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기계공학부
유체역학의 기초 교과목으로서 유체의 성질, 유체 내의 압력분포, 제어체적에 대한 적분관계식, 유체질점에 대한 미분관계식, 차원해석과 상사성 및 덕트내의 점성유동 등을 학습한다. 이를 통하여 유체역학의 기초원리를 이해하고 실제문제에 응용하기 위한 능력을 배양한다.기계공학부
본 강좌는 유한요소법의 이론적 측면에 중심을 두어, 유한요소법의 기본적 개념, 정적 및 동적 해석을 수행하기 위한 수학적 정식화 과정, 효율적인 계산 수행을 위한 수치 알고리즘에 대한 고찰등에 대해 논의한다.체육교육과
새로운 학문분야로 발전한 스포츠학의 포괄적 이해를 도모한다. 스포츠학의 학문적 발전과정을 살펴보고, 인문사회, 자연과학 등 각 전공 분야에 대하여 전반적인 이해를 갖는다. 다양한 체육현상의 공통요소에 대한 본질적 탐색을 바탕으로 스포츠학의 학문적 특성을 파악한다.기계공학부
본 교과목은 기계공학의 기본 과목의 하나인 열역학의 여러 개념들을 이해함으로써 공학적 응용력의 배양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열역학의 기본 법칙들인 열역학 제1법칙과 제2법칙을 밀폐시스템 및 개방시스템에 대하여 적용함으로써 얻어지는 기본 지식들을 공식화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열역학적 상태량들의 변화를 계산하고, 복잡한 현상의 이해를 도모하기 위한 기본적인 물리적 개념을 확립시키는 학습이 수행된다.
loading...
공과대학 기계공학부 / 학사
2025-1학기
권장 선수과목 기계시스템 설계와 로봇 프로그래밍의 기초(M3228.001300) , 사물인터넷과 공학설계(M2177.008800)
본 교과목은 기계공학의 기본 과목의 하나인 열역학의 여러 개념들을 이해함으로써 공학적 응용력의 배양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열역학의 기본 법칙들인 열역학 제1법칙과 제2법칙을 밀폐시스템 및 개방시스템에 대하여 적용함으로써 얻어지는 기본 지식들을 공식화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열역학적 상태량들의 변화를 계산하고, 복잡한 현상의 이해를 도모하기 위한 기본적인 물리적 개념을 확립시키는 학습이 수행된다.
Thermodynamics : an introduction to the physical theories of equilibrium thermostatics and irreversible thermodynamics
Thermodynamics : an introduction to the physical theories of equilibrium thermostatics and irreversible thermodynamicsProblems and solutions to accompany McQuarrie and Somon molecular thermodynamics
Problems and solutions to accompany McQuarrie and Somon molecular thermodynamics
The thermodynamics of phase and reaction equilibria
The thermodynamics of phase and reaction equilibria
Vapor pressure of chemicals
Vapor pressure of chemicals
Basic thermodynamics
Basic thermodynamics
The Thermodynamics of electrical phenomena in metals, and condensed collection of thermodynamic formulas
The Thermodynamics of electrical phenomena in metals, and condensed collection of thermodynamic formulas
Thermodynamic properties of ferric oxychloride and low-temperature heat capacity of ferric trichloride
Thermodynamic properties of ferric oxychloride and low-temperature heat capacity of ferric trichloride
Thermodynamics of irreversible processes
Thermodynamics of irreversible processes
Thermodynamik der Mischphasen : mit einer Einführung in die Grundlagen der Thermodynamik
Thermodynamik der Mischphasen : mit einer Einführung in die Grundlagen der Thermodynamik
Thermodynamics and its applications
Thermodynamics and its applicationsEnthalpy of formation of 2CdO.CdSO4
Enthalpy of formation of 2CdO.CdSO4
Thermodynamics of silicates
Thermodynamics of silicates
Fundamentals of thermodynamics
Fundamentals of thermodynamics
열역학 =
열역학 =
Fundamentals of thermodynamics
Fundamentals of thermodynamics
Thermodynamics of multicomponent System
Thermodynamics of multicomponent SystemIntroduction to metallurgical thermodynamics
Introduction to metallurgical thermodynamics
Gibbs energy and helmholtz Energy : liquids, solutions and vapours
Gibbs energy and helmholtz Energy : liquids, solutions and vapoursA course in thermodynamics
A course in thermodynamicsThermodynamics
Thermodynamics
Fundamentals of thermodynamics
Fundamentals of thermodynamics
Fundamentals of thermodynamics
Fundamentals of thermodynamics
Fundamentals of thermodynamics
Fundamentals of thermodynamics
Fundamentals of thermodynamics
Fundamentals of thermodynamics
(최신)공업열역학
(최신)공업열역학
Fundamentals of thermodynamics
Fundamentals of thermodynamicsActa Materialia
Lejček P.,Hofmann S.Thermochimica Acta
Sankovich A.,Myshkovskaia T.,Markin A.,Smirnova N.,Zvereva I.International Journal of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황성록; 이형주; 박원태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Baklanov A.V.,Kiselev V.G.Langmuir
Ma M.C.,Song J.W.,Fan L.W.Geomechanics and Geophysics for Geo-Energy and Geo-Resources
Abdulagaov I.M.,Abdulagatova Z.Z.,Kallaev S.N.,Omarov Z.M.Journal of Molecular Liquids
Jun W.,Tianlong Z.,Ziwen D.,Haicheng L.,Chunxiang H.,Na L.,Xueni S.,Hui S.,Lv Q.Applied Sciences (Switzerland)
Palmay P.,Mora M.,Barzallo D.,Bruno J.C.Metallurgical and Materials Transactions A: Physical Metallurgy and Materials Science
Afolabi O.C.,Sada H.,Olaye O.,Ojo O.A.ACTA POLONIAE PHARMACEUTICA
Sip, Szymon; Zalewski, Przemyslaw; Palubicka, Anna; Cielecka-Piontek, JudytaJournal of Phase Equilibria and Diffusion
Flores, Agustin; Chatain, Sylvie; Fossati, Paul; Stein, Frank; Joubert, Jean-MarcJournal of Molecular Liquids
Rasel Ahmed M.,Abdul Rub M.,Idrish Ali M.,Rana S.,Rahman M.,Kumar D.,Asiri A.M.,Anamul Hoque M.CALPHAD-COMPUTER COUPLING OF PHASE DIAGRAMS AND THERMOCHEMISTRY
Kobertz, DietmarCase Studies in Thermal Engineering
Yao Y.,Han Z.,Tian W.,Wu X.,Wu Y.,Yan Y.,Xia Q.,Fang J.,Luo L.,De Weireld G.Physical Chemistry Chemical Physics
Sanchez-Segado S.,Lectez S.,Jha A.,Stackhouse S.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배승용, 고권현, 유홍선, 노경철Journal of Molecular Liquids
Zhou X.,Hou H.,Wang J.,Zhang L.,Shi H.,Lan Y.,Du Y.,Yang J.,Liu C.Journal of Phase Equilibria and Diffusion
Kumar, Shanker; Thakur, Abhishek Kumar; Jindal, Vikas; Muralidharan, KrishnaRussian Journal of Physical Chemistry A: Focus on Chemistry
Bespyatov, M. A.; Chernyaikin, I. S.; Kuzin, T. M.; Musikhin, A. E.; Gel’fond, N. V.Russian Journal of Inorganic Chemistry
P. G. Gagarin; A. V. Gus’kov; V. N. Gus’kov; O. N. Kondrat’eva; G. E. Nikiforova; K. I. Pechkovskaya; M. A. Ryumin; A. V. Tyurin; A. V. Khoroshilov; N. N. Efimov; K. S. Gavrichev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대학원
고전열역학 및 통계열역학의 기본지식들을 간략히 소개하고, 지금까지 알려진 유체 물성에 대한 이론적인 근거들을 더욱 확장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평형, 유체의 물성을 검토하고 각종 상태 방정식, 기체혼합물의 퓨개시티, 액체혼합물의 퓨개시티, 용액 중 기체의 용해도, 고체의 용해도, 그리고 고압평형 등에 대한 이론적 모델들의 장단점을 비교 검토한다.전선 / 대학원
본 교과목에서는 재료의 상평형에 관한 기본적인 개념과 다양한 상변태 과정을 포함하는 2 원 상태도의 체계적인 이해를 기초로 하여, 궁극적으로 다성분 시스템의 상태도에 관한 내용을 심도있게 다루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과목은 단순히 열역학적 평형 관계 뿐 아니라 동역학적 변화가 재료의 상변화에 미치는 영향과 비평형 상태에서의 상변화 등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포함한다. 특히, 3 원계와 4 원계 합금 시스템에서 열역학적 인자의 변화에 따른 상변화 과정 및 냉각 경로에 따른 상변화 과정 등의 차이에 대한 체계적인 고찰을 통하여 다성분계 상태도에 대한 이해를 꾀하고자 한다. 본 과목을 통하여 재료연구의 첨단에 있는 다양한 재료관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소재 선정 및 신공정 설계를 행하는데 다성분계 상태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전선 / 학사
본 과목에서는 기존에 배운 유체역학, 열역학, 열전달 등에서의 지식을 확장하여, 높은 에너지를 가지는 시스템의 해석을 목표로 한다. 연소, 폭발, 레이저 조사 등에서와 같은 아주 빠르고, 상변화를 수반하는 시스템에서의 열 및 물질 전달 이론을 공부하여, 현실 속의 여러 고에너지 현상을 분석하는 안목을 기르고, 미래의 환경문제를 해결할 그린에너지 시스템도 다뤄질 것이다.전필 / 학사
본 강의는 열역학의 여러 개념들을 이해함으로써 공학적 응용력의 배양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열역학의 기본 법칙들인 열역학 제1법칙과 제2법칙을 밀폐시스템 및 개방시스템에 대하여 적용함으로써 얻어지는 기본 지식들을 공식화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열역학적 상태량들의 변화를 계산하고, 복잡한 현상의 이해를 도모하기 위한 기본적인 물리적 개념을 확립시키는 학습이 수행된다.전선 / 학사
유체혼합물의 열역학적 특성에 관하여 광범위하게 검토하고 화공기술자의 전문분야인 상 및 화학평형을 열역학적으로 취급하여 평형상태를 계산하는 방법과 공정에 사용되는 에너지의 효율성을 검토한다.전선 / 학사
에너지 발생 시스템의 제반 물리화학적 특성을 해석하기 위한 기초 교과목으로서, 주요 강의내용은 열역학 법칙, 화학물질의 특성과 물질의 상태 방정식, 화학반응의 평형조건, 통계물리 및 기체운동 이론, 전기화학 등을 다룬다. 이를 통하여 원자력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여러 가지 핵재료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물리화학적 해석에 필요한 지식의 토대를 구축한다.교양 / 학사
<화학 1>에서는 물질을 정량적으로 다루기 위해 필수적인 화학량론적 기본 개념을 습득하고, 기체, 액체, 용액 등에서 일어나는 화학적 변화 과정을 유형별로 살펴 본다. 또한 이러한 화학적 변화과정이 열역학적인 관점에서 어떻게 해석될 수 있는지를 살펴본다.전필 / 학사
물리화학에서 배운 열역학적 개념 및 지식을 더욱 확장하고 재료공학도로써 필요한 기본적인 열역학적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내용을 예를 들어 상평형, 열용량 용액의 열역학적 성질, 자유에너지와 상평형도의 관계 등에 관한 부분을 중점적으로 다룬다.전선 / 학사
이 교과목에서는 농업생명과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에너지의 전환, 물질의 상태 변화, 화학 반응 등 각종 화학적 현상을 물리적 지식을 바탕으로 설명하는 학문 분야인 물리화학을 강의하고자 한다. 특히 생물학 및 생화학적 관점에서 중요한 물리화학의 주제들을 다루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열역학 법칙, 엔탈피와 엔트로피, 물과 수용액, 자유에너지와 화학 평형, 상평형, 이온 및 전자 전달을 포함한 전기화학, 속도반응론과 메커니즘, 생분자의 구조 및 기능, 분광학 등 물리화학의 여러 분야를 고루 강의하고자 한다.전선 / 학사
물리화학은 물리학 지식을 바탕으로 각종 화학적 현상을 설명하는 대표적인 융합학문으로, 본 수업에서는 물리화학의 다양한 세부 분야 중 가장 기초적인 분야라고 할 수 있는 열역학의 기본 개념과 응용에 대하여 가르치고자 한다. 강의 전반부에서 학생들은 순물질, 혼합물질의 상거동 문제를 풀기 위해 필요한 기초 열역학 개념, 내부에너지, 열역학 제1법칙, 엔탈피, 상태방정식, 엔트로피, 열역학 제2법칙, 이탈도, 상평형 등의 핵심 열역학 지식을 배운다. 순물질에 대한 간단한 상거동 문제를 통해 학생들의 열역학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강의의 후반부에서 학생들은 상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혼합물의 복잡한 상거동 문제를 푸는 실습을 한다.전필 / 학사
온도, 압력, 체적 등 외부의 거시적 양에 따른 물질의 화학적 물리적 변화의 속도를 다루는 화학반응 속도론을 공부한다. 열역학으로 기술되는 거시적 물성을 원자/분자 수준의 특성에서 설명하는 통계열역학의 개념을 다룰 것이다. 더불어, 화학 반응 속도론을 거시적이고 현상적인 수준부터 분자/원자/전자 수준의 움직임까지 포괄적으로 배울 것이다.전선 / 학사
본 과목에서는 물리화학 1과 물리화학 2를 배운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통계열역학, 화학반응 속도론, 반응 동력학, 표면 화학 등의 기본 원리에 대하여 공부한다. 기체상, 액체상 및 고체 표면에서 일어나는 화학반응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기 위하여 양자 및 통계역학에 기초한 이론적 접근법과 함께 최근 눈부시게 발전하고 있는 첨단 물리화학 실험 방법론들도 소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