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환경설계학과
전지구적 생물다양성 위기에 따라 생물다양성 보전의 중요성이 지역적 차원에서도 날로 커지고 있다. 따라서 신규 개발사업은 물론 기존의 환경관리과정에서도 어떻게 그 지역의 생물다양성을 평가할 수 있으며 어떠한 보전·복원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지가 매우 중요하다. 이 과정에서는 보전 대상인 복잡한 생태계를 생물서식지(habitat)의 개념으로 명료하게 치환하여 접근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서식지의 질과 공간특성, 관리계획에 대한 분석적 사고가 요구된다. 본 수업에서는 서식지 생태영향평가 방법론(HEP; Habitat Evaluation Procedure)을 활용하여 대상지의 생물다양성 보전계획을 정량적, 과학적 논거에 기초하여 스스로 생각해보고, 이를 어떻게 합리적으로 설득시킬 수 있을지를 토론하게 된다.체육교육과
본 강의는 한국 스포츠미디어의 역할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수업에서는 먼저 스포츠미디어에 대한 개괄적인 이해를 통해 주요 개념 및 주제들을 살펴보게 될 것이다. 또한 스포츠미디어에서 인종·성별·국가주의· 자본주의/소비자상주의·폭력·스포츠산업 등 다양한 스포츠상황과 관련된 주제들에 대한 이론적 고찰 및 현장적용에 대한 실천적 지식을 습득한다. 스포츠미디어와 한국 스포츠 환경과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통해 학생들은 스포츠의 생성, 역할과 관계 등 스포츠미디어의 일반적인 역할 및 윤리적인 태도에 대한 비판적 접근과 역사적 고찰을 동시에 경험할 수 있으며, 스포츠현장에서의 말하기 및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생명과학부
생명체를 물리학적인 개념에서 해석하고자 하는 시도를 소개한다. 분자수준의 분자생물물리학, 세포수준의 세포생물물리학, 그리고 그 이상의 수준을 다루는 복합계 생물물리학으로 나누어 그 개념들을 소개한다.재료공학부
막대한 자원 및 에너지를 소비하면서 운영되고 있는 현대 문명의 지속 가능성이 위협을 받고 있다. 그렇지만 이를 막거나 멈추기 위해서 무조건적인 사용 억제 정책을 수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러한 문제의 합리적인 해결책을 얻기 위해서, 이 강의에서는 지속 가능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올바른 재료의 선택, 재료의 제조 그리고 재료의 재활용 등 재료의 생애주기를 따라가면서 어떻게 하면 최소의 자원과 에너지 소비 속에서 우리의 문명을 지속시킬 수 있는가 하는 방안을 찾아보고자 한다.
loading...
공과대학 재료공학부 / 대학원
2023-2학기
권장 선수과목 고분자물리학 1(445.674A) , 고분자유기화학특강(445.688)
막대한 자원 및 에너지를 소비하면서 운영되고 있는 현대 문명의 지속 가능성이 위협을 받고 있다. 그렇지만 이를 막거나 멈추기 위해서 무조건적인 사용 억제 정책을 수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러한 문제의 합리적인 해결책을 얻기 위해서, 이 강의에서는 지속 가능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올바른 재료의 선택, 재료의 제조 그리고 재료의 재활용 등 재료의 생애주기를 따라가면서 어떻게 하면 최소의 자원과 에너지 소비 속에서 우리의 문명을 지속시킬 수 있는가 하는 방안을 찾아보고자 한다.
낭비
낭비
Key Urban Housing of the Twentieth Century: Plans, Sections and Elevations.
Key Urban Housing of the Twentieth Century: Plans, Sections and Elevations.
Transport, the environment and sustainable development
Transport, the environment and sustainable development
The Greening of urban transport : planning for walking and cycling in Western cities
The Greening of urban transport : planning for walking and cycling in Western citiesEnergy efficient building : a design guide
Energy efficient building : a design guideIndigenous raw materials for industry.
Indigenous raw materials for industry.
Climate change law
Climate change law
Limits : why Malthus was wrong and why environmentalists should care
Limits : why Malthus was wrong and why environmentalists should care
Education and sustainability : paradigms, policies and practices in Asia
Education and sustainability : paradigms, policies and practices in Asia
Against the anthropocene : visual culture and environment today
Against the anthropocene : visual culture and environment today
Environmentalism unbound : exploring new pathways for change
Environmentalism unbound : exploring new pathways for change
Timber booms and institutional breakdown in southeast Asia
Timber booms and institutional breakdown in southeast Asia
Environmental ethics
Environmental ethicsHabitation space.
Habitation space.Caribbean environment outlook
Caribbean environment outlookAn assessment of the possibilities for transfer of European biomass gasification technology to China
An assessment of the possibilities for transfer of European biomass gasification technology to China
교사가 생각하는 환경교육 : 의식과 책임감
교사가 생각하는 환경교육 : 의식과 책임감
Green Oslo : visions, planning and discourse
Green Oslo : visions, planning and discourse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An Int'l Journal
Attaullah Shah, Irfan U. Jan, Raza U. Khan, Ehsan U. Qazi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Bhave PP; Palekar ALHeliyon
Zhen Chen; Ying Shi; Rijia Ding; Jingye LiuSustainability (Switzerland)
Monserrat-Gauchi J.,Novo-Domínguez M.,Torres-Valdés R.Global Policy
Brack D.,King R.Histoire urbaine
Foucher-Dufoix, ValérieBIOFUELS BIOPRODUCTS & BIOREFINING-BIOFPR
Ratshoshi, Brankie Karabo; Farzad, Somayeh; Gorgens, Johann F.IEEE Transactions on Power Systems
Silva A.R.,Estanqueiro A.Physics and Chemistry of the Earth
Luo Z.Geographical Journal
Brooks A.,Francis R.A.Resources, Conservation and Recycling
Gu Y.,Zhou G.,Wu Y.,Xu M.,Chang T.,Gong Y.,Zuo T.Algal Research
Zhang X.,Border A.,Goosen N.,Thomsen M.Technology and Culture
Pi-Sunyer, OriolWaste Management and Research
Photong N.,Wongthanate J.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Bonenkamp T.B.,Middelburg L.M.,Hosli M.O.,Wolffenbuttel R.F.Chemosphere
Tawfik A.,Ismail S.,Elsayed M.,Qyyum M.A.,Rehan M.中国林业经济 / China Forestry Economy
马尚宇; 康希; 张溪; 卓凌; MA Shang-yu; KANG Xi; ZHANG Xi; ZHUO LingEnvironmental Research Communications
Ohnmacht T.,Z’rotz J.,Dang L.German Journal of Exercise and Sport Research
Anna-Maria Strittmatter; Chris Horbel; Josephine Traberg; Julius Z. Strömberg; Annika Bodemar; Allan B. Grønkjær; Dag Vidar Hanstad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Hagedorn W.,Jäger S.,Wieczorek L.,Kronenberg P.,Greiff K.,Weber S.,Roettger A.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대학원
생물공정 즉 동물세포, 식물세포, 미생물세포에 있어서 발효공정에 대한 최신 논문 및 경험, 이론 등에 중점을 두어 세미나를 실시한다. 반응기의 실제 운전기술, 다양한 발효의 방법 등에 관한 최신의 정보 전달에 중점을 둔다.전선 / 대학원
본 수업은 에너지와 인간 개발, 환경 조건 및 지속가능성의 관계를 탐구한다. 수업을 통해 개발도상국의 에너지 빈곤을 특징짓는 조건들, 전력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지역에 현대적 에너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통적 및 비전통적 접근법을 다룬다. 공공기관과 민간 주체들이 주도한 에너지 접근 개선 사례를 조사하고, 국가별 연구를 수행하고 공유한다. 각 학생들은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직접 에너지 개발 프로젝트를 디자인하는 경험을 얻을 수 있다.전선 / 학사
이 과목은 화석연료 기반의 기존 에너지시스템의 한계를 지적하고 이를 대체하는 지속가능한 에너지 시스템으로의 전환에 대해 다룬다. 미래 지속가능한 에너지시스템의 특징과 요건에 대해 조망하고, 시스템 전환을 준비하는 과학기술정책에 대해 알아본다. 이를 위해 과학기술혁신정책의 최신 동향과 주요 이론을 알아보고, 수소경제, 신재생에너지, 친환경자동차 등 가능한 대안과 과제들을 고찰한다. 이 과목은 에너지시스템에 관한 과학기술 지식과 과학기술학(STS), 그리고 과학정책을 넘나드는 융합을 지향하며, 수강생들이 미래 사회의 주역으로서 필수적인 지식을 갖출 뿐 아니라 실천적 지식인으로서의 소양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전선 / 학사
이 강의는 인간중심주의와 생태중심주의, 개체론과 전체론 간의 논쟁점을 중심으로 환경문제를 철학적인 입장에서 다룸으로써, 구체적인 환경정책 내지 환경문제에 대한 해법을 강구할 수 있는 이론적인 기초를 제시하고자 한다.전선 / 대학원
이 과목의 전반적인 목적은 학생들에게 환경에서의 오염물질들의 이동을 표현하는데 사용되는 개념, 기작 및 모델들에 대한 지식을 제공하는데 있다. 질량이동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두가지 요소는 농도구배 그리고 이동 기작이다. 이 과목에서는 이러한 요소들을 정의하는 방법들이 소개되고 이를 이용한 개념과 모델을 대기-수체, 퇴적물-수체, 토양-대기 사이의 이동현상에 적용하여 본다.전선 / 대학원
‘생물학’이 어떤 가치판단 없이 순수한 생명현상 자체의 메카니즘을 규명하는 학문인 것과 달리, ‘생물공학’은 이러한 생명현상의 메카니즘에 숨어있는 규칙을 응용하여 인류에게 유용한 생물자원을 보다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생산하는 방법을 탐색하는 응용학문이다. 본 강의에서는 유전자 재조합기술, 기능성 단백질의 생산 및 정제기술, 발효공학 기술, 유용 미생물 생산 기술 및 천연물 유래 생리활성 물질의 발굴 등, 생물공학 영역의 제반 지식에 대한 이해와 함께 이러한 기술을 활용하여 축산업 생산성을 제고하고, 고부가가치 축산물을 생산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론에 대해 탐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