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체육교육과
이 강좌에서는 장애인 체육의 다양한 이론들을 바탕으로 하여 현재 장애인 체육의 다양한 이론들을 바탕으로 하여 현재 장애인 체육의 흐름을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국내외 장애인 체육 저널 및 논문을 소개하는 것 뿐만 아니라 토론을 통해 장애인 체육의 새로운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기회 또한 제공하고자 한다물리·천문학부
이 교과목에서는 학생들이 실제로 실험을 통하여 자연의 다양한 현상을 탐색하고, 또 주위에서 일상적으로 일어나는 일 뒤에 숨어있는 물리 법칙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 다른 목적은 물리, 자연과학, 공학 등 관련 분야의 학생들에게 실험실에서의 종합적인 경험을 갖게 하는 것이다. 이 교과목에서는 힘과 운동, 에너지, 파동, 그리고 열 현상 등과 관련된 실험을 주로 다룬다.경영학과
본 과목은 회계원리를 수강한 학생들을 위하여 중급재무회계의 다양한 주제들을 강의한다. 먼저, 자산, 부채 및 주주지분과 관련한 회계절차를 살펴본 후, 리스회계, 법인세회계, 회계변경 및 오류수정, 현금흐름표, 파생상품회계 등과 같은 특수주제도 다루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과목은 기업이 재무정보를 창출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당면하는 의사결정의 문제와 이슈도 다룬다. 본 과목을 이수한 학생은 수업 중에 다루었던 문제와 이슈들을 완전히 이해하여, 재무제표를 해석하고 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찾아낼 수 있어야 한다. 또, 逆으로 재무자료가 주어지면, 이를 이용하여 재무제표를 작성할 수도 있어야 한다. 아울러, 습득한 회계이론과 개념을 말과 글로 자신 있게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물리·천문학부
우주를 구성하는 기본 단위인 은하의 세계와 우주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학습하여 올바른 현대적 우주관을 배양한다. 우리 은하의 구조 및 진화, 정상은하의 특성, 퀘이사와 활동은하의 본질, 우주의 거대구조, 우주의 팽창과 나이, 우주배경복사, 우주론 등을 학습한다. 현대천문학에서 중요한 연구과제인 중력렌즈와 아직도 정체가 명확히 밝혀지지 않고 있는 암흑물질 등을 소개한다.화학생물공학부
이 강의에서는 화학 반응 현상을 이해시켜 최종적으로는 반응기를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화학 반응 전후의 물질수지, 반응물질의 전환율과 반응기 크기의 결정 방법, 화학양론과 반응속도와의 관계 등을 배운 다음 온도가 일정한 상태로 운전되는 회분반응기, 혼합조반응기 및 관형반응기의 설계법, 실험실 규모의 반응기로부터 반응기 설계에 필요한 반응 속도 정수 및 반응차수를 구하는 방법 등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배운다. 마지막으로 촉매를 사용하는 불균일계 반응계에서 흡착, 표면반응 및 탈착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고 실험을 통해 반응기 설계 자료를 구하는 방법, 촉매반응기의 종류 및 기초설계 방법 등에 대하여 이해시킨다.화학생물공학부
본 학부와 관련된 학계 및 산업계에 종사하는 외부인사를 초청하여 강연하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이 연사와 접촉할 수 있는 기회를 증대시키고 학생들의 발표력 향상과 장래의 진로 결정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물리·천문학부
자연과학 또는 공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물리학의 기본적인 내용을 터득케 하는 과정으로서 중력, 물체의 운동, 에너지, 파동, 열현상 등에 연관된 물질세계의 특성에 대해 물리학적 접근 방법을 배운다. 이공계 학생들에게 공통적으로 필요한 기초교과목으로서의 성격을 강조한다.물리·천문학부
이 교과목은 광학, 열물리, 전자기, 양자물리 등을 포함한 현대 물리학 주제와 관련된 중급 수준의 실험을 학생 스스로 직접 경험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물리 연구에 사용되는 실험의 개념과 관련 장비의 작동 원리를 배운다. 무엇보다도 학생들이 물리 개념을 테스트하거나 검증할 수 있고, 실험 결과를 분석하며, 그 결과를 동료 학생들과 토론하고 대화할 수 있는 실험 물리의 기본 소양을 기르는데 중점을 둔다. (※ 수강을 원하는 학생은 <전자학 및 계측론>을 먼저 수강하였거나 아니면 과목 담당교수의 허락을 받을 것)
loading...
자연과학대학 물리·천문학부 / 학사
2025-1학기
권장 선수과목 선형대수학 1(300.203A) , 전산천문학(3348.455)
이 교과목은 광학, 열물리, 전자기, 양자물리 등을 포함한 현대 물리학 주제와 관련된 중급 수준의 실험을 학생 스스로 직접 경험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물리 연구에 사용되는 실험의 개념과 관련 장비의 작동 원리를 배운다. 무엇보다도 학생들이 물리 개념을 테스트하거나 검증할 수 있고, 실험 결과를 분석하며, 그 결과를 동료 학생들과 토론하고 대화할 수 있는 실험 물리의 기본 소양을 기르는데 중점을 둔다. (※ 수강을 원하는 학생은 <전자학 및 계측론>을 먼저 수강하였거나 아니면 과목 담당교수의 허락을 받을 것)
정지훈의 양자 컴퓨터 강의 : AI 다음의 게임 체인저 양자 컴퓨터의 모든 것
정지훈의 양자 컴퓨터 강의 : AI 다음의 게임 체인저 양자 컴퓨터의 모든 것
파이썬으로 배우는 실전 알고리즘 : 물리 생물 재무 등 다양한 분야의 응용 예제 구현
파이썬으로 배우는 실전 알고리즘 : 물리 생물 재무 등 다양한 분야의 응용 예제 구현
Matrix computations
Matrix computations
Natural language processing : EAIA '90, 2nd Advanced School in Artificial Intelligence, Guarda, Portugal, October 8-12, 1990 : proceedings
Natural language processing : EAIA '90, 2nd Advanced School in Artificial Intelligence, Guarda, Portugal, October 8-12, 1990 : proceedings
Quantum computing for computer scientists
Quantum computing for computer scientists
Speech recognition : the future now!
Speech recognition : the future now!
The Binary stars
The Binary stars
MATLABⓇ 패턴인식 시스템설계 =
MATLABⓇ 패턴인식 시스템설계 =
Introduction to quantum computation and information
Introduction to quantum computation and information
Understanding and using computer networks
Understanding and using computer networks
The mathematics of Petri-nets
The mathematics of Petri-nets
Art in the age of machine learning
Art in the age of machine learning
Computational methods for general sparse matrices
Computational methods for general sparse matrices
Quantum computation : a grand mathematical challenge for the twenty-first century and the millennium :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Short Course, January 17-18, 2000, Washington, DC
Quantum computation : a grand mathematical challenge for the twenty-first century and the millennium :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Short Course, January 17-18, 2000, Washington, DC
Turtles, termites, and traffic jams : explorations in massively parallel microworlds
Turtles, termites, and traffic jams : explorations in massively parallel microworlds
The neuroprocessor : an integrated interface to biological neural networks
The neuroprocessor : an integrated interface to biological neural networks
Game physics engine development
Game physics engine development
Machine Learning을 활용한 비급여 분류 알고리즘 개발 연구
Machine Learning을 활용한 비급여 분류 알고리즘 개발 연구
Hagenberg research
Hagenberg research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Zhang Z.,Sun C.Scientific Reports
Hong Y.,Han H.J.,Lee H.,Lee D.,Ko J.,Hong Z.y.,Lee J.Y.,Seok J.H.,Lim H.S.,Son W.C.,Sohn I.Reports on Progress in Physics
Kasieczka G.,Nachman B.,Shih D.,Amram O.,Andreassen A.,Benkendorfer K.,Bortolato B.,Brooijmans G.,Canelli F.,Collins J.H.,Dai B.,De Freitas F.F.,Dillon B.M.,Dinu I.M.,Dong Z.,Donini J.,Duarte J.,Faroughy D.A.,Gonski J.,Harris P.,Kahn A.,Kamenik J.F.,Khosa C.K.,Komiske P.,Le Pottier L.,Martín-Ramiro P.,Matevc A.,Metodiev E.,Mikuni V.,Murphy C.W.,Ochoa I.,Park S.E.,Pierini M.,Rankin D.,Sanz V.,Sarda N.,Seljak U.,Smolkovic A.,Stein G.,Suarez C.M.,Szewc M.,Thaler J.,Tsan S.,Udrescu S.M.,Vaslin L.,Vlimant J.R.,Williams D.,Yunus M.IEEE Transactions on Pattern Analysis and Machine Intelligence
Jahani-Nezhad T.,Maddah-Ali M.A.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Vision
Zhong Y.,Loop C.,Byeon W.,Birchfield S.,Dai Y.,Zhang K.,Kamenev A.,Breuel T.,Li H.,Kautz J.RELIABILITY ENGINEERING & SYSTEM SAFETY
Guo, Junyu; Wang, Zhiyuan; Li, He; Yang, Yulai; Huang, Cheng-Geng; Yazdi, Mohammad; Kang, Hooi SiangIEEE Transactions on Games
Wanshan Yang; Ting Huang; Lijun Chen; Youjian Liu; Shivakant Mishra; Junlin ZengWater (Switzerland)
Peng F.,Hao X.,Chai F.npj Quantum Information
Cai Z.IEEE Internet of Things Journal
Lyu L.,Zeng F.,Xiao Z.,Zhang C.,Jiang H.,Havyarimana V.IEEE Access
Fan S.,Li K.,Zhang Y.,Tan H.,Fang Q.,Han K.,Wang J.Autonomous Agents and Multi-Agent Systems
He, K.; Doshi, P.; Banerjee, B.Physics of Atomic Nuclei
Kuzina, E. A.; Nigmatkulov, G. A.Journal of electrocardiology
Mishra A; Bhusnur S; Mishra SK; Singh PKnowledge and Information Systems
Jin X.,Eom S.,Shin S.,Lee K.H.,Hong C.Expert Systems with Applications
Lin Z.,Zheng Z.,Jia J.,Gao W.IEEE Transactions on Power Electronics
Xinyue Geng; Fan Xie; Bo Zhang; Dongyuan Qiu; Yanfeng Chen; Runnan WangRemote Sensing
Deng C.,Jing D.,Han Y.,Deng Z.,Zhang H.ECS Meeting Abstracts
Takahiro MoriComplexity
Kanwal S.,Inam S.,Cheikhrouhou O.,Mahnoor K.,Zaguia A.,Hamam H.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대학원
계산이론은 컴퓨터공학의 기초학문이며, 지금까지 컴퓨터공학 전반에 중요한 공헌을 많이 해왔다. 이 교과목에서는 계산이론 분야의 최신 알고리즘들을 다룬다. 구체적으로, 스트링 알고리즘 (패턴 매칭 문제, 시퀀스 배열 문제, DNA sequencing), 유전 알고리즘, 간명한 자료구조 (트리, 스트링, 그래프에 대한 간명한 표현 및 알고리즘), 그래프 알고리즘 (최대 flow 문제, 최단 경로 문제, 연결성 문제), 병렬 및 분산 알고리즘 (메모리 공유 모델, 대규모 병렬 계산 모델), NP-hard 문제에 대한 알고리즘 (부분그래프 동형 문제, 수퍼그래프 탐색 문제, 연속적 부분그래프 매칭 문제) 등을 포함한다.전선 / 학사
데이터 마이닝은 대용량 데이터에서 유용한 패턴을 찾기 위한 이론과 기법을 의미한다. 본 과목에서는 데이터 마이닝을 위한 주요 알고리즘 및 이론(유사 아이템 검색, 빈발 패턴 검색, 링크 분석, 데이터 스트림 마이닝, 클러스터링, 그래프 마이닝 등)을 다룬다.전선 / 대학원
본 교과목의 목표는 스마트팜 분야의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를 분석 및 활용하는데 필요한 기계학습 기술과 지식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양한 전공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기계학습 방법론뿐 아니라 컴퓨터 언어, 확률 및 통계 등 기계학습 이해를 위한 기초적인 내용들을 포함한다. 수강자는 본 과목의 이수를 통해 기계학습의 전반적인 이해와 함께, 스마트팜 분야의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에 대한 기초적인 분석 및 응용에 활용할 수 있으며 추후 심화과정을 위한 기초 지식으로 활용할 수 있다.전선 / 대학원
최근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수많은 인공위성에 탑재된 센서들은 무엇이며, 이러한 센서들로부터 생성되는 위성자료의 종류, 구조, 검보정 방법들에 대해 배우며 이러한 자료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과학기술 분야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해 이해한다. 이 수업에서 Sentinel-1/2, TerraSAR-X, Lansat과 같은 실제 인공위성 자료들을 이용하여 자료처리 및 활용개발에 대한 실습도 수행한다.전선 / 대학원
본 과목에서는 인공지능의 최신 연구에 대하여 살펴본다. 기계학습, 컴퓨터비전, 자연어처리, 음성인식, 로봇 공학 등 인공지능의 여러 세부 분야에 대해 대표적인 연구 논문들을 중심으로 이론 및 알고리즘, 응용 분야 등에 대해 발표하고 토의한다.전필 / 학사
건축공학전공자들이 건축엔지니어링 설계와 시공에 흔히 사용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들의 사용법에 대한 기본 기술을 소개하고 실습한다. 기본설계, 도면작성, 구조해석, BIM 관련프로그램을 포함한다. CAD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소규모건물을 설계한 후 상세설계, 구조해석, 시공 소프트웨어와 연계하여 실습한다. MATLAB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공학적 문제해결 및 분석 실습을 진행한다.전선 / 학사
본 과목에서는 산업의 근간을 이루는 다양한 기계시스템의 수학적 모델링과 동적 거동의 라플라스 공간, 주파수 공간 및 상태 공간에서의 해석 방법에 대해 배우고, 그에 기반한 기본적인 제어 설계 및 해석 기법에 대해서 공부한다.전선 / 대학원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한 고급 세미나 및 강의 과목이지만 계산신경과학이나 뇌에서 이루어지는 확률추론에 관심 있는 학부 고학년에게도 적당한 과목. 수강생들은 현대 이론적 신경과학과 뇌와 행동에서 발견되는 확률추론에 관한 기본적인 모델 들 및 그 개념과 원리를 익히고, 매주 2-3편의 고전적 및 최신 논문을 읽고, 구두 발표하고 토론하게 됨.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수강생들은 인지 및 시스템 신경과학에 대한 사전 지식이 있을 것이 기대됨.전선 / 대학원
계산신경과학은 뇌의 수리적 모델과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기반으로 뇌의 정보처리 기전을 연구하는 뇌과학의 한 분야이다. 본 강의는 계산신경과학 입문으로서, 단일 세포 및 간단한 신경회로망이 수리적으로 어떻게 구현되며, 신경회로망의 수리적 모델이 뇌의 여러 기능 및 기전을 이해하는데 어떻게 응용되는지에 대해 다루어질 것이다. 또한, 본 강의를 수강하는 학생들은 실제 뇌의 수리적 모델 및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실습하고, 학기말에 계산신경과학 기반 개별 프로젝트를 수행하여 계산신경과학 분야에 대한 이해 및 응용을 이해할 것이다.전선 / 대학원
본 강의는 도로, 철도, 항만, 항공 등의 교통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과 전략을 다룬다. 교통시스템의 최적화는 시스템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혼잡을 저감하며,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데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이를 위해 본 강의에서는 교통시스템에 대한 기본 개념을 설명하고 신호 제어, 도로 확장, 교통시스템 개선 등을 위한 선형, 비선형 계획법, 동적 계획법, 정수 계획법 등 다양한 최적화 기법들을 사례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C-ITS와 스마트모빌리티 서비스를 소개하고 다양한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토론한다. 학생들은 각자 교통시스템과 관련한 연구 주제를 선정하고 이를 최적화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텀프로젝트를 한 학기 동안 수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