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작곡과
본 교과목은 연주전공자들에게 필요한 기초이론을 효율적으로 교육하기 위한 6개 학기 과정의 통합교과목의 첫 학기 교과목으로서, 기보법, 음정, 화음, 조성의 원리, 리듬, 짜임새, 음률 등 폭넓은 기초적 음악이론을 다룬다.간호학과
인체구조와 기능 1에 이어 인체를 구성하는 각 기관들의 기본적인 구조와 기능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며 각 기관 고유의 생리적 기능을 이해하여 각 기관들 간의 형태학적 연관성 및 기능의 연관성을 이해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loading...
간호대학 간호학과 / 학사
2025-1학기
권장 선수과목 인간과건강(811.214) , 기본간호학실습(M1991.001700)
인체구조와 기능 1에 이어 인체를 구성하는 각 기관들의 기본적인 구조와 기능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며 각 기관 고유의 생리적 기능을 이해하여 각 기관들 간의 형태학적 연관성 및 기능의 연관성을 이해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Evaluating nursing interventions : a theory-driven approach
Evaluating nursing interventions : a theory-driven approach
Improving primary care : strategies and tools for a better practice
Improving primary care : strategies and tools for a better practice
Clinical pharmacy practice
Clinical pharmacy practice
Just health : meeting health needs fairly
Just health : meeting health needs fairly
AIDS-specific home and community-based waivers for the medicaid population
AIDS-specific home and community-based waivers for the medicaid population
영유아 정신건강 및 발달장애 : Zero to three : 진단분류를 통한 평가와 치료계획 가이드 사레집
영유아 정신건강 및 발달장애 : Zero to three : 진단분류를 통한 평가와 치료계획 가이드 사레집
간호사, 너 자신이 되어라
간호사, 너 자신이 되어라
Brunner & Suddarth's textbook of medical-surgical nursing
Brunner & Suddarth's textbook of medical-surgical nursing
(핵심) 기본간호수기 =
(핵심) 기본간호수기 =
(함께 일하고 싶은) 1% 수간호사
(함께 일하고 싶은) 1% 수간호사
성인간호학 : 임상적 추론의 적용
성인간호학 : 임상적 추론의 적용
응급 및 중환자간호학
응급 및 중환자간호학
Healthcare choices : 5 steps to getting the medical care you want and need /
Healthcare choices : 5 steps to getting the medical care you want and need /Journal of pediatric health care : official publication of National Association of Pediatric Nurse Associates & Practitioners
Cosgrove B; Knafl K; Van Riper MAge and ageing
Connor, E O; Dolan, E; Horgan, F; Robinson, K; Galvin, RBMJ Quality & Safety
Persijn J HonkoopInternational Nursing Review
Coetzee M.,Leonard A.,Bonaconsa C.,Power N.,North N.Palliative and Supportive Care
Rosemary Frey; Deborah BalmerSAGE Open Medicine
Yasheelee Thameesha Kalingamudali; Praba Jalini; Akila Jayamaha; Dehiwela Liyanage JayaratneJournal of Thrombosis and Thrombolysis
Lim M.Y.,Greenberg C.S.Health care for women international
Yöndem ZN; Çıtak Bilgin NJournal of Women's Health
Testa A.,Jackson D.B.BMC Palliative Care
Engberink A.O.,Mailly M.,Marco V.,Bourrie D.,Benezech J.P.,Chevallier J.,Vanderhoeven S.,Crosnier R.,Bourrel G.,Lognos B.RISK MANAGEMENT AND HEALTHCARE POLICY
Lee, Seung Eun; Choi, JiYeon; Lee, Hyunjie; Sang, Somin; Lee, Haesun; Hong, Hye ChongJournal of perinatology : official journal of the California Perinatal Association
Keenan-Devlin LS; Hughes-Jones JY; Johnson T; Hirschhorn L; Borders AEBPLoS ONE
Harun M.G.D.,Ul Anwar M.M.,Sumon S.A.,Abdullah-Al-Kafi M.,Datta K.,Haque M.I.,Chowdhury A.B.M.A.,Sharmin S.,Islam M.S.Pulmonology
Morais A; Bugalho A; Drummond M; Ferreira AJ; Oliveira AS; Sousa S; Winck JC; Cardoso JCIENCIA & SAUDE COLETIVA
Haemel, Kerstin; Goncalves de Oliveira Toso, Beatriz Rosana; Casanova, Angela; Giovanella, Ligia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Catalanotti J.S.,O’Connor A.B.,Kisielewski M.,Chick D.A.,Fletcher K.E.FUTURE ONCOLOGY
Elkaddoum, Ronaldo; Haddad, Fady Gh; Eid, Roland; Kourie, Hampig RaphaelBreastfeeding Medicine
Stuebe, AlisonTzu Chi Nursing Journal
Reproductive Health
de Oliveira D.C.C.,Rodrigues A.,de Azevedo Nicida L.R.,Gomes M.L.,Torres J.A.,Engstrom E.M.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필 / 학사
(소동물 병원 현장 실습) 본 과목에서는 소동물 임상 분야 현장에서 2주간 근무하면서 실제로 일반 동물병원에 내원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1차 진료 경험을 습득하게 하게 하는 것이 목적이다. 학생은 일반 동물병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동물병원경영, 진료, 동물관리, 보호자와 대화 등의 실습을 통해 수의사로서 지녀야 할 기본 지식, 기술 및 태도를 습득한다.전선 / 대학원
노인, 장애, 또는 만성 건강문제를 가지고 있는 인구집단의 건강과 삶의 질 유지·증진과 이를 위한 사회적 책임의 중요성이 증가되면서 전통적인 보건의료의 확장된 영역으로 장기요양(후급성케어에서 호스피스까지 포함하는)이 주목 받고 있다. 본 강좌에서는 장기요양의 개념과 철학을 이해하고, 국·내외 장기요양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재정, 자원, 서비스, 거버넌스 등)와 관련 정책들을 탐구한다. 또한 장기요양기관 관리(리더쉽, 질·안전관리, 인력관리 등)의 핵심 요소과 관련 연구들을 살펴보고, 기관관리와 관련된 윤리적, 사회적, 규제적 이슈들을 논의한다. 취약인구 집단을 위한 보건의료·장기요양 제도의 통합을 둘러싼 보건·사회정책 논점에 대해 배우고 토론한다.전필 / 학사
인간·사회·의료 6은 ‘환자돌봄’이라는 주제로 이루어진다. 완화의료, 임종환자와 가족과의 소통, 심리사회적‧영적돌봄, 법적‧윤리적 문제 등에 대해 시나리오를 통한 토론과 발표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된다.전선 / 대학원
약물이 전신적으로 또는 표적기관으로 일정기간동안 미리 설정된 패턴으로 지속적으로 방출하여 조직 중 약물농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제반수단을 검토한다.전선 / 대학원
본교과목은 국제간호에 관한 개념적 토대를 제공하며, 다양한 국제보건 이슈, 특히 저개발 국가나 취약집단에 영향을 미치는 국제 간호 문제를 다룬다. 이 강의는 크게 1) 국제적 보건문제의 현황, 2) 다양한 국제 간호 이슈, 3) 국제간호의 궁극적인 목표 실현을 위한 도전과 전략방안으로 구성되어 있다.전선 / 대학원
병원의 외래환자에 대한 임상약사로서의 업무에 대한 실제 경험을 익힘.전선 / 대학원
이 교과목에서는 주로 경험하는 산과질환에 대한 진단 및 치료 등을 소개한다. 자궁축농증, 불임 등 산과질환에 대한 처치 및 관리를 집중적으로 다룬다.전선 / 대학원
본 교과목에서는 아래의 내용을 다룬다; 근거중심보건의료의 정의 및 배경, 보건의료에서의 평가와 의사결정에 이르는 pipeline, 근거확보를 위한 연구 설계, 임상연구의 비판적 평가 및 결과에 대한 이해, 체계적 문헌고찰, 경제성 평가, 의료기술평가, 진료지침, 성과 연구, 외국의 근거중심의사결정체계, 우리나라에서 바람직한 근거중심 보건의료체계전선 / 대학원
본 과목은 건강과 질병에 있어서 생물학적, 심리학적, 사회적 요인들의 다학제적 통합과 과학적 이해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심리사회적 요인이 신체질환에 미치는 영향, 신체질환에 의한 정신증상의 발현, 의학적으로 설명되지 않는 신체증상 등에 대해 정신신경면역학, 신경정신내분비학 등의 정신생물학적 기전을 공부한다.전선 / 대학원
임신시 모체에 나타나는 정상적인 생리적 변화를 이해하고 병적인 상태와 구별하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함으로써 임신과 관련된 합변증의 진단 및 치료를 도모하기 위한 수련과목이다. 구체적인 학습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임신시 발생하는 모체의 정상적인 생리적인 변화를 이해햐여 병적인 상태와 구별할 수 있어야 하며, 둘째, 임신과 관련하여 모체 및 태아의 건강을 위협할 수 있는 질환의 임상증상 및 치료법을 숙지하여야 하며, 셋째, 태아의 건강을 평가하기 위한 태아안녕검사의 의미와 처치법을 숙지하여야 하며, 넷�, 향후 임신과 관련하여 환자와 각종 상담을 시행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여야 한다.전선 / 학사
본 과목에서는 소비자의 인식과 행동을 이해하고 설명하기 위한 방법으로 정성적 연구방법을 소개한다. 정성적 연구방법의 개념과 필요성을 살펴보고, 정성적 연구를 위한 여러 가지 자료수집 방법과 자료분석 방법을 학습한 후, 이러한 정성적 연구방법들을 실제로 연습해 본다.전필 / 학사
본 통합실습은 수강생이 적절한 절차를 통하여 폐사된 동물에 대한 부검을 실시하여 동물의 질병을 진단하거나 감별진단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습에 참여한 학생은 동물 주요 질병의 현미경 소견을 이해하고 판독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습을 통해 수강생은 동물실험에 대한 개요 및 정상과 병변을 포함한 안전성 시험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동물실험계획과 워크샵에 대한 이론과 실제에 대해 이해하고, 실험동물 대상 투여, 임상 증상 진단, 행동관찰 등을 포함하는 동물실험을 수행할 수 있다.전필 / 대학원
임상간호의 기초가 되는 병태생리적인 기전에 관한 기초지식을 습득하여 전문간호사 임상실무에 적용하여 향후 연구를 계획하고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데 그 목적이 있다. 기본적인 병태생리적 개념에 따른 기전을 이해하고, 구체적인 시스템별 질환의 발생, 생리적 변화, 치료에 대해 학습한다.전선 / 대학원
유아, 학동, 청장년, 노년층의 구강보건관리의 특징을 검토해 보고, 적절한 구강보건관리 방안을 도출한다.전필 / 학사
본 과목은 통계학과 역학의 기본개념 과 간호학 영역에서 발생하는 자료를 분석하는데 필요한 간단한 통계기법의 계산방법과 분석한 결과의 해석방법을 익히는데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