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체육교육과
본 강좌의 목표는 스포츠와 관련된 법적 이슈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법적 권리와 스포츠 팬, 에이전트, 코치, 의사, 기자 등의 책임에 대해 익숙해 질 것이며, 스포츠 법의 맥락에서 다양한 이슈들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학생들이 의뢰인의 권리와 책임에 대하여 조언하고 불법행위, 계약, 민사, 헌법, 자산 등과 관련된 법적 문제를 해결할 때, 법을 적용하는데 있어 도움이 될 것이다.산림과학부
농생대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과목으로서 산림과학부 산림환경학전공 또는 환경재료과학전공을 선택하고자하는 학생들에게 산림환경학과 환경재료과학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도모하기 위하여 만든 과목이며, 동시에 신입생을 대상으로 하여 대학생활에 대한 학문적인 길잡이 노릇을 할 수 있도록 배려한다. 또한 앞으로 4년간 배우게 될 학과목의 개요를 접하며, 아울러 각 과목의 담당교수들로부터 직접 설명을 들을 기회를 가짐으로서, 앞으로 전공과목을 선택할 때 도움을 주기 위한 과목이다.치의학과
이 교과목은 학사과정의 세 가지 프로젝트가 지향하는 인성, 지성, 심성 중에서 인성을 주요 목표로 하는 첫 번째 과정이다. 치과의사는 궁극적으로 인간을 만나는 직업이기 때문에 역량 있는 치과의사가 되기 위해서는 인간 존재와 인간의 삶을 이해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학생들은 인간 존재와 인간의 삶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위해 독서와 토론을 포함한 다양한 탐구를 팀기반으로 진행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은 인간이해에 대한 각성과 깨달음을 창의적으로 재해석하여 산출물로 표현해 낸다. 이 수업의 주안점은 변화무쌍하고 불확실한 인간 존재와 삶의 속성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인간의 삶에 대한 깊이 있는 질문을 던지며, 이러한 질문을 통해 인간 삶의 불확실성과 변화를 개방적으로 수용하고 삶의 의미를 탐구하는 것이다.
loading...
치의학대학원 치의학과 / 학사
2025-2학기
권장 선수과목 치의학신입생세미나(M2189.000100) , 생명과학을 위한 수학 1(F31.111)
이 교과목은 학사과정의 세 가지 프로젝트가 지향하는 인성, 지성, 심성 중에서 인성을 주요 목표로 하는 첫 번째 과정이다. 치과의사는 궁극적으로 인간을 만나는 직업이기 때문에 역량 있는 치과의사가 되기 위해서는 인간 존재와 인간의 삶을 이해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학생들은 인간 존재와 인간의 삶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위해 독서와 토론을 포함한 다양한 탐구를 팀기반으로 진행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은 인간이해에 대한 각성과 깨달음을 창의적으로 재해석하여 산출물로 표현해 낸다. 이 수업의 주안점은 변화무쌍하고 불확실한 인간 존재와 삶의 속성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인간의 삶에 대한 깊이 있는 질문을 던지며, 이러한 질문을 통해 인간 삶의 불확실성과 변화를 개방적으로 수용하고 삶의 의미를 탐구하는 것이다.
Story, performance, and event : contextual studies of oral narrative
Story, performance, and event : contextual studies of oral narrative
Towards an Ontology of Teaching : Thing-centred Pedagogy, Affirmation and Love for the World
Towards an Ontology of Teaching : Thing-centred Pedagogy, Affirmation and Love for the World
Talk in action : interactions, identities, and institutions
Talk in action : interactions, identities, and institutions
Witness to extinction : how we failed to save the Yangtze River dolphin
Witness to extinction : how we failed to save the Yangtze River dolphin絵かきが語る近代美術 : 高橋由一からフジタまで
絵かきが語る近代美術 : 高橋由一からフジタまでEthics and aesthetics : the moral turn of postmodernism
Ethics and aesthetics : the moral turn of postmodernism
Management and the arts
Management and the arts
Sensing the future : moholy-nagy, media and the arts
Sensing the future : moholy-nagy, media and the arts
Divided consciousness : multiple controls in human thought and action
Divided consciousness : multiple controls in human thought and actionThe starlight barking : more about the hundred and one Dalmatians
The starlight barking : more about the hundred and one Dalmatians
Martha Graham : gender & the haunting of a dance pioneer
Martha Graham : gender & the haunting of a dance pioneer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voluntary action : reshaping the third sector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voluntary action : reshaping the third sector
Semiotics and fieldwork
Semiotics and fieldwork
Reflection and action
Reflection and action
The vocation of a teacher : rhetorical occasions, 1967-1988
The vocation of a teacher : rhetorical occasions, 1967-1988
Three ages of musical thought : essays on ethics an aesthetics
Three ages of musical thought : essays on ethics an aesthetics
Consciousness in action
Consciousness in action
Faith of our foremothers : women changing religious education
Faith of our foremothers : women changing religious education藝術評論.
藝術評論.
A life in the arts : practical guidance and inspiration for creative and performing artists
A life in the arts : practical guidance and inspiration for creative and performing artists
모두 거짓말을 한다 : 구글 트렌드로 밝혀낸 충격적인 인간의 욕망
모두 거짓말을 한다 : 구글 트렌드로 밝혀낸 충격적인 인간의 욕망옳고 그름
옳고 그름
모두 거짓말을 한다 : 구글 트렌드로 밝혀낸 충격적인 인간의 욕망
모두 거짓말을 한다 : 구글 트렌드로 밝혀낸 충격적인 인간의 욕망
동물과 인간
동물과 인간
바른 마음 : 나의 옮음과 그들의 옮음은 왜 다른가
바른 마음 : 나의 옮음과 그들의 옮음은 왜 다른가
프로젝트기반학습 입문서 : 중등교사를 위한 기준중심 프로젝트기반학습 안내서
프로젝트기반학습 입문서 : 중등교사를 위한 기준중심 프로젝트기반학습 안내서
잃어버린 치유의 본질에 대하여 : 노벨상 수상자 버나드 라운이 전하는 공감과 존엄의 의료
잃어버린 치유의 본질에 대하여 : 노벨상 수상자 버나드 라운이 전하는 공감과 존엄의 의료Digital Scholarship in the Humanities
Roach R.Missouri Review
Rice, K.Religions
Trenson S.스페인어문학
배지완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analysis
Ogden, Benjamin H.美育学刊 / Journal of Aesthetic Education
肖匀艺; 刘宣文; 应通; 张英萍; XIAO Yun-yi; LIU Xuan-wen; YING Tong; ZHANG Ying-pingHarmonia: Journal of Arts Research and Education
Jazuli M.,Suharji ,Pebrianti S.I.COMPUTING IN SCIENCE & ENGINEERING
Tan, Chiin-RuiBIBLE TRANSLATOR
Giffin, Ryan KristopherVictorian Literature and Culture
Helen Kingstone현대영미소설
최지안Journal of Coaching Development
Hae-Sung Lee芜湖职业技术学院学报 / Journal of Wuhu Vocational Institute of Techology
吴婕; WU Jie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김기태, 문신일HUMANITIES-BASEL
Herrero, Dolores; Royo-Grasa, PilarBritish Journal of Social Work
Kessler, Z.; Levy, S.; Smith, M.Comparative Education
Hang M. Le텍스트언어학
정희창Forum Qualitative Sozialforschung
Carter C.Studies in Religion-Sciences Religieuses
Bártová Z.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학사
본 교과목은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의 예술적 가능성에 관심이 있는 수강생들을 위해 기술과 예술이 만나는 접점에서 제기될 수 있는 다양한 주제의 논의들을 소개한다. 오늘날의 예술은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예술 창작을 위한 매체로 적극 활용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인공지능 자체도 기존의 문학작품, 회화 작품, 음악 작품과 유사한 것을 만들 수 있게 되었다. 그러한 사례들과 그들의 성취, 한계 등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는 예술적 논의이다. 그러한 사실로부터 출발하여, 근대 이래 합리적 이성의 대척점에서 인간의 감성 능력을 대변하는 것으로 간주되어 왔던 예술이 과연 인공지능에 의해서도 창작될 수 있는지를 예술의 개념과 예술철학의 논의와 연계하여 살펴본다. 이것이 예술 철학적 논의이다. 여기에는 ‘예술,’ ‘창의성,’ ‘상상’과 같은 개념들이 철학적으로 어떻게 이해되고 필요하다면 어떻게 재정의될 수 있는지, 그리고 궁극적으로 이 모든 것은 ‘인간’에 대한 어떤 성찰을 가져오는지에 대한 논의도 포함된다. 음악, 미술, 허구적 이야기 등 전통적인 장르뿐 아니라 새로운 매체로서의 게임과 가상현실도 다루면서 결국 예술이란 무엇이고 빅데이터 인공지능은 ‘예술’을 ‘창작’할 수 있는지를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갖도록 한다.전선 / 대학원
문학을 미술, 음악, 무용, 연극, 영화 등의 다른 예술과 비교하여 고찰해온 성과와 그 문제점을 검토하고, 새로운 비교연구를 시도한다.전선 / 대학원
프랑스 문학에 있어서 18세기는 오랫동안 문학의 세기라기보다 사상의 세기로 여겨졌다. 본 교과목은 18세기의 문학을 재조명하고 그것이 사회와 가졌던 연결점들을 고찰함으로써 계몽사상과 계몽주의적 문학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세우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로 몽테스키외, 볼테르, 루소 등의 작품세계를 다루게 될 것이다.전선 / 대학원
본 과목은 조경의 근원적인 모태가 되는 서양의 정원예술에 관한 이론을 이해하고 이를 근거로 정원 작품을 해석하는 방법을 다룬다. 르네상스 이후 다양한 정원이론서의 내용을 습득하고, 정원예술가들의 설계의 관점과 방식을 이해한다. 구체적인 정원 작품의 사례의 해석과 분석을 위해서 다양한 장르의 예술과 문화의 상관관계 속에서 정원예술을 조망한다. 현대문화와 조경에서 정원예술에 지니는 위상과 의미에 관해서도 점검한다. 본 과목을 통하여 수강생들이 풍부한 정원론을 접하고 정원 작품의 해석 능력을 키워 문화예술의 관점에서 정원을 폭넓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전선 / 대학원
이 교과목은 최근의 치카나페미니즘에 이르기까지 라티노문학의 대표적인 텍스트들을 심도 있게 다루고 그 경계문학적 함의를 고찰함으로써 스페인어권 문학 연구의 외연을 넓히는 데에 목표가 있다.전선 / 대학원
인문의학은 건강과 질병의 경험을 탐구하기 위해 건강과 보건의료 분야를 인문학 및 예술과 광범위하게 연결하는 학제간 연구이다. 이 강좌는 인문의학 석사 또는 이에 해당하는 훈련을 받은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한다, 학생들은 이 강좌에서 의학과 관련된 인문학(철학, 윤리학, 역사학, 비교문학, 종교학), 사회과학(심리학, 사회학, 인류학, 문화학, 지리학), 예술(문학, 영화, 시각 예술)의 주제들을 탐구하며, 이를 의학교육, 진료, 또는 의학 연구 현장에 응용할 수 있는 인문의학의 이론적 ㆍ실천적 역량을 키운다.전필 / 학사
악곡분석을 통해 음악에 대한 분석적 이해력을 함양함으로써 작품해석능력을 높인다. 분석할 악곡으로 학과/전공별 특성에 맞는 악곡을 선택하며, 4개 학기(또는 2개 학기) 동안 단계별 학습이 이루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