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화학생물공학부
음용수 및 각종 생물(의약, 식품, 등) 및 화학산업 (의류, 반도체 등)의 공정수 생산을 위한 물리 및 화학적 수처리 공정의 기본원리와 응용을 다룬다. 주요 내용으로 물리 및 화학적 수처리 공정의 핵심 공정인 응집, 화학침전, 흡착, 소독, 산화 환원 반응, 막공정 등이다. 이러한 물리 및 화학적 원리가 실제공정의 예측과 제어를 목적으로 한 모델구성에 어떻게 포함되는지 모델구성의 원리와 응용도 함께 다룬다.지리학과
대자연에서는 다양한 수문, 기상, 기후, 지형, 생물 현상이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이 모든 자연적 요소들은 본질적으로 시공간상에서 펼쳐진다. 자연지리학에서는 시스템적 접근이라는 맥락에서, 지구를 기권(atmosphere), 수권(hydrosphere), 암석권(lithosphere), 생물권(biosphere)으로 나눈다. 본 교과목에서는 각 영역에 대해 현장에서의 실측조사와 실험, 컴퓨터 시뮬레이션 등을 통해 깊은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며 각 영역으로부터 얻은 지식을 모아 지구의 자연환경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도모한다. 자연지리학자로서의 기본적인 소양을 배양하여 궁극적으로는 적절한 환경정책의 입안과 효과적인 환경관리에까지 참여할 수 있는 지리학도를 양성하고자 한다.자유전공학부
본 과목은 주로 담당 교수와의 1:1 면담을 통하여 수강생이 장차 선택하거나 설계하고자 하는 전공과 관련된 학문적 내용과 방법, 장래의 가능성과 진로 등을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학생설계전공을 하려는 학생은 반드시 수강해야 하는 과목이지만, 기존의 전공 가운데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할 학생들도 이 강좌를 통해 자신의 적성과 잠재력을 발견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필요시 강의 및 워크샵 등을 진행한다체육교육과
본 강의는 실증적 분석을 통한 스포츠 경제, 그리고 스포츠 리그의 다양한 관점에 대해 알아본다. 또한 프로 스포츠 팀의 사업과 경제, 스포츠 중계권, 선수 연봉과 같은 선수-조직 간의 문제, 대학 스포츠나 독점 금지법, 경기장 건립 재정 이슈등과 관련된 공공재정의 문제 등 여러 가지 이슈들에 대해 다룰 것이다.치의학과
본 과목은 치의학대학원 학사과정 1학년 학생들이 예비의료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기본역량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심리검사를 활용한 나 자신에 대한 사회심리학적 이해로부터 시작하여 소그룹 주제별 토론학습을 통한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배양하도록 한다. 특히, 성찰적 독서활동과 지역사회 봉사활동에 참여하여 인문학적 소양을 넓히고 봉사리더십을 실천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인문학과 자연과학을 아우르는 폭 넓은 토픽을 설정하고 이를 다양한 시각에서 접근하여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관련 전공의 교수들이 함께 참여하여 강의와 토론을 진행한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다양한 전공의 주제별 텍스트를 읽고 해석하고 학문적 글쓰기에 참여하게 되며 궁극적으로는 본인의 관심분야를 탐색하는 과정에서 학부교육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요구하는 논리적이고 비판적으로 사고하는 능력을 함양할 수 있다.의학과
면역학 연구에 있어서 임상과 기초과학 분야 모두에 적용되는 가장 기본적인 면역학적 개념을 이해하고 익히는 내용을 교육한다. 이에는 면역반응의 특성, 항체분자의 특성, 면역유전학의 기본적인 사항, B 세포 및 T 세포의 발달과 활성화 과정, 면역관용, NK cell 등의 내용이 포함된다.
loading...
의과대학 의학과 / 대학원
2025-1학기
권장 선수과목 의과학강독(806.501A) , 신경근육질환의 이해(802.5051)
면역학 연구에 있어서 임상과 기초과학 분야 모두에 적용되는 가장 기본적인 면역학적 개념을 이해하고 익히는 내용을 교육한다. 이에는 면역반응의 특성, 항체분자의 특성, 면역유전학의 기본적인 사항, B 세포 및 T 세포의 발달과 활성화 과정, 면역관용, NK cell 등의 내용이 포함된다.
Milestones in immunology : a historical exploration
Milestones in immunology : a historical exploration
Methods in immunology : A laboratory text for instruction and research
Methods in immunology : A laboratory text for instruction and research
Lactogenic immunity in the sow : a practical approach
Lactogenic immunity in the sow : a practical approach
Immunology : an illustrated outline
Immunology : an illustrated outline
Cellular and molecular immunology
Cellular and molecular immunology
Veterinary immunology : an introduction
Veterinary immunology : an introductionIntroduction to immunology
Introduction to immunology
Immunology : a comprehensive review
Immunology : a comprehensive reviewCellular immunotherapy of cancer :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Symposium on Cellular Immunotherapy of Cancer, held at Racine, Wisconsin, October 30-November 1, 1986
Cellular immunotherapy of cancer :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Symposium on Cellular Immunotherapy of Cancer, held at Racine, Wisconsin, October 30-November 1, 1986
Immunology
Immunology
Day's veterinary immunology : principles and practice
Day's veterinary immunology : principles and practice
T-Cell immunology
T-Cell immunology
Lymphokines and the immune response
Lymphokines and the immune response
Cellular and molecular immunology
Cellular and molecular immunology
An elegant defense : the extraordinary new science of the immune system : a tale in four lives
An elegant defense : the extraordinary new science of the immune system : a tale in four lives
Immunology : a short course
Immunology : a short course
Weir's handbook of experimental immunology
Weir's handbook of experimental immunology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eutics
Parmaksız S.,Pekcan M.,Özkul A.,Türkmen E.,Rivero-Arredondo V.,Ontiveros-Padilla L.,Forbes N.,Perrie Y.,López-Macías C.,Şenel S.FOOD SCIENCE & NUTRITION
Azam, Md. Shofiul; Islam, Md. Nahidul; Wahiduzzaman, Md.; Alam, Mahabub; Dhrubo, Akib Atique KhanJournal of reproductive immunology
Cui Y; Wu S; Liu K; Zhao H; Ma B; Gong L; Zhou Q; Li XBiomolecules and Therapeutics
Cho, J.; Ahn, J.-H.; Ko, H.-J.; Kim, D.H.; Tae, N.; Chang, S.-Y.Molecular Neurobiology
Maes M.,Nani J.V.,Noto C.,Rizzo L.,Hayashi M.A.F.,Brietzke E.ANESTHESIA AND ANALGESIA
Margraf, Andreas; Ludwig, Nadine; Zarbock, Alexander; Rossaint, JanCurrent Treatment Options in Allergy
Liu, Jin; Li, Wenjing; Zhu, RongfeiJournal of Molecular Liquids
Yu Z.,Ellahi R.,Nutini A.,Sohail A.,Sait S.M.eLife
Rundqvist H.,Veliça P.,Barbieri L.,Gameiro P.A.,Bargiela D.,Gojkovic M.,Mijwel S.,Reitzner S.M.,Wulliman D.,Ahlstedt E.,Ule J.,Östman A.,Johnson R.S.Frontiers in Immunology
Weijler A.M.,Mucha J.,Farkas A.M.,Baranyi U.,Pilat N.,Cho A.,Muckenhuber M.,Hopf S.,Wahrmann M.,Linhart B.,Valenta R.,Wekerle T.Pediatric Hematology and Oncology
Nagwa A, Hagag; Osama A, El-Agamy; Mohamed R, Elshanshory; Mohamed A, Saad; Eslam E, El-HawaryAging
Yao Z.,Zheng Z.,Wu K.,Zheng J.Cells
He Y.,Cai Y.,Liu J.,Ding H.,Li X.,Tian S.,Li Z.Biomacromolecules
Yang X.,Yu T.,Zeng Y.,Lian K.,Zhou X.,Ke J.,Li Y.,Yuan H.,Hu F.Viruses
Hesson J.,Fudge N.,Grant M.Clinical rheumatology
Zhou X; Li Q; Li Y; Fu J; Sun F; Li Y; Wang Y; Jia Y; Zhang Y; Jia R; Hu F; Li YCurrent nutrition reports
Afsar B; Afsar REOncoImmunology
Sneddon S.,Rive C.M.,Ma S.,Dick I.M.,Allcock R.J.N.,Brown S.D.,Holt R.A.,Watson M.,Leary S.,Lee Y.C.G.,Robinson B.W.S.,Creaney J.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Tian, T.; Pan, Y.; Pan, T.; Williams, J.B.; Rotrosen, E.; Yan, Y.; Kupper, T.Frontiers in Immunology
Larochette V.,Miot C.,Poli C.,Beaumont E.,Roingeard P.,Fickenscher H.,Jeannin P.,Delneste Y.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대학원
면역학 연구에 있어서 임상과 기초과학 분야 모두에 적용되는 가장 기본적인 면역학적 개념을 이해하고 익히는 내용을 교육한다. 이에는 면역반응의 특성, 항체분자의 특성, 면역유전학의 기본적인 사항, B세포 및 T세포의 발달과 활성화 과정, 면역관용, NK cell 등의 내용이 포함된다.전필 / 학사
면역시스템은 생명체가 유해한 외부 인자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고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역할을 담당하며, 선천면역 시스템과 후천면역 시스템이 유기적 관계를 가지고 작용한다. 본 면역학 강좌에서는 면역 세포가 자기와 비자기를 구분하는 원리와 선천면역 시스템에서 후천면역 시스템으로 연결되는 유기적 관계를 이해하고 이를 설명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전선 / 대학원
세포면역학은 매우 빠르게 발전하는 학문으로 교과서에서 다루는 지식만으로는 국제적인 학문 추세를 이해하기 어려움. 따라서 최신 세포면역학 특론에서는 가장 최근에 대두된 면역학의 화두 및 연구내용, 그리고 치료법 적용 시도 등을 ‘면역세포’를 중심으로 논의함으로써 대학원생들의 최신 면역학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함.전선 / 대학원
면역체계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고, 면역 활성 및 억제, 회피현상들이 어떠한 기전에 의해 일어나는지에 대한 기초적 지식을 습득하며 인체의 다양한 생물학적 현상들과 어떠한 상관관계를 갖는지 탐구하고자 한다. 나아가, 면역학적 지식을 이용한 예방백신의 개발, 치료용 항체, 줄기세포나 조직이식시 대두될 수 있는 면역거부반응 등 다양한 응용적 측면에 대해 알아본다.전선 / 대학원
연충의 감염시 숙주 면역반응은 type 2 면역반응의 특징을 나타내며 이는 원충에서 나타나는 반응(type 1)과 구별된다. 특히 연충의 이러한 면역 반응은 알러지질환 및 자가면역 질환의 억제와 많은 연관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의학적으로 중요하게 인식되어지고 있다. 강의를 통해 연충에 의한 면역반응에 대해 깊이 연구하고 면역관련질환을 면역학적으로 조절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전선 / 대학원
○ 인체 면역계에 대하여 학습함 ○ 인체 면역계를 구성하는 면역장기들에 대해서 학습함 ○ 면역장기를 구성하는 세포들에 대해서 학습함전선 / 학사
본 과정은 면역현상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습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비특이적 면역현상과, 특이적 면역현상의 체액성 반응과 세포성 반응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주 내용이다. 항원의 특성과 이에 대한 면역현상에 관련된 여러 가지 주요 유전자 및 단백질, 세포, 조직 및 조직의 구조와 기능을 유전학적, 생화학적, 분자세포생물학적 측면에서 분석하여 이해하고자 한다.전선 / 대학원
면역계의 이상으로 발생하는 면역계질환들의 발병기전에 대한 연구는 정상적인 면역계의 반응 및 조절기능 등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하고, 또한 기초 면역학 연구와 응용분야 사이의 연결고리가 될 수 있는 면역학의 핵심 분야로 인식되고 있다. 본 교과목은 특히 과민반응, 자가면역반응과 면역결핍 등 면역반응의 이상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의 유전적, 환경적인 원인과 이를 매개하는 면역학적 조절기전에 초점을 맞추어 전반적인 내용 및 각 질환에 대해 다루게 될 것이며, 이를 통해 정상적인 면역반응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하고 면역학적인 지식을 이용하여 새로운 질환의 진단법 및 치료법을 개발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전선 / 대학원
면역세포치료제(Immune Cell Therapy)는 단백질 의약품, 항체 의약품등의 바이오 의약품에 이은 차세대 바이오 의약품으로, 살아있는 면역세포 그 자체를 활용하여 암과 같은 난치성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본 수업은 면역세포치료제 개발에 필요한 지식을 습득하고, 개발 방법과 최근 연구동향을 파악하여 관련 분야 연구 및 적용을 위한 역량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수강생들은 면역학, 생화학, 분자생물학, 세포생물학 등의 기초 생물학 지식을 학습하고, CAR-T, Dendritic Cell vaccine 등과 같은 면역세포치료제의 개발 방법 및 동향에 대해서 파악한다. 강의 후반부에는 면역세포치료제 개발과 관련된 최신 논문을 읽고 토론한다.전선 / 대학원
세균, 바이러스 및 기생충 감염과 그에 따른 숙주의 면역반응 및 예방백신 개발 등을 연구하는 최신 연구경향 및 개발 사례 등을 종설과 원저를 통해 학습한다. 발표와 토론으로 진행하며 평가는 출석, 토론 참여도, 발표 내용 및 발표 후 구술 (또는 필기)시험으로 평가한다.전선 / 대학원
사이토카인은 특정 자극에 의해서 세포에서 만들어지며 세포간의 대화를 매개함으로써 항상성 유지 및 염증반응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이 강의는 특히 인간의 질병과 관련된 사이토카인들을 위주로 그 생성 및 기능을 살펴보는 것을 내용으로 한다. 또한 이들 중 현재 질환 치료의 표적으로 이미 사용되거나 시험 중에 있는 방법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앞으로 생명과학 및 의약학을 전공하고자 하는 학생들에게 기초지식과 전망을 제시한다.전선 / 대학원
면역 기능의 저하는 감염성 질병 혹은 암의 발생을 유발할 수 있지만, 면역의 과잉 활성은 자가면역질환 혹은 알레르기/천식 등의 질환의 원인이 된다. 그러므로, 면역 기능을 정교하게 조절하는 것은 다양한 면역관련 질환을 치료하는데 필수적이다. 생체재료를 이용한 정교한 약물전달과 면역세포 제어 기술은 이러한 면역관련질환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강의는 재료공학부 학생을 대상으로 기초적인 면역학 및 면역관련 질환 지식을 전달하고, 다양한 생체재료가 면역질환치료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가에 대한 원리와 예시를 제시하는 것을 내용으로 한다. 이를 통하여 면역질환치료용 생체재료를 디자인하기 위한 기초 지식을 제공하고자 한다.전필 / 학사
이 과목에서는 면역학의 기본적인 이론과 개념을 강의한다. 세부적인 지식의 전달보다는 다양한 면역 현상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인체 면역학을 기반으로 강의하지만, 각 동물별로 특이적인 면역 반응을 비교해서 강의한다.전선 / 대학원
면역노화 (immunosenescence)는 개체의 연령이 증가함에 나타나는 단위 면역세포 및 면역장기의 기능변화와 이에 수반되는 나타나는 면역기능 저하를 총칭하는 개념으로 노화기전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본 강좌에서는 노화에 따른 면역기능의 변화를 분자생물학적, 세포면역학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이를 통하여 고령자에서 흔히 나타나는 자가면역질환, 감염성 질환 및 염증성 질환의 병인에 미치는 면역노화의 역할을 심도 있게 배우는 과목이다. 본 강좌에서는 최신 수업서를 활용하여 면역노화의 기본지식 강의와 함께 최근 발표된 우수한 연구결과에 대한 세미나 발표 및 토론을 병행하여 최신 연구동향 파악 및 새로운 개념을 습득하도록 도와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