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화학생물공학부
음용수 및 각종 생물(의약, 식품, 등) 및 화학산업 (의류, 반도체 등)의 공정수 생산을 위한 물리 및 화학적 수처리 공정의 기본원리와 응용을 다룬다. 주요 내용으로 물리 및 화학적 수처리 공정의 핵심 공정인 응집, 화학침전, 흡착, 소독, 산화 환원 반응, 막공정 등이다. 이러한 물리 및 화학적 원리가 실제공정의 예측과 제어를 목적으로 한 모델구성에 어떻게 포함되는지 모델구성의 원리와 응용도 함께 다룬다.지리학과
대자연에서는 다양한 수문, 기상, 기후, 지형, 생물 현상이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이 모든 자연적 요소들은 본질적으로 시공간상에서 펼쳐진다. 자연지리학에서는 시스템적 접근이라는 맥락에서, 지구를 기권(atmosphere), 수권(hydrosphere), 암석권(lithosphere), 생물권(biosphere)으로 나눈다. 본 교과목에서는 각 영역에 대해 현장에서의 실측조사와 실험, 컴퓨터 시뮬레이션 등을 통해 깊은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며 각 영역으로부터 얻은 지식을 모아 지구의 자연환경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도모한다. 자연지리학자로서의 기본적인 소양을 배양하여 궁극적으로는 적절한 환경정책의 입안과 효과적인 환경관리에까지 참여할 수 있는 지리학도를 양성하고자 한다.자유전공학부
본 과목은 주로 담당 교수와의 1:1 면담을 통하여 수강생이 장차 선택하거나 설계하고자 하는 전공과 관련된 학문적 내용과 방법, 장래의 가능성과 진로 등을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학생설계전공을 하려는 학생은 반드시 수강해야 하는 과목이지만, 기존의 전공 가운데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할 학생들도 이 강좌를 통해 자신의 적성과 잠재력을 발견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필요시 강의 및 워크샵 등을 진행한다체육교육과
본 강의는 실증적 분석을 통한 스포츠 경제, 그리고 스포츠 리그의 다양한 관점에 대해 알아본다. 또한 프로 스포츠 팀의 사업과 경제, 스포츠 중계권, 선수 연봉과 같은 선수-조직 간의 문제, 대학 스포츠나 독점 금지법, 경기장 건립 재정 이슈등과 관련된 공공재정의 문제 등 여러 가지 이슈들에 대해 다룰 것이다.치의학과
본 과목은 치의학대학원 학사과정 1학년 학생들이 예비의료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기본역량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심리검사를 활용한 나 자신에 대한 사회심리학적 이해로부터 시작하여 소그룹 주제별 토론학습을 통한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배양하도록 한다. 특히, 성찰적 독서활동과 지역사회 봉사활동에 참여하여 인문학적 소양을 넓히고 봉사리더십을 실천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인문학과 자연과학을 아우르는 폭 넓은 토픽을 설정하고 이를 다양한 시각에서 접근하여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관련 전공의 교수들이 함께 참여하여 강의와 토론을 진행한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다양한 전공의 주제별 텍스트를 읽고 해석하고 학문적 글쓰기에 참여하게 되며 궁극적으로는 본인의 관심분야를 탐색하는 과정에서 학부교육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요구하는 논리적이고 비판적으로 사고하는 능력을 함양할 수 있다.의학과
면역학 연구에 있어서 임상과 기초과학 분야 모두에 적용되는 가장 기본적인 면역학적 개념을 이해하고 익히는 내용을 교육한다. 이에는 면역반응의 특성, 항체분자의 특성, 면역유전학의 기본적인 사항, B 세포 및 T 세포의 발달과 활성화 과정, 면역관용, NK cell 등의 내용이 포함된다.지능정보융합학과
나노미터 수준의 화학적 반응과 소재에 대해 심도 있게 알아본다. 본 교과목에서는 화학적인 패턴닝과 리소그래피, 다층 자기조립, 나노접촉 인쇄와 쓰기, 나노선 및 나노튜브, 나노결정체의 합성과 자기조립, 마이크로포러스 및 메조포러스 물질, 블록공중합체의 자기조립 등을 학습 한다. 또한, 여러 가지 중요한 나노물질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과 이들의 다양한 창의적인 기계적, 전기적, 전자적인 장치에서의 응용을 알아본다.체육교육과
스포츠 심리학 분야에서 이루어진 많은 이론적인 틀을 토대로 하여, 경쟁을 수반하지 않는 일반인들의 지속적인 운동 참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하고, 운동강도와 운동참가 기간에 따른 운동의 다양한 심리적인 효과를 탐색한다. 특히 운동이 특성불안, 상태불안, 자신감, 자기개념, 수면 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데에 중점을 둔다.국어국문학과
고대가요에서부터 향가, 고려가요, 시조, 가사 등 고전시가 작품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고전시가의 미학적 특질과 그에 표현된 한국인의 생활 감정과 사상을 이해하고 작품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연구의 방법을 체득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첫째, 작품 및 갈래 등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를 점검하고, 둘째, 구체적인 작품이나 갈래를 대상으로 그 작품을 분석하고 해석하거나 갈래의 미학적 특징을 규명하는 방법을 실습한다.
loading...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 학사
2025-2학기
권장 선수과목 한국문학연구입문(100.102) , 교육봉사활동1(T2184.001300)
고대가요에서부터 향가, 고려가요, 시조, 가사 등 고전시가 작품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고전시가의 미학적 특질과 그에 표현된 한국인의 생활 감정과 사상을 이해하고 작품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연구의 방법을 체득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첫째, 작품 및 갈래 등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를 점검하고, 둘째, 구체적인 작품이나 갈래를 대상으로 그 작품을 분석하고 해석하거나 갈래의 미학적 특징을 규명하는 방법을 실습한다.
State power, stigmatization, and youth resistance culture in the French banlieues : uncanny citizenship
State power, stigmatization, and youth resistance culture in the French banlieues : uncanny citizenship
가시고기 아비의 사랑 : 송하선 시집
가시고기 아비의 사랑 : 송하선 시집
초자연적 3D 프린팅 : 황유원 시집
초자연적 3D 프린팅 : 황유원 시집
형상과 비전 : 윤영천 평론집 =
형상과 비전 : 윤영천 평론집 =De l'art de plaire en petits morceaux : Pascal, La Rochefoucauld, La Bruyère
De l'art de plaire en petits morceaux : Pascal, La Rochefoucauld, La Bruyère
열개의 창문
열개의 창문The ode
The ode
김승옥 문학상 수상 작품집
김승옥 문학상 수상 작품집
Vers toi
Vers toi
나랑 하고 시픈게 뭐에여? : 최재원 시집
나랑 하고 시픈게 뭐에여? : 최재원 시집
(상징투쟁으로서의)한국 현대문학 비평사 =
(상징투쟁으로서의)한국 현대문학 비평사 =경찰서여, 안녕 : 김종광 소설집
경찰서여, 안녕 : 김종광 소설집
(문학앨범)조르즈 상드
(문학앨범)조르즈 상드
천사들의 발자국 소리
천사들의 발자국 소리
가끔 불법주차를 하고 싶다 : 이영옥 시집
가끔 불법주차를 하고 싶다 : 이영옥 시집
Stories for the innocent
Stories for the innocent
불타는 제국,
불타는 제국,
천지여 천지여 : 나태주 시집
천지여 천지여 : 나태주 시집
한국문학의 최전선과 세계문학 : 유희석 평론집
한국문학의 최전선과 세계문학 : 유희석 평론집
육당 최남선 문학 연구 : 근대의 길을 내고 민족을 발견하다
육당 최남선 문학 연구 : 근대의 길을 내고 민족을 발견하다靜宜中文學報 / Journal of Chinese Literature of Providence University
楊思源(Yang, Siyuan)Medieval & Renaissance Drama in England (Rosemont Publishing & Printing Corporation)
WINIARSKI, CATHERINEReview of English Studies
Grant T.우리말글
박주형South Asian Studies
Peter Heehs怀化学院学报 / Journal of Huaihua University
周之涵; 曾妍; ZHOU Zhi-han; ZENG YanLiterature & Theology
Jeanne PetrolleSpenser Studies
Juliana Chapman한국 예이츠 저널
이철희华中师范大学学报(人文社会科学版) / Journal of Huazhong Normal University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张洁宇; Zhang JieyuReview of English Studies
Jonathan Sawday广东外语外贸大学学报 / Journal of Guangdong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周斌; ZHOU BinPN Review
LORSUNG, ÉIREANNAJS Review: The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Jewish Studies
Anita NorichHungarian Journal of English and American Studies
Racz I.D.EMERITA
Valverde Sanchez, MarianoJournal of Medieval and Early Modern Studies
Mottram B.한국연극학
최영주한국문예비평연구
정원술Religions
Barreto R.C.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대학원
전선 / 학사
주로 전근대시기를 대상으로 다양한 고문헌, 문학작품 등을 읽고 해독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고전시가, 고전산문작품을 비롯하여 각종 사료, 문헌서적 등을 해독함으로써 학생들의 일본어 해독 능력을 향상시킨다. 아울러 원 자료 해석을 통해 일본문화의 특질을 보다 깊이 이해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다.전선 / 대학원
17세기 중반부터 19세기 초까지의 ‘장기 18세기’ 영국 문학을 문학사, 문화사, 철학사적 변화를 통해 고찰한다. 시, 소설, 희곡, 산문 픽션, 팜플렛 등의 다양한 장르를 분석하여 18세기 문학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를 높이고 비평과 이론의 틀을 제공한다. 주제가 다르면 중복해서 수강할 수 있다.전선 / 대학원
한국의 현대시에 대한 시학적인 연구가 중심이 된다. 근대 이후의 시인이나 비평가들이 개진한 본격적인 시론이나 시평론들도 대상이 된다. 이 과목은 문학사적인 측면보다는 작품 자체를 이해하고 분석하기 위한 대상이 된다. 따라서 비평이론 자체의 체계적인 이해 뿐 아니라 구체적인 작품 분석을 병행하여 균형잡힌 연구 시각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전선 / 학사
중국문학의 전개 과정에 있어 산문은 시와 더불어 가장 중심적인 위치를 점하여 왔다. 이 과목은 '서경'에서 비롯한 중국의 산문이 제자서와 사전문 등을 거쳐 당송의 고문과 변려문으로 발전해가는 과정을 이해하고 중국산문의 특징과 고유의 미학적 구조를 해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강의는 <중국역대산문강독 2>와 연계되어 진행된다.전선 / 학사
17세기 식민지 시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주요 시인들의 작품을 광범하게 읽고 미국시의 특성과 그 전통을 포괄적으로 이해한다. 동시대의 주요 영국시와의 비교연구, 그리고 미국시와 미국적 현실과의 관련 연구 역시 이 과목의 중요한 한 부분을 이룰 것이다. 브라이언트, 포우, 에머슨, 휘트먼, 디킨슨, 로빈슨, 프로스트, 샌드벅, 크레인, 윌리엄스, 스티븐스, 파운드, 휴즈 등을 주로 다룬다.전선 / 학사
중국문학 내부의 여러 가지 전공 분야 가운데에서도 시는 특별한 중요성을 갖는 분야이다. 본 강좌는 중국의 시가 작품들 가운데서 명편을 뽑아 심층적으로 감상, 분석함으로써 중국 시가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넒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다루어야 할 작품의 범위를 고려하여 본 강좌는 <중국역대시가강독 2>와 연계하여 강의한다.전선 / 학사
이 강의는 호메로스의 서사시에 대한 희랍어 원문 독해력 함양을 목표로 한다. 구체적으로, 서사시를 Dactylic Hexametre의 운율에 따라 정확하게 낭송하고, 감상하는 능력을 배양할 것이다.전선 / 대학원
영국문학의 중요한 시대, 주제, 혹은 작가를 중심으로 작품과 논문을 읽고 새로운 과제를 모색함전선 / 대학원
본 교과목은 현대 영,미 미학의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이러한 문제점들이 현대 미학에로 어떻게 수용되고 논의 되었는지를 체계적인 맥락 속에서 논구한다.전선 / 학사
인도문학은 특히 고전시기에는 서사시와 서정시, 드라마 등의 장르에서 매우 발전했고, 근대 이후에 소설 형식이 발전했는데, 인도에서 사용되는 언어와 문화의 다양성에 따라 양적인 면과 질적인 면에서 타문화와 비교될 수 없을 정도로 매우 방대하다. 따라서 이들 문헌과 문학 장르에 대한 적절한 소개가 필요하다. 본 강의에서는 인도고대시기에 편찬된 문헌에서부터 고전시대의 서사시와 서정시, 드라마 등의 장르와 그 대표작을 소개할 것이다. 이들 작품들은 문학적 아름다움을 넘어 인도문화의 핵심적 가치와 세계관을 보여주고 있어 이후 인도인의 의식세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나아가 이들 작품에는 당대의 사회-정치사적 분위기를 반영하는 것들도 있어, 이를 통해 순수문학적 측면에서 뿐 아니라 인도 전통사회의 풍습이나 관습의 반영이라는 문학사회학적 측면에서도 인도사회에 대한 많은 정보를 담고 있다.교양 / 학사
이 강좌는 192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우리 현대시사(現代詩史)를 대표할 만한 시인과 대표작을 꼼꼼히 읽고 감상하면서 현대시의 기본적인 원리와 개념을 이해하고 시 읽기의 즐거움을 다시 한 번 환기시키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우리는 뜻하지 않게 현대시 안에 내재된 중요한 역사적, 철학적, 감각적 체험의 차원들을 추체험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 강좌는 현대시를 강독하며 시 감상에 필요한 기본적인 시론과 시사를 정리할 것이다. 아울러 현대시에 나타난 다양한 문화적 체험을 함께 경험해 봄으로써 이해의 폭을 넓혀보려 한다. 여러 예술 장르를 비롯하여 역사, 정치, 민중 등의 이념뿐만 아니라 사랑, 음식, 패션, 대중가요 등과 같은 테마를 풍성하게 선별하고 공부하며 ‘시적인 것’에 대한 원론적인 의미 역시 생각해보는 시간이 될 것이다. 이 강좌에서 다루는 시는 함께 읽으며 ‘향유’할 수 있는, 좋은 시들이다. 그러므로 시를 좋아하는 학생들은 누구나 이 강좌를 즐겁게 수강할 수 있다. 그러나 대학의 교양 수준으로서의 시의 ‘감상’이란, 작품을 읽고 독해하는 수준을 넘어설 필요가 있다. 우리는 즐겁게 시를 읽다 보면 어느 순간 당대를 관통하는 중요한 시적 정신의 행방을 탐색해 왔음을 깨닫게 될 것이다.전선 / 대학원
동서양 여러 나라에서 문학 갈래(장르)에 관한 이론을 전개해온 경과를 검토하고, 서로 공통된 문학갈래를 비교하여 고찰한다.전선 / 대학원
일반적으로 문학 연구의 최종단계는 문학사 서술에 있다. 따라서 문학사에 대한 이해는 문학 연구의 중요한 과제이다. 본 교과목은 이러한 관점에서 문학사 서술방법, 문학사와 역사철학의 상관관계, 문학사와 사회사의 연관성 등을 탐구한다. 현대문학과 고전문학의 통섭적 교과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