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환경설계학과
전지구적 생물다양성 위기에 따라 생물다양성 보전의 중요성이 지역적 차원에서도 날로 커지고 있다. 따라서 신규 개발사업은 물론 기존의 환경관리과정에서도 어떻게 그 지역의 생물다양성을 평가할 수 있으며 어떠한 보전·복원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지가 매우 중요하다. 이 과정에서는 보전 대상인 복잡한 생태계를 생물서식지(habitat)의 개념으로 명료하게 치환하여 접근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서식지의 질과 공간특성, 관리계획에 대한 분석적 사고가 요구된다. 본 수업에서는 서식지 생태영향평가 방법론(HEP; Habitat Evaluation Procedure)을 활용하여 대상지의 생물다양성 보전계획을 정량적, 과학적 논거에 기초하여 스스로 생각해보고, 이를 어떻게 합리적으로 설득시킬 수 있을지를 토론하게 된다.
loading...
환경대학원 환경설계학과 / 대학원
2025-1학기
권장 선수과목 환경계획·설계(940.501) , 정원 설계(M3551.001000)
전지구적 생물다양성 위기에 따라 생물다양성 보전의 중요성이 지역적 차원에서도 날로 커지고 있다. 따라서 신규 개발사업은 물론 기존의 환경관리과정에서도 어떻게 그 지역의 생물다양성을 평가할 수 있으며 어떠한 보전·복원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지가 매우 중요하다. 이 과정에서는 보전 대상인 복잡한 생태계를 생물서식지(habitat)의 개념으로 명료하게 치환하여 접근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서식지의 질과 공간특성, 관리계획에 대한 분석적 사고가 요구된다. 본 수업에서는 서식지 생태영향평가 방법론(HEP; Habitat Evaluation Procedure)을 활용하여 대상지의 생물다양성 보전계획을 정량적, 과학적 논거에 기초하여 스스로 생각해보고, 이를 어떻게 합리적으로 설득시킬 수 있을지를 토론하게 된다.
The last panda
The last panda
Ancestral lines : the Maisin of Papua New Guinea and the fate of the rainforest /
Ancestral lines : the Maisin of Papua New Guinea and the fate of the rainforest /
UNESCO biosphere reserves : supporting biocultural diversity, sustainability and society
UNESCO biosphere reserves : supporting biocultural diversity, sustainability and society
Human dimensions of wildlife management
Human dimensions of wildlife management
Marine biology: function, biodiversity, ecology
Marine biology: function, biodiversity, ecology
Feathers like a rainbow : an Amazon Indian tale
Feathers like a rainbow : an Amazon Indian tale
Vicariance biogeography : a critique
Vicariance biogeography : a critique
아프리카 대백과사전019 남아공 테이블마운틴 국립공원 인류의 기원을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아프리카 대백과사전019 남아공 테이블마운틴 국립공원 인류의 기원을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Garden wildlife of Britain and Europe /
Garden wildlife of Britain and Europe /
Pure and applied biogeography
Pure and applied biogeography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ODA 동향과 시사점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ODA 동향과 시사점
Planetar denken : ein Einstieg
Planetar denken : ein EinstiegFingerponds : seasonal integrated aquaculture in East African freshwater wetlands : exploring their potential for wise use strategies
Fingerponds : seasonal integrated aquaculture in East African freshwater wetlands : exploring their potential for wise use strategies
The ecological basis of conservation : heterogeneity, ecosystems, and biodiversity
The ecological basis of conservation : heterogeneity, ecosystems, and biodiversity
Integrating biodiversity in agricultural intensification : toward sound practices
Integrating biodiversity in agricultural intensification : toward sound practices
Ecology
EcologyPolicy and practices for biodiversity in managed forests : the living dance
Policy and practices for biodiversity in managed forests : the living dance
Wildlife resources : a global account of economic use
Wildlife resources : a global account of economic use
Bird life of woodland and forest
Bird life of woodland and forest
Resolving ecosystem complexity
Resolving ecosystem complexityFRONTIERS IN ECOLOGY AND EVOLUTION
Hembry, David H.; Ponisio, Lauren C.; Valdovinos, Fernanda S.; Allhoff, Korinna T.; Gaiarsa, Marilia P.; Barner, Allison; Guimaraes Jr, Paulo R.; Morrisong, Beth; Gillespie, RosemaryZOOTAXA
Zawadzki, Claudio Henrique; De Oliveira, Renildo Ribeiro; Oliveira, Andreza Dos Santos; Py-Daniel, Lucia RappEnvironmental DNA
Polanco Fernández A.,Marques V.,Fopp F.,Juhel J.B.,Borrero-Pérez G.H.,Cheutin M.C.,Dejean T.,González Corredor J.D.,Acosta-Chaparro A.,Hocdé R.,Eme D.,Maire E.,Spescha M.,Valentini A.,Manel S.,Mouillot D.,Albouy C.,Pellissier L.Facets
Rudolph T.,MacNearney D.,Finnegan L.Landscape Ecology
Scherber C.,Beduschi T.,Tscharntke T.Restoration Ecology
Valliere J.M.,Ruscalleda Alvarez J.,Cross A.T.,Lewandrowski W.,Riviera F.,Stevens J.C.,Tomlinson S.,Tudor E.P.,Wong W.S.,Yong J.W.H.,Veneklaas E.J.Journal of Mammalogy
Weldy M.,Epps C.W.,Lesmeister D.B.,Manning T.,Forsman E.D.Global Ecology and Conservation
Flølo L.M.,Hunninck L.,May R.,Jackson C.R.,Setsaas T.H.,Holmern T.,Røskaft E.Rendiconti Lincei. Scienze Fisiche e Naturali
Calvia, G.; Bonari, G.; Angiolini, C.; Farris, E.; Fenu, G.; Bacchetta, G.Environmental management
Kigonya R; Byakagaba P; Ssenyonjo E; Nakakaawa Jjunju C환경법과 정책
이현우ORYX
Mahmood T.,Akrim F.,Irshad N.,Hussain R.,Fatima H.,Andleeb S.,Aihetasham A.Environmental Evidence
Paxton A.B.,Swannack T.M.,Piercy C.D.,Altman S.,Poussard L.,Puckett B.J.,Storlazzi C.D.,Viehman T.S.생명과학회지
허만규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Ozkazanc NK; Ozay E; Ozel HB; Cetin M; Sevik HJournal of Ichthyology
Gallo-Cardozo, F.; Careaga, M.; Carvajal-Vallejos, F. M.Biological Conservation
Cunningham C.A.,Thomas C.D.,Morecroft M.D.,Crick H.Q.P.,Beale C.M.인문사회과학연구
이정희, 조형진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박정수; Joo Seung Jin; 이재석; Seo Dongmin; 김현석; Jeon Jihyeon; Yun Chung Weon; Lee Jeong Eun; 최세웅; Lee Jae-YoungJournal of Plant Biology
Eui-Joo Kim; Ji-Won Park; Young-Han You; Jae Hoon Park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학사
야생동물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기초적인 동물 분류, 해부, 생태이론 및 최근 연구되는 분야를 소개해 야생동물학 관리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 확보를 목적으로 한다. 강의 초반부에는 포유류와 조류의 분류, 생물지리학, 생물의 자원이용 등 생태학에 대한 전반적인 이론을 학습하고 중반부에는 개체군생태학 이론을 소개하여 개체군 성장과 조절, 개체군간 경쟁, 포식과 기생, 니치 이론 등을 강의함으로써 보다 구체적인 생태 이론을 학습하도록 한다. 이와 함께 진화학 및 유전학 등에 대한 생물학적 지식을 습득함으로써 생태계 내 다양성의 감소를 억제하는 방안을 연구하도록 한다. 후반부에는 야생동물 생태에 대한 구체적인 실험방법 및 실험모델을 소개하고 표본 제작 방법을 실습하여 야외 조사를 위한 기초 지식을 익히도록 한다. 이를 바탕으로 포유류 포획, 조류 군집 조사 등을 실시해 수업 시간에 배운 지식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전필 / 학사
이 과목에서는 야생동물의 정의, 분류와 생물학, 특이한 생리 해부, 사양관리 방법, 사료와 영양, 보정과 마취, 진단방법, 주요질병의 예방과 치료, 번식, 동물원동물의 관리, 멸종위기야생동물의 보전, 야생동물유래 인수공통감염병 등을 다룬다.전선 / 학사
생물다양성에 관한 연구는 계통분류학이다. 따라서 본 과목은 생명과학전공 탐색과목으로 3학년에서 개설되는 동물계통분류학 및 실험, 식물계통분류학 및 실험, 미생물계통분류학 및 실험의 선수과목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과목에서는 계통분류학에서 다루는 기본적인 내용들, 즉 계통분류학의 발전사, 계통분류학상의 분류군과 카테고리, 종의 동정, 기재, 명명, 분류의 방법들을 강의하고, 생물계를 이루는 종의 개념을 고찰해 본다. 또한 생물의 여러 문과 계통 등에 관한 기본적인 원리를 서술하고, 분자생물계통학의 역사와 연구방법, 원리, 현재까지의 결과 등을 강의하며 실제 지구상에 존재하는 생물들을 분류군 단위로 대략적으로 강의하는데, 3분의 전공교수님들이 동물, 식물, 미생물에 관해 위의 내용을 근간으로 각각 강의한다.전선 / 대학원
이 강의에서는 야생동물의 비교해부학에 대한 강의가 있을 예정이다. 특히 초식동물과 육식동물의 해부학적 차이가 강조될 예정이다. 이번 강의에서 얻을 수 있는 지식은 포유동물의 진화와 적응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학기의 중간에, 박물관과 동물원을 방문하는 계획도 있기 때문에, 이러한 방문, 답사는 지식의 축적을 도와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전선 / 대학원
국제산림협력특강은 기후변화, 생물다양성보전, 사막화방지 등 다양한 산림관련 국제개발협력 주제에 대한 이론과 사례연구를 주요 내용으로 한다. 단순히 산림복원과 생태계 보전이 아닌 산림이라는 공간에서 자연환경과 인간 사회의 공생을 위한 개발협력에 대한 주제를 중심으로 인문학, 자연과학, 사회과학 등 융합적인 접근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학습하고 토론한다. 또한 저개발 국가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국제산림협력 사례와 연구를 통해 해외 산림 현장에서 실제 일어나는 국제개발협력 사업들을 이해하고, 이들 사업에 대한 평가 및 분석 기법을 학습한다.전필 / 학사
수의사가 수생생물을 치료함에 있어 필요한 지식을 전달하는데 강의의 목적이 있다. 우선 수족환경, 각종 수생생물 및 그 사양법을 강의하며, 수의사로서 반드시 알아야 할 각종 치료법(외과적 처치, 내과적처치 등)에 대한 지식을 전달한다.전선 / 대학원
최근의 유전체학은 2세대 방식의 시퀀싱기를 넘어서는 3세대 방식이 나오고 있다. 3세대 방식의 시퀀싱은 의약학분야와 농축산업과 식품분야에 적용되는 산업화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본 과목은 현재 진행되었거나 진행되고 있는 유전체 기술을 이용한 산업화에 대한 자료를 공부하고 발표하는 수업이다. 유전체학의 성과를 산업화하는 성공적이고 가능성 있는 사례를 통해 생명공학 산업에서 유전체학이 가지는 의미를 공부해보는 과목이다.전선 / 대학원
산림자원의 관리는 산림을 생태적, 경제적 관점에서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관리하기 위한 의사결정에 초점을 맞춘다. 이 강의는 산림의 과학적 관리에 사용되는 필수적인 현대적 의사결정 기법을 바탕으로 여러 경영 대안들의 생태적, 경제적 영향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해석하는 방법을 익히는 것을 내용으로 한다. 대수학과 컴퓨터 스프레드시트를 이용한 다양한 예시와 응용 프로그램 학습을 통해 산림자원의 과학적 관리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산림경영의 현실 문제에 적용할 수 있는 숙련된 지식을 익힌다.전필 / 학사
조림학은 생태적 이론을 기초로 하여 산림을 조성하고 수종 구성과 산림구조, 임목 생장을 조절하여 산림의 경영 목표를 달성하도록 하는 학문이다. 학생들은 목재생산, 야생동물 서식처, 생물다양성 및 종 보전, 토양 및 수자원 보전, 휴양 등 다양한 경영 목표 달성을 위한 숲 조성 및 관리에 대한 이론과 실제를 강의와 실습을 통하여 익힌다. 종자 생산과정 및 처리와 보관, 묘목양성, 묘포관리, 식재론, 무육(가지치기, 간벌 등), 갱신론에 대한 이론적인 면과 실제적인 면을 다룬다. 또한 산림작업종과 천연갱신론을 강의하면서 산림 작업에 산림식생의 동태도 배운다. 야생동물 서식, 종 보전, 휴양을 위한 수풀조성의 예 등 산림 생태계 관리에 대해 강의한다. 우리나라의 주요 침엽수종 및 활엽수종의 특성, 번식방법 및 무육방법을 다루고 해외임업 진출을 위한 열대 임업사정 및 주요 열대수종에 관하여 공부한다.전선 / 학사
이 강의는 환경경영의 이론적인 배경인 지속가능성에 대한 개념과 실용적 분석 방법론인 산업생태학 분석 도구를 가르친다. 생명주기 분석법(LCA)과 물질 흐름분석(MFA)의 분석기법을 배우며, 실제 사례를 통하여 이론의 실제 적용 가능성을 경함할 수 있게 된다.전선 / 학사
산림정책의 역사적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 산림에 관한 정책 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정책이론을 공부한다. 한편 우리나라의 산림정책 형성, 집행, 평가 과정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하는 정책참여자들의 역할을 조명하여 봄으로써 산림정책의 과제와 발전 방향을 고찰한다. 산림자원의 이용, 보호 및 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법 내용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산림정책과제 가운데 학생의 관심사 하나를 선택하여 사례연구를 수행하여 발표한다.전선 / 대학원
계통생물학 및 생타학의 최신 실험 동향을 강의를 통해 체계적으로 습득하고, 수강생의 대학원 연구에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집단 토론을 통해 체득하도록 한다.전선 / 학사
야생동물보전ㆍ관리학 및 실습은 야생동물의 보전과 관리의 기본원리를 제공하고 , 사회적, 법적 제도 및 법령과 국제협약 등을 소개하는 동시에, 희귀ㆍ멸종위기종의 보전과 수렵종의 관리를 위한 방법을 모색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야생동물의 서식지 구성요소, 개체군의 평가와 분석, 야생동물 행동 등에 대한 학습을 통해 서식지를 적절하게 평가하고 관리함으로써 효율적인 개체군유지의 지식을 습득한다. 그리고 야생동물의 감소ㆍ멸종원인을 구명하고 보전관리를 위한 지식 및 기술을 확보한다. 또한 현재 당면한 서식지 감소 등의 문제점을 올바로 이해하고 해결하기 위해서, 지역, 국가 및 전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토지 이용, 철새의 서식지 확보 등에 대해 토론한다. 그리고 야생동물개체군과 그 서식지를 효율적으로 보전ㆍ관리하는데 필요한 폭넓은 사회적 관점과 생태학적인 지식을 갖도록 한다.전선 / 대학원
본 교과목은 국제환경협약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도모하고 국제환경협약이 산림개발협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집중적으로 학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후변화 완화 및 적응, 생물다양성 보존, 사막화방지, 야생동식물 멸종위기종 국제거래 등 주요 환경 협약의 특징 및 역사를 파악하고, 국제환경협약이 산림개발협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수강생들은 팀활동을 통해 국제환경협약의 구조와 산림개발협력사업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도전적이고 혁신적인 전략을 구상한다.전선 / 대학원
환경의 시대를 맞아 도시·지역·조경 계획가들 역시 생태(학)적인 시점과 접근방법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특히 자연환경을 어떻게 보전하고 관리할 것인가에 대한 현안들을 해결하기 위해, 관련 생태학 이론에 대한 정확하고 구체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본 수업에서는 생태계 관리와 관련된 생태학, 경관생태학, 보전생물학의 중요 이론들을 스터디하고 이에 기반한 자신의 견해와 문제의식을 전문가 및 동료들과 공유하며, 논의된 것들을 논리적으로 정리하여 과제로 완결시킴으로써, 생태계획 전반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전선 / 대학원
본 강의는 학부과정의 야생동물관리학 및 실습에서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야생동물 관리에 관련하여,보다 광범위한 문제들을 이해하고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서식지 구성요소, 개체군의 평가와 분석, 야생동물 행동 등에 대한 학습을 통해 서식지를 적절하게 평가하고 관리하는 지식을 습득함과 동시에 이를 현장에서 응용할 수 있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