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첨단융합학부
첨단융합학부 신입생들의 전공탐색을 위한 공통필수과목으로서, 차세대지능형반도체, 융합데이터과학, 지속가능기술, 디지털헬스케어, 혁신신약 등 첨단융합학부의 다양한 전공 분야를 소개한다. 각 분야에서 개발되고 있는 첨단융합기술의 핵심 개념과 다양한 응용 분야를 소개하고, 각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는 리더 특강을 통해 학생들이 졸업 후의 미래를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환경설계학과
본 과목은 도시설계의 기초적인 이론과 도시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요소를 이해하는 강의 수업이다. 국내외 도시설계의 간략한 역사와 최근 도시개발의 동향을 살펴본 후, 도시정책과 제도, 공공의 의지와 사회참여, 디벨로퍼의 비전, 도시건축 유형과 개발의 관성, 기능적 효율성과 미학, 다양성에 대한 요구 등 현대 도시의 형태를 결정하는 여러 힘들을 살펴본다. 그리고 현대 도시에 대한 다양한 요구, 이를테면 도시쇠퇴와 재생, 건강도시 만들기, 도시의 취약성 극복 등의 주제에 대해 강의와 워크샵을 통해 고찰한다.재료공학부
전산소성역학 교과목에서는 금속, 폴리머, 복합재료의 소성 및 비탄성 거동을 대표적인 전산모사법인 유한요소법에 적용하기 위한 기초 이론 및 수치해석법을 다룬다. 특히, 본 교과목을 통해 다양한 소재에 적용 가능한 탄-소성 구성방정식을 중심으로, 이를 수치적으로 적분하기 위한 알고리즘 및 유한요소 정식화 방법을 습득하며, 복잡한 하중 (및 공정) 조건에서의 소재의 거동을 모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최근 멀티스케일 전산모사법의 일종으로 관심을 끌고 있는 결정소성 유한요소법의 기초 이론과 수치해석적 방법도 본 교과목에서 다루고자 한다. 본 교과목은 재료공학, 기계공학, civil 공학을 전공하는 대학원생을 주 대상으로 한다.
loading...
공과대학 재료공학부 / 대학원
2023-1학기
권장 선수과목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재료 선택(M1569.001700) , 연속체역학(M2794.007100)
전산소성역학 교과목에서는 금속, 폴리머, 복합재료의 소성 및 비탄성 거동을 대표적인 전산모사법인 유한요소법에 적용하기 위한 기초 이론 및 수치해석법을 다룬다. 특히, 본 교과목을 통해 다양한 소재에 적용 가능한 탄-소성 구성방정식을 중심으로, 이를 수치적으로 적분하기 위한 알고리즘 및 유한요소 정식화 방법을 습득하며, 복잡한 하중 (및 공정) 조건에서의 소재의 거동을 모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최근 멀티스케일 전산모사법의 일종으로 관심을 끌고 있는 결정소성 유한요소법의 기초 이론과 수치해석적 방법도 본 교과목에서 다루고자 한다. 본 교과목은 재료공학, 기계공학, civil 공학을 전공하는 대학원생을 주 대상으로 한다.
Creep and shrinkage in concrete structures
Creep and shrinkage in concrete structures
Numerical calculation of lubrication : methods and programs
Numerical calculation of lubrication : methods and programs
Component reliability under creep-fatigue conditions
Component reliability under creep-fatigue conditionsCreep analysis
Creep analysis
Introduction to tribology
Introduction to tribology
Advances in engineering plasticity and its applications : proceedings of the Asia-Pacific Symposium on Advances in Engineering Plasticity and Its Applications, AEPA '96, 21-24 August, 1996, Hiroshima, Japan
Advances in engineering plasticity and its applications : proceedings of the Asia-Pacific Symposium on Advances in Engineering Plasticity and Its Applications, AEPA '96, 21-24 August, 1996, Hiroshima, Japan
Material instabilities in solids
Material instabilities in solidsCreep-fatigue-environment interactions : proceedings of a symposium
Creep-fatigue-environment interactions : proceedings of a symposiumVariational methods in elasticity and plasticity
Variational methods in elasticity and plasticity
Plasticity and creep : theory, examples, and problems
Plasticity and creep : theory, examples, and problems
Theory of plasticity
Theory of plasticityFinite plastic deformation of crystalline solids
Finite plastic deformation of crystalline solids
Plasticity and geomechanics
Plasticity and geomechanics
Creep and shrinkage of concrete : proceedings of the Fifth International RILEM Sympposium, Barcelona, Spain, September 6-9, 1993
Creep and shrinkage of concrete : proceedings of the Fifth International RILEM Sympposium, Barcelona, Spain, September 6-9, 1993
Structural mechanics with introductions to elasticity and plasticity
Structural mechanics with introductions to elasticity and plasticity
Time effects in concrete structures
Time effects in concrete structures
Delamination buckling of composite materials
Delamination buckling of composite materials
Hydrostatic lubrication
Hydrostatic lubricationViscoelastic fluids : an introduction to their properties and behavior
Viscoelastic fluids : an introduction to their properties and behaviorIntroduction to the theory of plasticity for engineers
Introduction to the theory of plasticity for engineers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Huang L.,Liang J.,Gao C.,Yan L.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A-STRUCTURAL MATERIALS PROPERTIES MICROSTRUCTURE AND PROCESSING
Ye, Wenming; Hu, Xuteng; Song, YingdongNano Letters
Grosso R.L.,Muccillo E.N.S.,Muche D.N.F.,Jawaharram G.S.,Barr C.M.,Monterrosa A.M.,Castro R.H.R.,Hattar K.,Dillon S.J.Engineering Structures
Bílý P.,Kapicová A.,Holan J.Materials Research Express
Taheri M.,Rasoulpouraghdam A.,Lohrasbi-Nejad A.,Kashani-Bozorg S.F.,Panahi Liavoli R.International Journal of Plasticity
Shintaku Y.,Tsutsumi S.,Terada K.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Jiang Y.,Hu X.,Liu Y.,Tao L.INTERNATIONAL JOURNAL OF MINERALS METALLURGY AND MATERIALS
Song, Xiu; Wang, Lei; Liu, YangMetals and Materials International
Vijay Mandal; Shashank Sharma; Sudhanshu S. Singh; J. Ramkumar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Zheng Z.Q.,Liu H.Z.,Xiao M.L.,He J.D.,Xie H.Q.,Zhuo L.Journal of Materials Engineering and Performance
Yunrong Lyu; Weiqi Lian; Zhiwei Sun; Weiming Li; Zhihong Duan; Ruan Chen; Wei Yu; Siyuan ShaoJournal of Building Engineering
Jafari S.,Rots J.G.,Esposito R.Integrating Materials and Manufacturing Innovation
Tesfaye T. MollaScience (New York, N.Y.)
J. C. Stinville; M. A. Charpagne; A. Cervellon; S. Hemery; F. Wang; P. G. Callahan; V. Valle; T. M. Pollock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Park, J.; Song, Y.; Hong, S.Proceedings of the Institution of Mechanical Engineers, Part L: Journal of Materials: Design and Applications
Deepak Kumar Singh; Arkadeb Banerjee; Debasis DattaJournal of Materials Science and Technology
Zhao Q.,Abdel Wahab M.,Ling Y.,Liu Z.International Journal of Damage Mechanics
Zhang M.,Mirza H.A.,Zhang Y.C.,Tabasum M.N.,Lang H.L.,Zou P.Z.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Kim, Ik Kyu; Kim, Yoon YoungJournal of the American Ceramic Society
Knapek M.,Kušnír J.,Húlan T.,Minárik P.,Csáki Š.,Lukáč F.,Dobroň P.,Chmelík F.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대학원
본 과목에서는 고분자 재료의 변형과 유동에 관한 학문인 레올로지를 다룬다..이 강의에서는 고분자 재료가 외력을 받았을 때 어떻게 반응을 보이는지 살펴본다. 고체 물질의 탄성거동, 액체물질의 점성거동, 그리고 고분자 재료의 점탄성거동을 다루며, 이들 성질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론을 강의한다. 또한 실험데이터를 이용한 레올로지 분석법을 토론한다.전필 / 학사
본 교과목에서는 공학적 재료로서 암석이 갖는 물리적, 역학적 성질을 이해하고 탄성론에 의한 재료 내 응력분포 및 변형거동을 학습한다. 또한, 암석의 시간 의존적 거동과 비선형 거동을 탄성, 소성, 점성 등의 기본적 역학모형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실험실습 시간에는 실내 시험을 통하여 수강생들이 직접 암석의 물리적, 역학적 특성을 측정하도록 한다.전선 / 학사
기계구조물들의 설계 시에 성능, 안전 및 내구성 등이 보장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기계구조물 내에 발생하는 변형, 응력 등의 구조물의 기계적 거동과 재료의 파손강도에 대한 이해가 반드시 필요하다. 본 과목에서는 기계구조물 내에 재료의 변형과 파손에 대한 기계적인 응답(응력과 변형률)과 파손 메커니즘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크게 고체강도학과 고체거동학으로 나뉘게 된다. 고체강도학에서는 파손관련 공학재료의 거동특성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재료의 탄성적 거동, 전위론, 파괴 및 피로현상, 기초적인 소성이론, 재료의 강화기구, 고온에서의 creep현상 등을 소개한다. 고체거동학에서는 주어진 정동적하중에 대한 기계적 거동(응력과 변형률 등)을 알아보게 된다.전선 / 학사
기계가공의 대표적인 공정인 주조, 절삭, 연삭, 단조, 판재성형 등 전통적인 제조공정과 함께 에너지 가공, 전기화학적 가공 등 특수공정의 원리를 이해한다. 이러한 공정들에서 사용되는 금속, 폴리머, 세라믹, 복합재료 등 다양한 재료의 구조 및 특성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습득함을 목표로 한다.전선 / 대학원
건설산업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재료인 콘크리트. 그 재료성능은 보통강도 콘크리트에서부터 고강도 그리고 고성능 콘크리트로 진화하여 왔다. 이 강의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고강도 그리고 고성능 콘크리트를 다루게 된다. 특히, 실제 적용된 케이스를 바탕으로, 기본적인 재료특성에서부터, 배합설계, 내구성, 그리고 구조설계 개념을 폭넓게 다루며, 구조를 전공하는 대학원생들에게 고성능 콘크리트에 대한 재료적 그리고 구조적 지식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선 기초적인 시멘트화학에서부터 출발하여, 고강도 또는 고성능을 달성하기 위한 시멘트 수화반응을 배운다. 다음으로 고성능 콘크리트 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감수제의 화학적 그리고 물리적 특성을 이해하여 시멘트페이스트의 미세구조를 밀실하게 만드는 과정을 이해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제조된 고성능 콘크리트의 기본적인 역학적 특성을 배움과 동시에, 강도, 강성, 다양한 내구성 조건등 여러 가지 재료특성들을 보통강도 콘크리트와 비교하여 다루게 된다. 마지막으로, 현재 개발중인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설계법에 대한 이해를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전선 / 대학원
결정으로 이루어진 재료의 역학적 거동을 기술하는 방법을 다룬다. 연속체역학에서 정의하는 응력과 변형률의 개념에서 출발하여 결정구조를 가지는 재료의 탄성 및 소성변형을 기술하는 결정역학을 다루므로써, 재료의 거시적인 변형뿐 아니라 재료 내부의 결정학적 상태인 우선방위 등의 변화를 해석하는 기법을 공부한다.전선 / 학사
본 교과목은 학부과정에서 강의하고 있는 섬유고분자물리 및 고분자단백질소재 교과목의 실험과목이다. 바이오소재로 사용되는 섬유고분자 물질의 인장강도, 인열강도, 탄성 및 고분자단백질소재의 합성, 화학적 개질, 구조 특성, 성질 및 성능에 대한 전반적 지식을 실험을 통하여 습득한다. 이들 섬유소재와 고분자단백질소재의 평가방법 등을 터득하여 얻어진 실험결과를 토대로 보고서를 작성하고 이를 평가하여 반영한다.전선 / 대학원
소성역학은 재료가 탄성영역을 넘어 영구변형을 일으키는 영역에서 재료의 성질과 변형 특성을 다루는 학문이다. 소성역학에서의 재료는 비선형, 대변형 거동을 한다. 강의 내용은 기초와 고급으로 나누어진다. 기초를 다루는 강의의 범위는 소성학의 기초이론인 항복이론, 엄밀한 수학적인 방법에 의한 구성방정식의 기술, 경계치 문제를 풀기위한 extremum principle의 수학적 접근 등이다. 경계치 문제는 완전해가 존재하는 간단한 문제로 국한한다. 고급수준을 다루는 강의 범위는 대변형에 관한 소성이론의 수학적 전개, 유한요소법과 연계한 실제적인 대변형 문제의 이론과 해석 방법이다. 유한요소법에 의해 실제적인 경계치 문제를 푸는 방법은 단조, 판제 성형, 분말 성형 등에 적용한다.전선 / 대학원
복합재료는 높은 기계적 성질과 요구되는 상황에 맞게 강화되는 방향을 설정할 수 있는 설계적 장점이 있어, 항공우주산업과 같은 경량형 구조가 사용되는 곳에 널리 활용이 되어왔다. 또한, 방탄 및 방검복을 포함하는 다양한 충돌에너지 발생 상황에서 매우 효과적으로 에너지를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최근에는 전통적인 섬유/폴리머 기반의 복합재료 이외에도 다기능의 금속, 세라믹, 폴리머가 포함된 재료도 복합재료로 취급된다. 따라서, 이러한 특성을 이해하고 실제 산업군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전통적인 이론적 접근법뿐만 아니라 실험을 통한 결과 고찰과 이를 이해하기 위한 해석 방법 등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본 과목에서는 유한요소법해석 및 초고속 카메라를 이용한 고속충돌시험 수행과 분석을 포함하며 관련한 최신이론과 기법을 조사하고 공부하게 된다.전필 / 학사
건축구조계열 과목의 가장 기초가 되는 과목으로서 강체정력학의 기본정리 를 건축구조의 관점에서 복습하고, 단면의 성질, 응력도/변형도의 개념의 이해 및 응용, 축력을 받는 정정/부정정 부재의 해석을 중심으로 학습한다. 1. 강체 정력학의 기본정리 리뷰(역학의 성격, 단위환산, 힘에 관한 경험법칙, 힘의 분해 및 합성, 모멘트정리, 힘의 평형 조건식 등) 2. 단면의 성질(도심, 단면2차모멘트, 평행축정리, 주축 등) 3. 인장, 압축 및 전단응력도(응력도 및 변형도, 재료의역학적 성질, �의 법칙, 허용응력도 등) 4. 축력을 받는 부재의 거동(길이변화, 온도효과, 변형에너지, 부정정구조, 반복하중 및 피로 등)전선 / 대학원
새로운 치과용 세라믹의 개발 및 적용방법에 관하여 토의한다. 주조형 세라믹 및 CAD/CAM 용 세라믹의 응용에 관한 논문을 분석하며 심미성과 연관된 주제를 고찰한다. 치과용 세라믹과 금속의 결합방식 및 결합력 증대방안을 토론하며, 세라믹의 강화 및 강화기전에 관한 주제를 포함한다. 치과용 세라믹의 광학적 특성 및 표면 특성을 고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