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농경제사회학부
본 수업에서는 경제학 기본이론, 통계학, 경제수학 등을 이수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농업경제 현상에 관련된 경제변수들의 관계를 측정하기 위한 기본이론을 다룬다. 모델설정, 추정, 예측 및 정책분석을 궁극적 목표로 하며 이를 위해서 필요한 회귀분석, 중회귀분석, 시계열 분석 등을 학습한다. 또한 이론만이 아니라 이를 실증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컴퓨터 실습시간을 가진다.건설환경공학부
도시계획의 목적, 적용범위, 수법 등을 연구하며, 이러한 기본원리를 기초로 현대 도시계획의 나아갈 지표를 도출한다. 역사, 지리, 사회경제적 측면에서의 도시구성이론을 고찰하고 인구추정, 구역설정, 산업구조, 계획평가 등 계획실제를 병행하여 연구함으로써 그 과학적 방법론을 도출한다
loading...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부 / 학사
2025-1학기
권장 선수과목 공간디자인(5271.214A) , 조경컴퓨터그래픽(5271.213)
도시계획의 목적, 적용범위, 수법 등을 연구하며, 이러한 기본원리를 기초로 현대 도시계획의 나아갈 지표를 도출한다. 역사, 지리, 사회경제적 측면에서의 도시구성이론을 고찰하고 인구추정, 구역설정, 산업구조, 계획평가 등 계획실제를 병행하여 연구함으로써 그 과학적 방법론을 도출한다
Evaluating urban planning efforts : approaches to policy analysis
Evaluating urban planning efforts : approaches to policy analysis
Housing and urban development planning in Mexico : a bibliography
Housing and urban development planning in Mexico : a bibliography
Planungshoheit und Grundeigentum : die verfassungsrechtlichen Schranken der stadtebaulichen Entwicklungsmassnahmen
Planungshoheit und Grundeigentum : die verfassungsrechtlichen Schranken der stadtebaulichen Entwicklungsmassnahmen
Our national parks and the search for sustainability
Our national parks and the search for sustainability
Landscape and sustainability
Landscape and sustainability
Managing cities
Managing citiesThe sustainable city IV : urban regeneration and sustainability
The sustainable city IV : urban regeneration and sustainability
Beyond the limits : confronting global collapse, envisioning a sustainable future
Beyond the limits : confronting global collapse, envisioning a sustainable future
Urban analysis
Urban analysis
Five superpowers for co-creators : how change makers and business can achiev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Five superpowers for co-creators : how change makers and business can achiev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20th century urban design in the Netherlands
20th century urban design in the Netherlands
포틀랜드 메이커스 : 로컬 크리에이터가 만드는 도시, 도시가 만드는 로컬 크리에이터
포틀랜드 메이커스 : 로컬 크리에이터가 만드는 도시, 도시가 만드는 로컬 크리에이터
Urban Planning Anlaysis : Methods and Models
Urban Planning Anlaysis : Methods and Models
The urban scene
The urban scene
Contemporary urban planning
Contemporary urban planning
Understanding cities : method in urban design
Understanding cities : method in urban design
Nachhaltige Finanzstrukturen im Bundesstaat
Nachhaltige Finanzstrukturen im Bundesstaat
A collection of the charities and donations, given for any religious or other public use to the town of Market-Harborough in the county of Leicester. To which is added The decree issued out of the High Court of Chancery, 13th. of Charles I. confirming the Proprietors of certain ancient Cottages in Harborough in their Right of Commons, Acre-Hades, &c. in the Common Fields of Great-Bowden. The whole compiled from the Parish-Registers, Decrees, Wills, Old-Feoffments, Terriers, Town-Books, and other Authentic Records, And interspersed With some Occasional and Incidental Remarks
A collection of the charities and donations, given for any religious or other public use to the town of Market-Harborough in the county of Leicester. To which is added The decree issued out of the High Court of Chancery, 13th. of Charles I. confirming the Proprietors of certain ancient Cottages in Harborough in their Right of Commons, Acre-Hades, &c. in the Common Fields of Great-Bowden. The whole compiled from the Parish-Registers, Decrees, Wills, Old-Feoffments, Terriers, Town-Books, and other Authentic Records, And interspersed With some Occasional and Incidental RemarksToward sustainable communities : resources for citiziens and their governments
Toward sustainable communities : resources for citiziens and their governmentsSustainability (Switzerland)
Scholz W.Biological Conservation
Nielsen E.S.,Beger M.,Henriques R.,von der Heyden S.IOP Conference Series: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
A Widiana; B S E PrakosoWork (Reading, Mass.)
Gabriel García-Acosta; Tiago Fonseca Albuquerque Cavalcanti Sigahi; Ivan Bolis; Andrew Thatcher; Karen Lange MoralesJournal of British Studies
Kefford A.Geografiska Annaler: Series B, Human Geography
Jönsson, Erik; Baeten, GuyTravel Behaviour and Society
Bao L.,Kusadokoro M.,Chitose A.,Chen C.Territorio
Balletto G.,Murgante B.,Borruso G.도시행정학보
방성훈, 변창흠REGIONOLOGIYA-REGIONOLOGY RUSSIAN JOURNAL OF REGIONAL STUDIES
Chernova, O. A.Journal of Tourism Futures
Briggs A.,Dowling R.,Newsome D.IOP Conference Series: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
N Khaleefah; W S AlwanCities and Health
Skodra J.Structural Concrete
Hajek P.대한건축학회논문집
이현정中国行政管理 / Chinese Public Administration
李燕凌; 温馨; Li Yanling; Wen XinUrban Ecosystems
Zhang, Hai-Li; Xiu, Hao; Nizamani, Mir Muhammad; Zhou, Qing; Long, Kaijun; Quan, Yunfan; Fu, Tingting; Sun, QinghuiSustainability (Switzerland)
Guo J.,Ma S.,Li X.台州学院学报 / Journal of Tanzhou University
李跃军; 姜琴君; Li Yuejun; Jiang QinjunWork (Reading, Mass.)
Xavier AF; Valle WAD; de Souza MA; Duarte FJCM; Lima FPA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대학원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을 위해서 장기적이며, 통합적인 접근은 필수적이다. 도시는 자연환경뿐만 아니라 건물, 인프라 등과 같은 인공환경을 포함하고 있는 대표적인 복잡계(complex system)로서, 도시를 구성하는 요소들은 상호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으며, 이들은 다른 요소 또는 관계에 다시 영향을 미치며 도시현상을 복잡하게 만든다. 특히 도시의 다양한 부문(인프라 및 건조환경, 자연환경, 사회경제 부문 등) 및 요소 간 관계 의존성은 최근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과 스마트시티의 확산으로 인해 더욱 심화되고 있다. 따라서 지속가능한 도시를 위해서는 부문 및 요소 간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이를 통합하고 조정할 수 있는 시스템적 사고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강의는 시간적, 통합적, 피드백 사고를 근간으로 하는 시스템적 사고 배양과 도시 계획 및 정책에서 이를 적용하기 위해 필요한 복잡계 이론, 다양한 도시 시스템의 이해, 시스템 다이내믹스 방법론 및 네트워크 분석 등을 학습하고, 이를 실제 도시 공간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활용 역량을 습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전선 / 대학원
사회혁신은 교육, 보건복지, 주거, 교통, 에너지, 환경, 노동 등 삶의 현장에서 잘해결되지 않는 사회문제나 고령화, 청년문제, 기후위기 등 새롭게 나타난 사회문제를 새로운 아이디어와 방법을 통해서 해결하는 제반의 활동을 지칭한다. 본 강의에서는 혁신을 사회혁신과 이를 지속화하기 위한 비즈니스혁신으로 연계하고, 이를 위한 방법론으로서 스마트도시와의 접목을 통해 해결하는 것으로 한다. 스마트도시와 사회혁신은 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사회문제해결을 기술 및 경제를 통해 해결하고 이를 지속화하기 위해 다양한 혁신생태계로서의 사회혁신 및 비즈니스 창출을 목표로 한다. 본 강의를 통해 도시 및 지역에 관심을 갖는 다양한 전공자들에게 다양한 학제적 연구 및 지역문제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갖도록 한다.전선 / 대학원
규제 도구로서 용도지역 설정은 도시 환경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기후 변화라는 맥락에서, 현재의 용도지역 설정이 에너지 소비, 탄소 배출, 재난, 대기 오염과 같은 새로운 지구적 과제에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시스템을 지속가능한 도시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는지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과정은 세 가지 주요 영역을 다루어 이러한 문제들을 다룬다. 규제 수단으로서의 용도지역 설정 소개, 현행 용도지역 설정 관행과 지구적 맥락에서 지속가능한 개발을 촉진하는 과제, 그리고 대안적인 용도지역 설정 접근 방식과 새로운 성과 기반 계획 모델이다. 본 과정은 기존의 용도지역 설정 정책을 환경 성과 중심의 규제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방법을 검토하는 것으로 마무리된다.전선 / 대학원
이 강좌는 정치생태학에 대한 이해와 정치생태학 내 다양한 생태담론의 지형에 대한 파악을 기초로 환경문제의 해결을 위한 이론적 지평을 여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강좌에서는 기본적으로 “환경문제 발생의 근본 원인은 무엇인가? 자연 혹은 자연자원의 이용에 대해 누가 권력을 행사하고 있는가? 다양한 정책과 이해관계자들의 상호작용은 자연의 변형과 이용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환경의 보전과 개발을 둘러싼 갈등은 어떻게 발생하며 또 어떻게 해소되어야 하는가? 사회정의는 지속가능성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가? 생태적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사회는 어떻게 변화되어야 하는가?” 등의 질문을 제기한다. 정치생태학은 사회와 자연이 어떠한 관계를 맺어 왔는지를 이해하고 자원이용의 환경적 결과와 사회의 역동적인 관계와 환경적으로 매개된 다양한 사회집단들 내/간에서 발생하는 상호작용을 분석하기 위해 환경과학과 사회과학을 통합하는 학제간 시도로, 정치생태학 안에서도 다양한 담론들이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이 강좌에서는 정치생태학적 접근에 기초하여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모양 짓는 다양하고 복잡하게 상호 연계된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권력관계를 살펴보고 환경문제의 발생과 해결에 서로 다른 진단과 처방을 제시하는 다양한 생태담론들을 학습함으로써 지역적 차원에서 지구적 차원에 이르는 다양한 환경문제의 발생 기제를 이해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강좌의 전반부는 정치생태학 및 생태담론에 대한 소개와 이해를 중심으로, 후전선 / 대학원
본 과목은 융합전공 스마트시티 글로벌 융합 전공 학생들이 팀 프로젝트를 통해 도시데이터를 분석하여 스마트시티 도시계획을 수립하고, 실증하는 프로젝트 수업이다. 관련 분야 전문가들의 지도하에 스마트시티 정책 추진 방향을 검토하고, 공공기관 개방형 데이터, 민간협력 데이터 등 다양한 도시데이터를 분석하여 도시문제를 발굴하고, 해결책에 대한 계획을 수립한다. 본 과목은 도시 내의 불평등, 빈곤 문제와 복지 정책 등을 살펴보고, 도시의 노인, 장애인, 다문화, 아동, 여성 등 사회적 약자들을 위한 복지정책을 검토한다. 또한, 관련 도시데이터 분석하여 스마트시티가 사회적 약자들을 포용할 수 있도록 나아갈 방향에 대해서 탐색한다. 수업 참여 전문가들은 스마트 포용도시에 대한 프로젝트 성과가 스마트시티 수립 계획에 반영되기 위한 진행과정을 지도하고 검토한다.전선 / 대학원
포스트코로나 시대 글로벌 경제위기와 사회변화는 도시공간을 기획·조성·운영하는 방식의 혁신을 요구하고 있다. 중심지와 주변부를 나누고 여러 도시기능을 분리하는 전통적 도시관리에서 직주락(Live-Work-Play)의 복합화, 비대면문화·유연근무의 도입, 공유공간과 로컬 구독경제의 화학적 결합 등이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이에 따라 새로운 도시공간 만들기와 운영방식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수업은 이렇게 나타난 공간을 ‘뉴노멀 도시공간’으로 정의하고, 해당 공간의 특징과 유형, 운영 주체, 관리방식, 관련 제도변화와 그 시사점을 다루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에게 도시의 미래를 기획하고 상상할 수 있는 학습 기회를 제공하고 관련 주체 인터뷰와 현장 답사를 통해 도시에 대한 실천적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전선 / 대학원
본 과목은 도시설계의 기초적인 이론과 도시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요소를 이해하는 강의 수업이다. 국내외 도시설계의 간략한 역사와 최근 도시개발의 동향을 살펴본 후, 도시정책과 제도, 공공의 의지와 사회참여, 디벨로퍼의 비전, 도시건축 유형과 개발의 관성, 기능적 효율성과 미학, 다양성에 대한 요구 등 현대 도시의 형태를 결정하는 여러 힘들을 살펴본다. 그리고 현대 도시에 대한 다양한 요구, 이를테면 도시쇠퇴와 재생, 건강도시 만들기, 도시의 취약성 극복 등의 주제에 대해 강의와 워크샵을 통해 고찰한다.전선 / 대학원
포스트 코로나 시대 글로벌 경제위기와 사회변화는 도시공간을 기획·조성·운영하는 방식의 혁신을 요구하고 있다. 중심지와 주변부를 나누고 여러 도시기능을 분리하는 전통적 도시관리에서 직주락(Live-Work-Play)의 복합화, 비대면 문화·유연근무의 도입, 공유공간과 로컬 구독경제의 화학적 결합 등이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이에 따라 새로운 도시공간 만들기와 운영방식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수업은 이렇게 나타난 공간을 ‘뉴노멀 도시공간’으로 정의하고, 해당 공간의 특징과 유형, 운영 주체, 관리방식, 관련 제도변화와 그 시사점을 다루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에게 도시의 미래를 기획하고 상상할 수 있는 학습 기회를 제공하고 관련 주체 인터뷰와 현장 답사를 통해 도시에 대한 실천적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전선 / 대학원
도시성장관리는 전통적인 도시계획의 한계를 벗어나기 위한 최근의 대표적인 흐름이다. 이 과목은 도시성장관리의 등장 배경과 취지, 성장관리를 위한 다양한 수단, 성장관리의 효과, 최적성장관리이론, 우리나라 성장관리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살펴보고 연구한다. 성장관리의 수단으로는 urban growth boundary, public facility requirement, impact fee, development exactions, special plan, TDR(Transfer of development right), PDR(purchase of developemt right)을 비롯하여 다양하게 이론과 사례를 검토한다.전선 / 대학원
도시설계론 과목은 도시설계학 석사 과정 학생들이 반드시 이수해야 하는 핵심적인 과목이다. 본 과목은 한국 및 외국에서 행해진 도시설계 실무 사례를 연구하고, 도시설계의 근본적인 이슈들과 이론들을 탐구함으로써 도시설계 이론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는다. 또한, 이 과목을 통해서 학생들은 도시설계란 무엇이며, 도시설계의 컨셉들은 어떤 것이 있으며, 향후 자신들이 도시설계가로서 행해야 할 것이 무엇인지 이해할 수 있게 된다.전선 / 대학원
조경계획, 설계에 적용하기 위한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을 높이는 구체적인 기법을 연구. 지속가능한 입지선정, 단지조성, 수계의 보전, 재료 선정과 옥외공간설계, 조경 관리기법 등 조경실무에 응용할 수 있는 기법을 연구함. 개인별 연구 주제를 정하여 진행하고, 학기말에 학술지에 투고할 만한 수준의 논문을 제출한다.전선 / 학사
최근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인류세’라는 개념을 활용하여 지구온난화, 생물종다양성 감소, 환경오염 등 인간의 무분별한 행위가 야기한 환경문제들을 살펴본다. 인류세라는 용어에는 인간이 과거의 과오를 깨닫고 지구의 지속가능성을 회복시키는 방안을 찾아 능동적으로 움직여야 한다는 주장이 담겨 있다. 본 강의에서는 인간이 등장한 후 지구시스템이 어떻게 교란되었는지 돌아보고 이를 토대로 인류세가 지닌 함의와 미래 지구의 지속가능성을 논할 것이다.전선 / 학사
이 강의는 산림경관의 과학적인 이해와 실질적인 보전을 위한 계획 및 문제 해결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경관생태학, 생태네트워크, 서식처 모델링, 보호지역 갭분석 등 기존 보전계획의 이론과 방법, 원리 등을 이해하고 이러한 이론들이 우리나라의 자연·인문·사회과학적 측면을 포괄할 수 있는지 검토한다. 또한 실제 산림환경 정책의 입안과 적용 등을 파악하며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생태계서비스평가 등 정량적인 평가 및 모니터링에 대한 고찰을 통해 체계적인 보전계획 수립을 위한 다양한 시각을 갖도록 한다.전선 / 대학원
전지구적 생물다양성 위기에 따라 생물다양성 보전의 중요성이 지역적 차원에서도 날로 커지고 있다. 따라서 신규 개발사업은 물론 기존의 환경관리과정에서도 어떻게 그 지역의 생물다양성을 평가할 수 있으며 어떠한 보전·복원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지가 매우 중요하다. 이 과정에서는 보전 대상인 복잡한 생태계를 생물서식지(habitat)의 개념으로 명료하게 치환하여 접근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서식지의 질과 공간특성, 관리계획에 대한 분석적 사고가 요구된다. 본 수업에서는 서식지 생태영향평가 방법론(HEP; Habitat Evaluation Procedure)을 활용하여 대상지의 생물다양성 보전계획을 정량적, 과학적 논거에 기초하여 스스로 생각해보고, 이를 어떻게 합리적으로 설득시킬 수 있을지를 토론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