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체육교육과
체육학의 여러 분야 중에서 스포츠심리학만큼 빠르게 발전하는 분야는 없다. 과거에 운동학습, 운동제어, 운동발달을 포함한 넓은 의미로 스포츠심리학을 지칭했던 시대도 있었다. 스포츠 심리학의 영역을 구분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사람도 많다. 이 강의에서 다루는 내용이 최근의 ‘스포츠 심리학’이라고 말한다면 넓은 의미로 스포츠심리학을 이해하고 있던 사람들은 격세지감을 느낄 것이다. 경기력 향상에 관한 지식이 축적된 것은 비교적 근래의 일이다. 스포츠심리학은 그만큼 역동적으로 성장하는 학문이다. 체육학을 공부하는 학생, 운동선수, 스포츠 지도자, 생활체육지도자, 운동트레이너 등이 이 강의를 통해 스포츠와 운동 상황에서의 목표를 달성하기를 기대한다.
loading...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 대학원
2021-2학기
권장 선수과목 스포츠심리학연구(722.534) , 스포츠소비자행동론(722.651)
체육학의 여러 분야 중에서 스포츠심리학만큼 빠르게 발전하는 분야는 없다. 과거에 운동학습, 운동제어, 운동발달을 포함한 넓은 의미로 스포츠심리학을 지칭했던 시대도 있었다. 스포츠 심리학의 영역을 구분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사람도 많다. 이 강의에서 다루는 내용이 최근의 ‘스포츠 심리학’이라고 말한다면 넓은 의미로 스포츠심리학을 이해하고 있던 사람들은 격세지감을 느낄 것이다. 경기력 향상에 관한 지식이 축적된 것은 비교적 근래의 일이다. 스포츠심리학은 그만큼 역동적으로 성장하는 학문이다. 체육학을 공부하는 학생, 운동선수, 스포츠 지도자, 생활체육지도자, 운동트레이너 등이 이 강의를 통해 스포츠와 운동 상황에서의 목표를 달성하기를 기대한다.
Enabling praxis : challenges for education
Enabling praxis : challenges for education
나는 초콜릿과 이별 중이다 : 먹고 싶은 충동을 끊지 못하는 여자들의 심리학 =
나는 초콜릿과 이별 중이다 : 먹고 싶은 충동을 끊지 못하는 여자들의 심리학 =
딜 : 상대의 생각을 내 것으로 만드는 승자의 심리학
딜 : 상대의 생각을 내 것으로 만드는 승자의 심리학
Psychology in education
Psychology in education
초보 엄마 심리학
초보 엄마 심리학
Educational psychology for teachers
Educational psychology for teachersHuman learning : studies extending conditioning principles to complex behavior
Human learning : studies extending conditioning principles to complex behaviorEmpirical foundations of psychology,
Empirical foundations of psychology,
What's stopping you? : being more confident? : why smart people can lack confidence, and what you can do about it
What's stopping you? : being more confident? : why smart people can lack confidence, and what you can do about it
Psychological development of the child
Psychological development of the child
범죄심리학 : 범죄자의 마음을 들여다보는 책 =
범죄심리학 : 범죄자의 마음을 들여다보는 책 =
내 치즈는 내가 옮긴다!
내 치즈는 내가 옮긴다!
Trauma-Informed Schools : Integrating Child Maltreatment Prevention, Detection, and Intervention
Trauma-Informed Schools : Integrating Child Maltreatment Prevention, Detection, and Intervention
Psychology : experiments, investigations and practicals
Psychology : experiments, investigations and practicals
The psychology of religious behaviour, belief, and experience
The psychology of religious behaviour, belief, and experience
Transitional objects in early childhood : the value of transitional objects in the early years
Transitional objects in early childhood : the value of transitional objects in the early years
Stress in academic life : the mental assembly line
Stress in academic life : the mental assembly line
돈의 심리학
돈의 심리학
Advances in psychological science : congress proceedings, XXVI International Congress of Psychology = Récents développements en psycholgie scientifique : actes du congrès, XXVI Congrès International de Psychologie, Montréal, 1996
Advances in psychological science : congress proceedings, XXVI International Congress of Psychology = Récents développements en psycholgie scientifique : actes du congrès, XXVI Congrès International de Psychologie, Montréal, 1996
색채심리학 : 몸과 마음을 치유하는 컬러
색채심리학 : 몸과 마음을 치유하는 컬러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Marketing Science
Ting ZhangThe Journal of Society for Humanities Studies in East Asia
Se-Ru Kim; Byung Hwan Mun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Özer F.,Doğan N.,Yalaki Y.,Irez S.,Çakmakci G.JOURNAL OF COGNITION AND DEVELOPMENT
Leyva, Diana; Reese, Elaine; Laible, Deborah; Schaughency, Elizabeth; Das, Shika; Clifford, Amanda课程.教材.教法 / Curriculum,Teaching Material and Method
崔皓翔; 宁连华; Cui Haoxiang; Ning LianhuaPsychology, Crime and Law
Vang M.L.,Hansen N.B.,Elklit A.,Thorsen P.M.,Høgsted R.,Pihl-Thingvad J.Addictive Behaviors
Shi X.,Wang A.,Zhu Y.International Journal of Audiology
Mansoureh Nickbakht; Carly Meyer; Rachael Beswick; Nerina ScarinciEmerging Adulthood
Mera, Samira; Zimmer-Gembeck, Melanie J.; Conlon, Elizabeth G.Acta psychologica
Liang R; Van Leeuwen K교육정보미디어연구
류지헌; 양은별Journal of Risk Research
Baláž V.,Valuš L.Behaviour and Information Technology
Park G.,Yim M.C.,Chung J.,Lee S.Gerontology and Geriatric Medicine
Jodi M. Winship PhD, OTR/L; Tracey Gendron MS, PhD; Leland Waters PhD; Jane Chung PhD, RN; Kimberly Battle PhD, RN, CRNP; Melissa Cisewski BA; Melody Gregory OTD, OTR/L; Lana Sargent PhD, RN, CRNP; Faika Zanjani PhD; Patrica Slattum PhD, PharmD; Marissa Mackiewicz PhD, RN, CNS; Ana Diallo PhD, MPH, RN; Gregory Ford MSW; Katherine Falls MSN, RN; Elvin T. Price PharmD, PhD; Pamela L. Parsons PhD, RN, CRNPCurrent Psychology
H. Deniz Günaydin北京财贸职业学院学报 / Journal of Beijing Vocational College of Finance and Commerce
许朝雪; XU Chao xue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Willis K.L.,Miller R.B.,Anderson S.R.,Bradford A.B.,Johnson L.N.,Yorgason J.B.BJPsych Open
Jiann Lin Loo; Jashan Selvakumar; May Honey Ohn; Asha Dhandapani; Sathyan Soundararajan; Sahar Ali; Nikhil GaurishankarStudies in Educational Evaluation
Veugen M.J.,Gulikers J.T.M.,den Brok P.한국구강보건과학회지
최혜정; 박정현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대학원
본 교과목의 목적은 교육심리학 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하고, 이를 논문 형태로 작성하는 데 필요한 역량을 기르는데 있다.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교육심리학 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기초적인 지식, 연구 계획서 및 논문을 작성하는 방법 등에 대해 배우게 될 것이다.전선 / 학사
학부과정의 물리학에서 많이 사용되는 수학을 공부함으로써, 물리현상을 기술할 때 사용할 때 수학적인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게 한다. 주요내용으로는 이차 상미분방정식, 급수해, 특수함수 등이 포함된다.전선 / 대학원
고급성격심리학은 심리학 및 관련 학문을 전공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대학원 수준의 성격심리학을 소개한다. 성격심리학의 역사와 방법론을 소개하고, 정신역동 이론, 특질이론, 현상학적 이론, 인지사회 이론 등 성격심리학의 주요 이론들을 보다 심층적으로 다루며, 성격연구의 주요 주제들에 관한 이론 및 경험적 연구들을 읽고 토의한다.전선 / 대학원
본 교과에서는 교육심리학 분야에서 지금까지 연구된 학습동기에 관한 연구들을 비판적 관점을 가지고 평가하고 학습동기에 관한 새로운 연구 주제들을 탐색해 보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학습동기는 학생의 인지적 능력과 함께 학습활동과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개인변인으로서, 1980년대 이후 이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학습동기가 사회문화적 맥락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측면에서 본 교과에서는 기존 서구중심의 학습동기 연구를 넘어서 우리 교육맥락에서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학습동기를 새로운 관점에서 재조명해보고자 한다.전선 / 대학원
운동 발달은 전 생애에 걸쳐 나타나는 인간 운동행동의 발달적 변화와 그러한 변화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을 규명하는 학문 영역이다. 본 교과목은 유아기부터 노인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운동 행동의 변화와 지각-운동 체계의 발달, 신체 체계의 성장 및 성숙, 그리고운동발달에 영향을 주는 사회,심리적 요인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전선 / 대학원
상담심리학의 이론을 도입하여 아동의 성장, 발달, 적응 그리고 교육에서의 제반문제를 다루어 본다.그리고 아동상담의 기본원리와 지침을 기초로 하여 특수아의 문제를 조망해 보고, 교육효과와 복지적 효과를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잇는 방법을 모색해 본다.교직 / 학사
이 강좌는 ‘학교현장실습’ 강좌의 심화 과정으로 한 학기 동안 진행된다. 학생들은 학교 현장에서 교사가 담당해야 하는 제반 역할(교수·학습 및 평가의 설계와 운영, 학급 경영, 학생 지도, 교육 행정 업무 등)을 한 학기에 걸쳐 참관하고 직접 수행해보는 경험을 함으로써, 교사로서의 전문성을 심화하고 함양할 수 있다.전선 / 대학원
아동발달에 대한 다양한 이론들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함으로써 각 이론의 기본입장과 문제점을 발견한다. 유사한 발달이론과의 비교분석 및 비판을 시도하고 논쟁점을 깊이 있게 분석하며 아동을 이해하고 돕는데 있어서의 공헌에 대해 논의한다.전선 / 대학원
“재능 판별과 측정 및 진단”은 영재성, 창의성, 지능 등을 비롯한 인간의 다양한 재능을 판별, 측정 및 진단하기 위한 이론과 실제를 배우는데 목적이 있다. 수업은 다음의 내용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첫째, 영재성, 창의성, 지능에 대한 개념적 이해를 바탕으로 각각의 재능을 어떻게 발견하고 판별하는지 살펴본다. 둘째, 각각의 재능을 판별하고 측정 및 진단하는 다양한 유형의 국내외 검사도구들을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셋째, 재능을 판별하고 측정 및 진단하는 검사 도구의 강점을 극대화하고 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유형의 판별 방안을 고안한다. 넷째, 재능 판별과 측정 및 진단을 위한 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현장에서 활용해본다. 수업을 통해서 학생들은 재능의 특성을 이해하고 교육심리학적 연구와 실제에 기반한 판별도구의 개발과 활용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교직 / 학사
이 강좌의 목적은 예비교사들이 최근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학교폭력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사전예방하기 위한 조치 및 사후 학교폭력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규정과 절차를 이해하는 데 있다. 인성교육, 학생생활문화, 학생정서행동발달, 학생생활지도 등 아동·청소년 발달과 관련된 중요한 이슈 또한 다룰 예정이다. 이를 위해 이 강좌에서는 학교폭력 및 아동·청소년 발달에 대한 개념적 이해뿐만 아니라, 실제 사례들을 중심으로 학교폭력과 기타 문제들을 예방하고 문제 발생 시 효과적으로 조치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에 대해 알도록 한다. 이 강좌에서는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성범죄를 예방하고 신고하는 절차에 대한 내용도 포함한다.전선 / 대학원
석사과정 한국음악학 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전공실기과목으로 연구과제의 성격에 따라서 교실 강의 또는 개인 지도의 교수 형태가 결정된다. 이 과정에서 이루어진 연구 결과의 일부는 최종학년에서의 논문연구로 이어진다.전선 / 대학원
이전 교육과정에는 “상담이론”, “상담기법”, “고급상담이론”으로 구분되어 있었다. 그런데, 이론과 기법을 연결하여 교육할 필요성으로 인하여 “상담이론”은 “상담이론과 기법”으로, “상담기법”은 “고급상담이론과 기법”으로 변경 신청 하였다. 그 결과 새롭게 변경 개설될 “고급상담이론과 기법” 과목과 기존의 “고급상담이론” 교과목은 내용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명칭 상 혼동을 일으킬 수 있어서, 기존의 “고급상담이론” 교과목에서 다루어온 내용을 “현대상담이론과 교육”이라는 교과목 명으로 변경하고자 한다. “현대상담이론과 교육”(기존의 “고급상담이론”)에서는 최근의 새롭게 소개되는 상담이론과 최근 상담이론의 미래 동향, 상담모형의 개발과정, 그리고 그러한 이론들의 교육현장 적용성에 관한 내용을 다루게 될 것이다.교양 / 학사
본 교과목은 핸드볼의 특성 및 효과, 경기 방법과 규칙을 강의한다. 또한 실기 수업을 통하여 핸드볼의 기초 기술과 경기 기술을 체득한다. 학생들은 수업을 통해 핸드볼의 기초기술(패스와 캐치, 드리블과 슛, 스텝)과 응용기술(페인팅 등), 그리고 핸드볼 전술을 경험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핸드볼 경기방법과 규칙 등을 배우고 이후에는 심판법과 관람법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전선 / 대학원
본 교과는 최근 교육심리학의 연구동향과 쟁점들을 학습, 인지, 정서(사회성, 동기 포함), 발달의 제 측면에서 고찰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이론적인 고찰을 통해 학생들은 교육심리학의 최근 연구동향과 쟁점들을 비판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하며, 나아가 자신의 연구관심과 문제를 체계화, 구체화할 수 있는 경험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학생들은 교육심리학 분야에 대한 전반적 이해를 중심으로 각 하위영역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이론들에 대한 통합적 관점을 형성하고, 이를 자신의 세부 영역에 대한 이해와 연결시킬 수 있는 기회를 본 교과를 통해 가질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