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기계공학부
이 과목은 (1) 비전통적 방식의 특수제조공정 및 적층가공 등 다양한 첨단제조공정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 (2) 각 공정에 적용되는 기본적인 물리 현상, 재료 과학 및 공정 모델에 대한 학습, (3) 첨단제조공정을 이용한 기존 및 새로운 응용 분야에 대한 소개를 그 목적으로 한다. 가공 정밀도를 평가하는 주요 정밀계측법에 대해 소개하고 연삭가공, 초음파가공, 레이저빔가공, 전해가공, 방전가공, 이온/전자빔가공 등 특수가공 공정에 대해 학습한다. 또한 다양한 방식의 적층가공 기술에 대해 학습하고 각 방법의 특성 및 활용범위, 한계에 대해 논의한다.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정변수 최적화 방안 및 네트웍으로 연결되어있는 제조공정 생태계에서 첨단제조공정의 활용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loading...
공과대학 기계공학부 / 대학원
2024-1학기
권장 선수과목 연속체역학(M2794.007100) , 마이크로유체역학(M2794.008900)
이 과목은 (1) 비전통적 방식의 특수제조공정 및 적층가공 등 다양한 첨단제조공정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 (2) 각 공정에 적용되는 기본적인 물리 현상, 재료 과학 및 공정 모델에 대한 학습, (3) 첨단제조공정을 이용한 기존 및 새로운 응용 분야에 대한 소개를 그 목적으로 한다. 가공 정밀도를 평가하는 주요 정밀계측법에 대해 소개하고 연삭가공, 초음파가공, 레이저빔가공, 전해가공, 방전가공, 이온/전자빔가공 등 특수가공 공정에 대해 학습한다. 또한 다양한 방식의 적층가공 기술에 대해 학습하고 각 방법의 특성 및 활용범위, 한계에 대해 논의한다.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정변수 최적화 방안 및 네트웍으로 연결되어있는 제조공정 생태계에서 첨단제조공정의 활용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Electrical coils and conductors : their electrical characteristics and theory
Electrical coils and conductors : their electrical characteristics and theory
High temperature electronics
High temperature electronics
Electrical engineering : principles and applications
Electrical engineering : principles and applications
Learning the art of electronics : a hands-on lab course
Learning the art of electronics : a hands-on lab course
Introduction to power electronics
Introduction to power electronics
Making printed circuit boards
Making printed circuit boards
(The) PCB : Reference for printed circuit board designers' and students
(The) PCB : Reference for printed circuit board designers' and students
Fundamentals of engineering electronics
Fundamentals of engineering electronics
Integration, Interconnection, and Interoperability of IoT Systems
Integration, Interconnection, and Interoperability of IoT Systems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DM) of advanced ceramics : EDM of advanced ceramics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DM) of advanced ceramics : EDM of advanced ceramics
UHF RF-ID 및 Ubiquitous 네트워킹 기술개발 =
UHF RF-ID 및 Ubiquitous 네트워킹 기술개발 =
航天发射场地面设施设备综合维修保障
航天发射场地面设施设备综合维修保障Basic machining reference handbook
Basic machining reference handbook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PEM fuel cell diagnostic tools
PEM fuel cell diagnostic tools
Integration of robots into CIM
Integration of robots into CIMMixed analog-digital VLSI devices and technology : an introduction
Mixed analog-digital VLSI devices and technology : an introduction
Computer numerical control for machining
Computer numerical control for machining
현대 전기전자공학의 기초
현대 전기전자공학의 기초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Manufacturing Technology
Wu D.,Wang H.,Yu J.Nano Energy
Wang L.,Fei Z.,Wu Z.,Ye Y.,Qi Y.,Wang J.,Zhao L.,Zhang C.,Zhang Y.,Qin G.,Jiang Z.,Maeda R.Advances in Mechanical Engineering
Nagesh Tambake; Bhagyesh Deshmukh; Sujit Pardeshi; Sachin Salunkhe; Robert Čep; Emad Abouel NasrNMR in Biomedicine
Zhu H.,Lang M.L.,Yang Y.,Martin M.,Zhang G.,Zhang Q.,Chen Y.,Yan X.ENERGY & ENVIRONMENTAL SCIENCE
Lee, Jong-Hoon; Yang, Guijun; Kim, Choong-Hee; Mahajan, Roop L.; Lee, Seul-Yi; Park, Soo-Jin한국정밀공학회지
허세곤, 김창주, 오정석International Journal of Critical Infrastructure Protection
Shrestha M.,Johansen C.,Noll J.,Roverso D.Sensors (Switzerland)
Pham V.T.,Le Q.B.,Nguyen D.A.,Dang N.D.,Huynh H.T.,Tran D.T.Applied Physics Letters
Wang K.,Hu S.,Gao F.,Wang M.,Wang D.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학회지
박예슬; 강승균; 이주용AEU -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s
Shi G.,Wang C.,Qiao F.,Lin R.,Wu S.,Shi M.,Sun Y.,Han J.,Wang B.IEEE Sensors Letters, Sensors Letters, IEEE, IEEE Sens. Lett.
Singh, H.; Fusiek, G.; Niewczas, P.IOP Conference Series: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
J W Wibowo; A Munandar; O Mahendra; J V Josary; D I S Ningrum; B SejatiNano-Micro Letters
Zhi C.,Shi S.,Zhang S.,Si Y.,Yang J.,Meng S.,Fei B.,Hu J.Biosensors
Simić M.,Stavrakis A.K.,Sinha A.,Premčevski V.,Markoski B.,Stojanović G.M.CIRP ANNALS-MANUFACTURING TECHNOLOGY
Bergs, Thomas; Harst, SimonIEEE Access
Xavier G.V.R.,Silva H.S.,Da Costa E.G.,Serres A.J.R.,Carvalho N.B.,Oliveira A.S.R.IEEE Journal of Emerging and Selected Topics in Power Electronics
Shikai Chen; Yuanmao Ye; Shaojun Chen; Teke Hua; Xiaolin WangIOP Conference Series: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
M K Zahari; D El Pebrian; S M Shamsi; H Sulaiman; S Mustaffha; N A ShairiInternational Journal of Precision Engineering and Manufacturing
Nikolay Dudak, Aizhan Taskarina, Asylbek Kasenov, Galiya Itybaeva, Zhanara Mussina, Kairatolla Abishev, Ruslan Mukanov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대학원
이 교과에서는 소 그룹 중심으로 최신의 전자재료, 디스플레이, 반도체 연구 동향에 대해서 발제/토론하며, 심화 연구 방향에 대해서 논의한다. 다양한 소주제 도출로 심화된 토의 및 기술적 의견 교환이 가능하도록 하여, 전자/디스플레이/반도체 재료의 다양한 특화된 기술을 습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전선 / 학사
본 교과목은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 현상과 관련된 다양한 이론과 연구를 검토하고, 이를 기반으로 수강생들이 주체적으로 연구문제를 도출,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때 사람들이 테크놀로지의 발달로 등장한 새로운 형태의 인간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어떻게 이용하며, 다양한 매체의 속성에 따라 커뮤니케이션의 제반 과정 및 결과는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집중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구체적으로 온라인 상의 자아 정체성, 인터넷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인간 관계의 형성과 유지, 사회적 네트워크 사이트,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의 집단 압력,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한 협업 등과 관련된 주제들을 다루게 될 것이다.전선 / 학사
◎ 구 분: 초급 - 에너지 생산 ≪ 교수요목 ≫ 미래 청정사회 구현(차세대 스마트그리드 및 분산 전원)을 위한 환경성, 공공성, 비고갈성 특징의 신에너지원인 연료전지 및 수소에너지에 대해 기초이론, 구조, 재료, 응용 및 기술, 산업 동향에 대하여 학습한다. ≪ 과목개요 ≫ 미래 청정사회 구현(차세대 스마트그리드 및 분산전원)을 위한 환경성, 공공성, 비고갈성 특징의 신에너지원인 연료전지 및 수소에너지에 대해 기초이론, 구조, 재료, 응용 등과 함께 신재생 에너지 및 지구온난화와 탄소배출권에 대하여 학습한다. ≪ 학습목표 ≫ 신에너지원인 연료전지 및 수소에너지에 대해 이해하고, 기초이론, 구조, 재료, 응용 등과 함께 신재생 에너지 및 지구온난화와 탄소배출권에 대하여 학습하여 향후 산업에 대한 이해력을 갖는다.전선 / 학사
이 강의의 목적은 제조 경쟁력 향상을 위한 스마트팩토리 구축 및 운영에 필요한 일반적인 개념과 특성들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강의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1) 4차 산업혁명과 스마트팩토리의 구성 및 기능을 학습한다. 2) 공장 자동화의 일반적 개념을 이해하고 제어 시스템 및 PLC 등과 같은 공장 자동화 기본 구성에 관해 학습한다. 3) ERP, MES, APS, PLM과 같은 기업 정보 시스템의 기능에 관해 학습한다. 4) 지능화된 공장 운영을 위해 필요한 스마트팩토리 디지털 플랫폼과 빅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에 대한 일반 개념을 학습한다.전선 / 대학원
본 강의는 스마트시티 기술과 실무 적용을 중심으로, 최신 스마트시티 기술의 활용 사례를 탐구하고 실무적 문제 해결 역량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학생들은 스마트시티 관련 산업 및 연구 분야에서 실제 활용되는 기술과 정책을 분석하고, 개인적인 실습 경험을 공유하며, 현장 적용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논의한다. 강의에서는 스마트시티 기술의 주요 개념과 적용 사례를 다루며, 문제 해결을 위한 분석 방법과 정책적 접근 방식을 학습한다. 또한, 학생들은 개별적으로 기업, 연구기관, 공공기관 등에서 경험한 스마트시티 기술 활용 사례를 바탕으로 기술의 실효성, 확장 가능성, 개선 방향 등을 평가하고, 관련된 연구 및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한다. 학습 성과는 이론 강의 참여, 사례 분석 발표, 종합 보고서 제출 등을 통해 평가된다.전선 / 대학원
이 과목은 전기 에너지를 변환하고 송전하고 저장하는 기술에 관한 이론과 이에 관련된 응용 예를 제시한다. 즉, 전기에너지를 교류와 직류로 상호 변환하는 기술과 이에 관련된 회로를 학습하고 전력을 수송하고 전력망을 통하여 안정하게 배분하고 소비하게 하는 기술을 학습한다. 또한 고 자기장을 초전도 기술로 발생시켜 전력에너지 저장이나 고 자기장 기기에 응용하는 기술을 학습한다. 수강생은 다음과 같은 것을 학습한다. (1) 기초적인 전기 에너지변환 회로를 이해하고 해석하며 이를 응용하는 것, (2) 전력을 수송하며 저장하고 안정적으로 전력 계통을 운용하는 것에 관한 기초 이론과 이를 응용하는 것. (3) 자기적인 형태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거나 또는 대 자기장을 이용하는 기기에 관한 기초 이론과 이를 이용하는 것.전선 / 대학원
본 강좌는 데이터사이언스 대학원의 ABC(AI model/algorithm, Big data, Computing) 교육 과정 중 빅데이터(B) 분야 첫번째 강좌이다. 이 강좌에서는 데이터사이언스와 관련 분야를 위한 데이터 관리의 원론을 가르친다. 이 수업에서 다루는 주제는 다음과 같다. - 데이터 관리의 이론적 배경: 데이터 종류, 1차 논리, 2차 논리, 관계 논리와 관계 대수, 스키마, 정규화 - 관계데이터베이스: 개체-관계 모델, 트랜잭션, 동시성 제어, 로깅, 복구, SQL, OLTP, 쿼리 최적화 - 분산형 및 연합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 데이터 애널리틱스: OLAP, 컬럼 스토어, ETL, 작업 데이터 저장소, 데이터 웨어하우스, 데이터 레이크, 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 - 데이터베이스의 물리적 디자인: Postgres 또는 MySQL을 이용한 B-tree 구현 등 - 데이터 처리: 파이썬의 NumPy, Pandas 등을 활용전선 / 대학원
본 강의에서는 친환경 선박 전원 공급용 연료전지 시스템의 설계 및 모델링을 실습한다. 친환경 선박의 동력 부하 프로파일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유형의 연료전지 시스템 또는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시스템 구성안을 도출하고, 물질 및 에너지 밸런스를 해석하여 최적의 시스템 구성안과 용량을 도출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본 강의에서는 Aspen Plus를 사용하여 열역학, 열전달, 유체역학을 기반으로 연료전지 스택의 전기화학 모델, 연료 개질 시스템, 연료 공급 시스템, 공기 공급 시스템, 그리고 열관리 시스템 등을 모델링할 것이다. 스택의 전기화학 모델은 스택의 평형 전압과 전압손실(활성화, 오옴, 농도 손실)을 고려하여 실제로 가용할 수 있는 순출력을 계산할 수 있도록 개발할 것이다. 개발된 모델링을 활용하여 정립된 친환경 선박의 동력 부하 프로파일과 연계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것이다. 본 강의를 학습하게 되면 친환경 선박 전원용 연료전지 시스템의 최적 설계를 도출할 수 있는 플랫폼을 개발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게 된다.전선 / 학사
본 과목에서는 데이터베이스 분야의 핵심 개념(데이터 모델, SQL, 무결성 제약조건, 데이터베이스 디자인, 스토리지 구조, 트랜잭션 등)을 소개한다. 또한 프로젝트를 통해 주요 개념을 실제로 구현,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전선 / 대학원
공급사슬 애널리틱스는 공급사슬망관리와 데이터 애널리틱스를 결합한 매우 유망한 분야이다. 본 수업은 실제 글로벌 공급망 데이터를 바탕으로 다양한 기업들의 경쟁관계와 공급망관리에서의 문제점을 찾는데 집중한다. 공급사슬망관리의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고 데이터기반 실증연구 논문들을 통해 관련분야의 흥미로운 연구주제를 모색해 본다.전선 / 대학원
지난 수십 년간 발전해 온 CMOS 공정은 최신의 고성능 및 모바일 시스템을 설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 강의에서는 나노미터 스케일의 미세 공정에서 효율적인 디지털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한 다양한 회로 설계 기법을 다루고 하드웨어 설계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신뢰성, 에너지 효율성 등의 요소를 자세히 살펴봄으로써 학생들의 디지털 시스템 설계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전선 / 학사
AI용 응용 혹은 서비스의 처리과정을 구현한 시스템반도체 회로 설계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CPU, GPU, AP, microcontroller, DSP등의 프로세서, 모뎀등 통신용 반도체, 이미지 센서등 다양한 센서 반도체 및 구동회로등 다양한 시스템반도체 개발을 위한 아키텍처, 하드웨어 회로 설계, 및 구현 과정들을 수행한다. 설계된 회로의 동작 검증을 위하여 시뮬레이션을 통한 모의 검증, FPGA 구현 검증, 혹은 칩 제작을 통한 검증을 수행한다. 또한, 프로젝트 진행 과정에 관하여 설명하는 결과 보고서 및 제작품의 특성을 설명하는 구두 발표를 포함한다.전선 / 학사
전기회로를 해석하고 설계하기 위한 능력을 개발한다. 전기회로를 구성하는 전하, 전류, 전압, 저항, capacitance, inductance와 전력 및 에너지의 개념, Kirchhoff의 법칙, Impedance의 개념, 최대전력 전달, Thevenin의 정리, Norton의 정리 등을 배우며, Laplace Transform과 Computer Program을 활용하여 회로 해석과 설계 능력 습득을 목표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