교과목은 예술의 본질을 묻는 예술철학의 기본 이념을 설명하면서 현대 철학의 경향 속에서 예술철학이 차지하는 위치를 파악하고현대의 대표적인 예술철학의 사례들을 그들이 기초하고 있는 방법론에 기준하여 검토한후 이 방법론에 대한 철학적 탐색 작업에 특히 치중하여 현대 예술철학의 한계와 가능성을 보다 심도 있게 연구한다.전선 / 대학원
이 과목은 형이상학의 고전적 텍스트들을 토대로 형이상학의 주요 주제를 선택하여, 학생들의 발표와 토론을 통해 형이상학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킴을 목표로 한다. 교재로 사용될 수 있는 텍스트는 Parmenides, Herakleitos, Platon, Aristoteles, Plotinos, Augustinus, Thomas Aquinas, Descartes, Spinoza, Leibniz, Kant, Hegel, Schelling, Nietzsche, Bergson, Heidegger, Whitehead 등의 형이상학 관련 저작들이다.전선 / 대학원
러시아혁명 이후 프롤레타리아 문학관을 기초로 형성된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비평과 작품을 개관한다. 또한 이전 시기에 형성된 비판적 리얼리즘을 비교한다. 이 과정에서 솔제니친으로 대표되는 소비에트 시기의 반체제 문학을 심도 있게 다룬다.전선 / 대학원
본 강의는 20세기 후반 이후 전개되어 온 현대 종교학의 이론적 문제들에 대한 핵심적 세미나이다. 역사적·현상학적 연구와 비교 연구 및 철학, 심리학, 그리고 특히 심리학, 사회학, 인류학 등의 다양한 보조과학적 연구 성과들을 총체적으로 수렴해 보며 동시에 다양한 종교현상들을 분석함으로써 이러한 이론적,방법론적 안목들에 익숙하게 하는 데에 본 강의의 목적이 있다.전선 / 대학원
이 과목에서는 인류학의 다양한 학설들이 발전해 나온 과정에 대한 검토를 통해 인류학이라는 학문이 지닌 특성과 인류학의 주요 개념이나 이론, 그리고 방법들에 대한 학생들의 전반적 이해를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이 과목에서는 서구 학문에서 인류학이 하나의 분과학문으로서 등장하게 된 역사적 배경을 살피고, 이어 19세기 후반기를 풍미했던 진화주의의 이론과 방법론적 특성을 고찰한다. 다음에 20세기 전반기에 진화주의에 대한 반발로 등장한 전파주의, 기능주의, 역사적 특수주의 등의 관점을 대비적으로 고찰한다. 나아가 신진화주의, 구조주의, 민족과학, 행위이론, 네오마르크스주의, 해석주의, 포스트모더니즘 등 20세기 중반기 이후 인류학의 주요 이론적 사조들에 대해 그 대표적 이론가들의 업적을 중심으로 학습한다.전선 / 대학원
본 강의는 현대 종교철학의 가장 핵심적인 문제인 종교 다원주의와 종교간 대화의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루는 세미나이다. 트뢸치, 스미스, 융 및 영속철학의 기초적 배경 이론, 현대종교의 보수주의, 진보주의와 보편종교신학 및 포스트모던 신학에서 제시되고 있는 여러 형식의 종교 다원주의들을 유형화하고, 그 한국적 의미를 비교종교학적 안목에서 재평가하는 것을 그 구체적인 내용으로 한다.전선 / 대학원
본 교과목은 작품의 해석과 평가 등 미술비평에 있어서 미학적인 문제가 되는 쟁점들을 체계적으로 검토하고 아울러 쟁점들에 대한 각각의 이론이 지니는 의의와 한계를 심도 있게 비교, 검토한다.전선 / 대학원
본 과목에서는 환경재료과학에 관련된 연구과제에 대해 발표하고 토론한다. 각자에게 할당된 환경재료과학관련 주제를 탐구하여 보고서를 작성한다. 작성된 내용을 다양한 방법으로 전달하고 토론하는 경험을 통해 환경재료과학 연구에 대한 이해를 함양시킨다.전선 / 대학원
이 강의는 원전 연구를 통해 아우구스티누스를 비롯한 주요 교부철학자들의 사상과 스콜라 철학의 핵심적인 쟁점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원전에서 논의되고 있는 문제 해결 시도에 관한 철학적인 평가에 가장 큰 비중이 주어지지만, 이에 못지않게 문제의 성립배경 등 논의와 연관된 기타 역사적인 맥락에 관한 지식까지 포괄하는 종합적인 안목을 키우는 노력도 중시된다. 수강자는 특히 원전 해석에 관한 후대의 중요한 연구 성과에 대해서도 일정 수준 이상의 지식을 갖추도록 요구받게 될 것이다.전선 / 학사
이 과목은 세계 전체의 구조와 구조원리, 세계 내에서의 인간의 지위와 인생의 의미, 세계의 존재근거와 신의 존재여부, 세계와 신 그리고 인간의 상호관계와 같은 근본적인 문제들을 고찰한다. 수업은 각 주제들에 대한 강의 및 토론 그리고 각 주제와 관련된 고전들에 대한 강독으로 진행된다.전선 / 학사
이 강좌는 공학도에게 건축을‘보여’준다. 칸트가 정의한‘진’의 범주를 건축이나 공학에 적용하면 구조나 얼개가 정확하여 잘 작동하는지 따지는데 해당한다. ‘선’의 범주는 착한 가격 같은 표현에서 볼 수 있듯이 제품의 경제성, 건설 제작 가능성을 가늠하여 좋고 나쁨을 가리는 범주에 속한다. ‘미’의 범주는 다양한 아름다움을 눈으로 보고 판단하는 인식 기관의 활동 범주에 속하는데 이는 건축과 공학의 어떤 부분에 해당할까? 이 강좌에서는 각 시기에 이룬 다양한 건축물 중 대표작 하나를 선정하여 각 공간의 창의적 구성 방식을 살펴보고 그 미적 효과를 감상한다. 더불어 건축을 건축가, 건축주, 건설인, 사용자나 동서양 문화권이 서로 주도권을 주장하는 경쟁 관계로 보는 좁은 시각에서 벗어나 매 시기 새로운 공간과 건축 형식을 발견해 가면서 이룩한 인류 공동 문화유산으로 본다. 이러한 건축 문화적 협동 과정을 담당한 주체를 현생 인류인 호모 사피엔스(슬기 사람)중에서도 호모 사피엔스 아키텍투스 (건축 지은 슬기 사람) (줄여서 호모 아키텍투스/ 건축 지은 사람)이라 부르고자 한다. 이 강의는 진선미를 두루 갖춘 인류 건축 문화 유산을 다각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건축학도를 포함하는 공학도가 갖추어야할 진정한 창의 의식을 기르는데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한다.전선 / 대학원
본 세미나는 응용 윤리의 대표적 주제들을 이론적 근거에 입각하여 다룬다. 이를 통해서 현대 사회의 여러 분야에서 발생하는 복잡한 윤리 문제들을 어떻게 바라보며 어떻게 그 해법을 찾을 수 있는지에 관해 검토한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현대의 인간의 삶에서 나타나는 환경문제, 삶과 죽음의 문제, 빈부격차의 문제, 사형제도, 처벌, 사회정의 문제 등 실천윤리의 연구 과제를 폭넓게 연구하고 이러한 사회문제들을 윤리적으로 해명하는 길을 모색한다.전선 / 학사
칸트는 철학의 과제를 ‘나는 무엇을 알 수 있는가’, ‘나는 무엇을 행해야 하는가’, ‘나는 무엇을 희망해도 좋은가’라는 세 가지 물음으로 제시한 후, 이 모든 물음이 ‘인간이란 무엇인가’라는 하나의 물음으로 수렴된다고 말한 바 있다. 이처럼 ‘인간이란 무엇인가’를 탐구하는 인간학은 실용적 인간학과 철학적 인간학으로 나눌 수 있는데, 전자가 주로 인간에 관해 경험적 이해를 도모한다면 후자는 인간을 어느 특정 분과 학문이나 접근법을 통해서가 아니라 종합적이고 반성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그러므로 철학적 인간학은 모든 학문의 근본이자 윤리학의 기초학이라 할 수 있다. 본 강의는 철학적 인간학의 근본 과제와 방법론, 그리고 인간 이해의 핵심적 관건을 다룬다.전필 / 학사
이 과목의 목적은 학생들로 하여금 사회과학 방법론의 의의를 인식하고, 사회현상을 과학적으로 탐구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회과학 방법론의 특징 및 인식론적 기초에 대한 이해 위에서, 사회현상에 대한 문제의식을 경험적 자료에 의하여 확인할 수 있는 가설로 설정하고 검증하는 양적 연구 방법을 주로 다룬다. 구체적으로는 사회과학 연구의 절차, 연구 문제 및 연구 가설 설정, 연구 설계, 자료 수집 방법, 통계 분석 방법, 연구 윤리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