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뇌인지과학과
본 강좌는 세미나 형식을 빌어 대학원생들로 하여금 뇌인지과학분야의 최근의 연구들을 폭넓게 접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loading...
자연과학대학 뇌인지과학과 / 대학원
2024-2학기
권장 선수과목 고급환경공학(458.505) , 융합세미나(M2178.000900)
본 강좌는 세미나 형식을 빌어 대학원생들로 하여금 뇌인지과학분야의 최근의 연구들을 폭넓게 접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Thinking with Adorno : the uncoercive gaze
Thinking with Adorno : the uncoercive gaze(변홍섭 사진집)숨은 얼굴 찾기 : Illusion =
(변홍섭 사진집)숨은 얼굴 찾기 : Illusion =
편향된 해석의 심리학
편향된 해석의 심리학
Computational neuroscience : trends in research, 1997
Computational neuroscience : trends in research, 1997
Perception, design, and practice
Perception, design, and practice
Knowledge structures
Knowledge structuresLearning and memory : basic principles, processes, and procedures
Learning and memory : basic principles, processes, and procedures
인지, 뇌, 의식 : 인지신경과학 입문서
인지, 뇌, 의식 : 인지신경과학 입문서
부의 원천 : 꿈을 이루는 단 하나의 마스터키
부의 원천 : 꿈을 이루는 단 하나의 마스터키
Animal learning & cognition : an introduction
Animal learning & cognition : an introduction
On creativity
On creativity
밝히는 남자 바라는 여자 : 섹스와 사랑에 관한 남녀의 착각과 진실
밝히는 남자 바라는 여자 : 섹스와 사랑에 관한 남녀의 착각과 진실
The rhetoric of Pascal: a study of his art of persuasion in the 'Provinciales' and the 'Pensées'
The rhetoric of Pascal: a study of his art of persuasion in the 'Provinciales' and the 'Pensées'
Joseph Kosuth : 'ni apparence ni illusion' = 'neither appearance nor illusion'
Joseph Kosuth : 'ni apparence ni illusion' = 'neither appearance nor illusion'Recent experiments in psychology
Recent experiments in psychology
Positive creativity : how to enhance and evaluate it
Positive creativity : how to enhance and evaluate it
The influential fundraiser : using the psychology of persuasion to achieve outstanding results
The influential fundraiser : using the psychology of persuasion to achieve outstanding results
Symbolization and creativity
Symbolization and creativity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언어
정유진, 황유미, 홍정하Journal of Specialised Translation
Flis G.,Sikorski A.,Szarkowska A.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Wooley B.,Bellman S.,Hartnett N.,Rask A.,Varan D.Neuropsychologia
Maraver M.J.,Steenbergen L.,Hossein R.,Actis-Grosso R.,Ricciardelli P.,Hommel B.,Colzato L.S.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Interaction
Hijab M.H.F.,Banire B.,Neves J.,Qaraqe M.,Othman A.,Al-Thani D.Transportation Research Part F: Traffic Psychology and Behaviour
Walker F.,Wang J.,Martens M.H.,Verwey W.B.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Fabius J.H.,Fracasso A.,Nijboer T.C.W.,Van Der Stigchel S.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Mullen Davis M.A.,Allen K.Cognitive science
Kok EM; Jarodzka H; Sibbald M; van Gog T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Kosel C.,Böheim R.,Schnitzler K.,Holzberger D.,Pfeffer J.,Bannert M.,Seidel T.DISPLAYS
Lin, Chiuhsiang Joe; Prasetyo, Yogi Tri; Widyaningrum, Retno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Perception and Performance
Harris D.J.,Wilson M.R.,Vine S.J.PLoS ONE
Nakahara H.,Nawata R.,Matsuo R.,Ohgomori T.Experimental brain research
Maheu M; Nooristani M; Hullar TE; Peterka RJAttention, Perception, and Psychophysics
Eymond C.,Cavanagh P.,Collins T.Surgical Endoscopy
Eleni Amelia Felinska; Thomas Ewald Fuchs; Alexandros Kogkas; Zi-Wei Chen; Benjamin Otto; Karl-Friedrich Kowalewski; Jens Petersen; Beat Peter Müller-Stich; George Mylonas; Felix NickelQuarterly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2006)
Xibo Zuo; Ying Ling; Todd JacksonNeuroImage
Kuang B.,Li X.,Li X.,Lin M.,Liu S.,Hu P.SAGE Open
Shi R.Behavior Research Methods
Geller J.,Winn M.B.,Mahr T.,Mirman D.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대학원
협동과정 인지과학 소속 학생들이 속한 다양한 분야들간의 융합연구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소속 학생들이 연구하는 분야에 대한 박사과정생들의 연구 소개 및 토론을 통해 서로간의 연구에 대해 이해하고 인지과학이 가지는 다학제적 성격이 부각되는 연구 주제 및 방법론의 공유를 목표로 한다.전선 / 학사
시스템 신경과학에서는 두뇌의 기능을 담당하는 시스템들과 신경회로에 대해 공부하게 된다 (시스템의 예로 청각계, 시각계, 운동계, 보상계 등을 들 수 있다.). 이에 더불어 감정, 꿈, 생체시계, 언어 등의 고등기능과 시스템의 문제로 야기되는 신경정신질환에 대한 것도 포함된다. 이러한 시스템과 신경회로가 어떻게 발생 시에 만들어지는 지와 시스템에서의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하는 기억과 학습의 원리를 공부하게 된다. 종국적으로 이러한 공부를 통해 어떻게 감각정보가 두뇌에서 분석, 종합되어 우리가 외부세계를 지각하며 이를 근거로 결정을 내리고 행동을 실행하는 지에 대해 보다 나은 이해를 추구하고자 한다.전선 / 대학원
신경과학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신경과학 분야의 최신 지견에 대하여 고찰하고 토론한다. 학생들이 직접 관심 분야를 선택한 후, 그 분야에 대한 역사적인 고찰을 근거로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연구들을 검토하고, 앞으로의 연구과제에 대해 토론한다.전선 / 대학원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한 고급 세미나과목이지만 의사결정 및 인지신경과학에 관심있는 학부고학년에게도 적당한 과목. 수강생들은 현대의사결정의 신경과학에서 사용되는 기본적인 개념과 원리를 히고, 매주 2-3편의 고전적 및 최신논문을 읽고, 구두발표하고 토론하게 됨.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수강생들은 인지 및 시스템 신경과학에 대한 사전지식이 있을 것이 기대 됨.전선 / 대학원
과학적인 연구방법을 습득하고 연구설계와 자료분석에 대해 학습힌다. 또한 전공영역의 연구 논문을 이해하여 실 교육현장에 응용할 수 있게 하고, 실제 연구 논문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접근방법을 습득할 수 있게 한다.전선 / 대학원
본 강좌는 국어교육과정을 교재구성과 관련지어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국어과 교육과정 변천사와 국어교과 교재의 변천사를 개괄한 후 국어과 교과과정과 교재의 바람직한 구성원리를 연구 개발한다.전선 / 학사
이 과목은 교직에 진출할 전공자들을 위해 개설되는 교직 교과목으로, 중국어 교과의 논리 및 논술 교육을 위해 개설된 과목이다. 특히 교육 및 학습과 관련하여 창의성 발달 지도에 중점을 두며 교과과정, 평가방법, 교수법 등을 폭넓게 다룰 것이다.전선 / 대학원
인간의 음악 지각과 인지에 관한 기존의 사변적, 실험적 연구로 밝혀내지 못했던 문제들을 최근에 뇌파, 뇌영상 기기들을 이용한 신경과학적 연구로 속속 규명해 낼 수 있게 되었다. EEG, ERP, PET, fMRI, MEG 등 기기를 이용하여 인간의 언어 인지능력을 연구하는 다양한 연구방법들이 많은 부분 음악인지에도 적용될 수 있음도 발견되었다. <음악신경과학연구> 수업에서는 이 분야의 기초지식을 배우고 최근의 연구 성과를 살펴본 후, 다양한 연구방법론의 장단점을 논의하고, 궁극적으로는 수강생들 각자가 음악에 대한 신경과학적 연구모델을 디자인해 본다.전선 / 대학원
이 과정은 다양한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음악 수업 및 커리큘럼에 창의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수업입니다. 학생들은 이론과 실습을 통해 현대사회가 요구하는 다양한 테크놀로지를 사용하고, 이를 교육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을 연구합니다. 또한 이러한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학생들의 음악적 창의성을 개발하고 초연결 시대를 대비한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을 기를 수 있습니다.교양 / 학사
본 강의는 기초 과학, 인문학, 공학의 핵심 개념을 융합하여 인간의 마음과 기계 간 양방향 상호작용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뇌와 인지 과학의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인간의 마음이 생물학적 적응으로서 효율적인 정보 처리를 위해 어떻게 진화했는지, 다양한 방법과 기술을 통해 신경계의 활동을 어떻게 측정, 모델링, 조작할 수 있는지를 학습한다. 이러한 신경과학적 틀을 바탕으로 인공지능의 기본 개념을 소개하며, 기계가 뇌를 모방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 원리를 탐구한다. 강의, 토론, 실습 시연의 활동을 통해 뇌와 인지 과학,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뇌-기계 인터페이스 분야의 핵심 개념을 통합적으로 다룬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뇌-인지 기능과 적응적 행동의 생물학적 기전을 이해하고, 뇌 신호를 다루는 방법론과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기술의 가능성과 제약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교양 / 학사
기초 수준의 포르투갈어 습득과 포르투갈어권 세계에 대한 이해를 목표로 하는 교과목이다. 포르투갈어를 처음 접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며 알파벳부터 시작하여 기초 문법, 간단한 회화 및 독해를 위한 기초 능력을 기르도록 한다. 또한 포르투갈과 브라질의 사회와 문화에 대한 소개를 곁들여 포르투갈어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힌다.전선 / 대학원
본 강좌에서는 신경생물학 전공 소속의 대학원생들이 최근 발표된 논문에 대해 토론하고, 또한 국내외 유명 신경과학자를 초청하여 세미나를 발표하게 하고, 학생들로 하여금 최신 신경과학 연구 동향을 습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전선 / 대학원
문학은 창의성을 계발시켜주는 중요한 도구이다. 이런 관점에서 본 강의는 창의성을 자극하는 다양한 요소들을 문학적 특성에서 찾고 창의성 계발에 초점을 맞춘 문학교수법을 개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