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SNU는 서울대 중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한
서울대 구성원의 지식 빅데이터(도서 대출, 논문, 학사, 강의, 수업 계획서) 기반 지식정보 플랫폼 입니다.
최근 확인한 콘텐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협동과정 인공지능전공
본 수업은 실제 운용되고 있는 SNS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도구들의 제작과 이를 통해 얻은 자료를 분석하는 기법을 익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SNS의 사용이 크게 증가함에 따라, 사용자들이 방대한 양의 자료를 웹상에서 제작, 공유하고 있다. 이러한 자료를 분석하면 기존의 방법으로는 알기 힘들었던 사용자의 취향이나 성향을 비교적 쉽게 파악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고 있다. 하지만 자료의 양이 방대할 뿐만아니라 자료의 형태도 다양해 여러가지 제한점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본 강의는 SNS 상의 자료를 사용하여 어떻게 사용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지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학생들은 Python을 이용하여 여러가지 SNS의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것을 배울 것이다. 단순한 수집뿐만아니라 수학적인 분석 기법에 대해서도 자세하게 다룰 예정이다.
loading...
공과대학 협동과정 인공지능전공 / 대학원
권장 선수과목 추정이론(M3309.001600) , 확률 그래프 모델(M3309.002400)
본 수업은 실제 운용되고 있는 SNS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도구들의 제작과 이를 통해 얻은 자료를 분석하는 기법을 익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SNS의 사용이 크게 증가함에 따라, 사용자들이 방대한 양의 자료를 웹상에서 제작, 공유하고 있다. 이러한 자료를 분석하면 기존의 방법으로는 알기 힘들었던 사용자의 취향이나 성향을 비교적 쉽게 파악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고 있다. 하지만 자료의 양이 방대할 뿐만아니라 자료의 형태도 다양해 여러가지 제한점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본 강의는 SNS 상의 자료를 사용하여 어떻게 사용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지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학생들은 Python을 이용하여 여러가지 SNS의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것을 배울 것이다. 단순한 수집뿐만아니라 수학적인 분석 기법에 대해서도 자세하게 다룰 예정이다.
우리는 어떻게 포스트휴먼이 되었는가 : 사이버네틱스와 문학, 정보 과학의 신체들
우리는 어떻게 포스트휴먼이 되었는가 : 사이버네틱스와 문학, 정보 과학의 신체들
Proceedings : ACM Multimedia '95, San Francsco, California, November 5-9, 1995
Proceedings : ACM Multimedia '95, San Francsco, California, November 5-9, 1995
빅데이터와 데이터 과학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연금술
빅데이터와 데이터 과학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연금술Introduction to programming languages
Introduction to programming languagesMachine vision, the eyes of automation : a manager's practical guide
Machine vision, the eyes of automation : a manager's practical guide
Topic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in social networks : the Twitter case
Topic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in social networks : the Twitter case
Lecture notes in computer science v.39 = Data base systems
Lecture notes in computer science v.39 = Data base systems
Computational intelligence : a logical approach
Computational intelligence : a logical approach
AI : its nature and future
AI : its nature and future
Data science for dummies
Data science for dummies
Mining of massive datasets
Mining of massive datasetsLocal Area Networks : proceedings of the IFIP TC6 International Conference on Local Area Network INDOLAN '90, Madras, India, 30-31 January, 1990
Local Area Networks : proceedings of the IFIP TC6 International Conference on Local Area Network INDOLAN '90, Madras, India, 30-31 January, 1990
Applying case-based reasoning : techniques for enterprise systems
Applying case-based reasoning : techniques for enterprise systems
Analog methods : computation and simulation
Analog methods : computation and simulation
Multimedia learning
Multimedia learning
Web-based learning : what do we know? where do we go?
Web-based learning : what do we know? where do we go?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IEEE Systems Journal
Atat R.,Ismail M.,Serpedin E.Transportation Research Procedia
Adrian Barea; Luis Cadarso; Raúl de CelisProceedings of the ACM on Human-Computer Interaction
Zheng L.,Albano C.M.,Vora N.M.,Feng M.A.I.,Nickerson J.V.Body image
Jarman HK; McLean SA; Griffiths S; Teague SJ; Rodgers RF; Paxton SJ; Austen E; Harris E; Steward T; Shatte A; Khanh-Dao Le L; Anwar T; Mihalopoulos C; Parker AG; Yager Z; Fuller-Tyszkiewicz MJMIR Aging
Esquivel K.M.,Gillespie J.,Kelly D.,Condell J.,Davies R.,McHugh C.,Duffy W.,Nevala E.,Alamäki A.,Jalovaara J.,Tedesco S.,Barton J.,Timmons S.,Nordström A.ADVANCES IN NEUR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30 (NIPS 2017)
Lee, Sang-Woo; Kim, Jin-Hwa; Jun, Jaehyun; Ha, Jung-Woo; Zhang, Byoung-Tak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Informatics
Farzandipour M.,Nabovati E.,Tadayon H.,Sadeqi Jabali M.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Interaction
Kim M.J.,Hwangbo H.,Ji Y.G.Computer
Reisman, S.; Bojanova, I.Applied Soft Computing Journal
Xiao A.,Lu Z.H.,Li J.,Wu J.,Hung P.C.K.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Imtiaz Ali, Jamro; Abdul, Raheem; Salim, Khoso; Humair Ahmed, Baloch; Akash, Kumar; Guanyi, Chen; Waheed Ali, Bhagat; Terrence, Wenga; Wenchao, Ma山西大同大学学报(自然科学版) / Journal of Shanxi Datong University(Natural Science Edition)
徐岩柏; XU Yan-bai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심희철, 김헌식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M. Irfan Marwat, Javed Ali Khan, Dr. Mohammad Dahman Alshehri, Muhammad Asghar Ali, Hizbullah, Haider Ali, Muhammad Assam数字通信世界 / Digital communication World
刘晨IEEE Wireless Communications, Wireless Communications, IEEE, IEEE Wireless Commun.
Petrov, Vitaly; Fodor, Gabor; Kokkoniemi, Joonas; Moltchanov, Dmitri; Lehtomaki, Janne; Andreev, Sergey; Koucheryavy, Yevgeni; Juntti, Markku; Valkama, Mikko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여등휘, 구자준中国现代教育装备 / China Modern Educational Equipment
周倩; 吴海燕; 张霞; Zhou Qian; Wu Haiyan; Zhang XiaIEEE Transactions on Information Forensics and Security
Xu P.,Hu M.,Chen T.,Wang W.,Jin H.Social Media and Society
Chen B.,Lukito J.,Koo G.H.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선 / 학사
본 과목은 생물학을 전공하는 학부생을 대상으로, 향후 생물정보학을 전공하거나 활용하는데 있어 직접적으로 필요한 전산학적 지식을 습득하고, 기초적인 컴퓨터 프로그래밍 능력을 함양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다양한 전산학 세부 분야 중에서, 생물정보학에서 실질적으로 필요한 주제들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학생들이 생물학 데이터베이스에 올라와 있는 데이터를 직접 분석해 봄으로써, 습득한 지식을 생물학 연구에 활용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함. 본 과목에서 선행 학습한 내용들은 "생물정보학(3344.611)" 과목과 연결되도록 설계되어, 두 과목을 차례로 이수함으로써 생물정보학적 지식과 능력을 효과적으로 기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됨.전선 / 대학원
본 과목은 도시설계 및 조경학 분야에 특화된 정량적 도시환경 실증연구 방법론 세미나 수업이다. 본 과목은 정량적 연구방법론의 이해와 활용능력 습득을 통해 독립적으로 정량적 분석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물리적 도시환경의 측정”,“정량적 분석의 기초”, “기초 통계 모형”의 세 가지 주제를 다룬다. 물리적 도시환경의 측정에서는 도시환경의 개념과 지표 도출 과정을 배운다. 정량적 분석의 기초에서는 데이터 및 변수의 이해, 개념의 조작화와 가설 검정 등 정량적 분석의 기초를 다룬다. 기초 통계 모형 부분에서는 종속 변수의 특성에 따라 적절히 적용해야 하는 가장 기본적인 통계 모형(OLS models, Logistic Models, Count Models)을 다룬다. 학생들은 세미나 내용을 바탕으로 실제 데이터를 활용하여 가설 검정과 분석 결과 해석 실습을 수행할 것이다.전필 / 학사
생물생산시스템에 관련된 여러 가지 환경요인을 분석하고 그 계측방법의 개요, 조절 제어방법, 복합적 환경관리법 등을 다룬다. 생물생산 환경조절의 기본은 생물 시스템과 주변 환경인 물리적 시스템이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고, 이러한 조건을 제공하기 위해 환경생물학, 물리학, 설비공학, 제어공학 등의 광범위한 학문영역을 이해하며 그에 따른 실질적인 적용 예에 관해 공부하며, 강의와 실습을 병행하여 이해도를 높인다. 본 강좌를 위해서는 정역학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이 요구된다.전선 / 대학원
인공지능 기술이 빠르게 진화하고 우리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이 점차 커지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인공지능 관련 과목에서는 다루기 힘든 최신 주제에 관하여 특강 형태의 강의를 개설함으로써 인공지능 연구 및 사회적 영향력에 관한 최진 연구 경향을 파악할 수 있는 수업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 교과목에서는 기계학습, 컴퓨터 비전, 자연어 처리, 로보틱스, 컴퓨터 통신, 컴퓨터 시스템 등과 같은 컴퓨터 과학 분야뿐만 아니라, 공학, 자연과학, 사회과학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를 다루는 수업을 개설할 수 있다.전선 / 대학원
정책분석 및 평가의 기초적 이론과 방법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고급정책평가 이론과 방법론에 한 이해와 활용능력을 한층 심화시키며, 정책평가에서 다루지 못했던 특별한 방법론적 이슈와 토픽들을 다룸으로써 정책평가 전문가로서의 능력과 소양을 배양하는 것을 강의의 목적으로 한다. 주요 주제는 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개발, 복잡한 프로젝트 개발을 위한 프로그램 논리 모형의 활용 등을 포함한 로직 모델링 방법들, 프로그램 기획과 리모형을 활용한 평가의 통합, 정부와 비영리 조직의 성과측정방법, 산출결과와 임팩트 평가 방법, 평가를 위한 회귀분석방법의 응용, 권능부여 평가방법(empowerment evaluation), 평가역량 구축과 평가를 통한 조직학습이론, 기타 현안이 되고 있는 특정평가 이슈들과 방법론 등이다. 이 강의는 실제 평가사례를 발굴하여 학생들이 직접 평가에 참여하도록 함으로써 평가실무를 통하여 평가에 대한 능력과 소양을 배양하도록 한다.전선 / 대학원
본 교과는 실질적 문제 해결을 위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교과목이다. 교육현장에서 프로젝트형 수업을 진행하는 역량을 키워주기 위한 교과목으로 실질적 문제를 해결하는 프로젝트 수행의 지도 역량은 직접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키워지는 것으로 실습 시간이 강조된다. 본 교과에서는 과학기술에 대한 기초 소양을 바탕으로 이를 활용하는 문제를 설정하고 학교 수준에서 해결하는 과정을 경험한다.논문 / 대학원
논문집필 연구 및 세미나전선 / 대학원
<연구작품세미나 1>의 심화 과정으로서 토론과 평가를 통해 완성된 작품의 주제와 기법, 개인의 작품론 등을 점검해 나아가며 작업과정의 논리적인 바탕을 발전시킨다. 작품에서 새롭게 야기되는 미술이론과 미적 개념, 그리고 실제의 다양하고 내밀한 조형적 측면을 함께 연구하여 이론과 실제의 균형 있는 발전을 도모한다.전선 / 대학원
기본적인 인공지능 개념 및 방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스마트 디지털 치과의료(Digital dentistry) 구현을 위한 치과질환 자동진단, 환자맞춤형 치료계획 자동화, 및 치과수술 시뮬레이션 지능화 등의 디지털 치과의료에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해 개론적인 내용을 수업함. 인공지능의 개념과 역사 인공지능, 머신러닝과 딥러닝 인공지능 활용 치과질환 진단 인공지능 활용 치과영상 계측 인공지능 활용 치과치료 계획 인공지능 활용 치과수술 시뮬레이션 인공지능 기반 환자맞춤형 치과 치료전선 / 학사
본 과목은 다양한 마케팅 자료를 이용하여 기업의 최적 마케팅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진행하는데 필요한 분석적 접근 방법을 학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존의 설문 조사 중심의 전통적 마케팅 조사의 접근 방법으로는 매일 빠른 속도로 생성되는 다양하고 방대한 마케팅 자료를 충분히 활용하는데 한계가 존재하는데, 이 과목에서는 이러한 개별 기업의 독자적인 거래 내역 자료 및 소비자의 구매와 미디어 소비에 관련된 외부 자료등 다양한 마케팅 관련 자료를 활용하여 제품, 가격, 촉진, 유통 등의 마케팅 의사 결정의 개선을 돕는 새로운 분석적 기법을 학습한다.전선 / 대학원
공급사슬망 애널리틱스는 공급사슬망관리와 데이터 애널리틱스를 결합한 매우 유망한 분야이다. 이 과목은 두 가지 측면에서 기존 과목과 차별점이 있다: (1) 공급사슬망에서의 다양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 도출이 아닌 문제점 진단을 위한 분석을 위주로 하고, (2) 수리모형 중심의 접근이 아닌 데이터 중심의 접근을 강조한다. 이 수업은 프로젝트 기반의 사례연구와 현실적인 의사결정을 돕는 온라인 시뮬레이션 게임을 통해 학생들에게 현장에서 쓰이는 시사점을 제공한다.전선 / 대학원
본 교과목은 불어교육에 있어서 기존의 교육보조재들의 문제점들을 살펴봄으로써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교수방법의 가능성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컴퓨터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교육보조재의 활용가능성을 심도있게 다루게 된다.전선 / 학사
운영체제는 컴퓨터 시스템을 형성하는 가장 핵심적인 소프트웨어 시스템이다. 1960년대 후반부터 본격화된 시분할 OS의 개발은 OS가 많은 단계를 거쳐 발전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제 OS는 단순히 resource manager의 수준을 떠나서 컴퓨터 시스템 이론의 중요한 개념을 포괄하고 있다. 따라서 OS에 대한 이해 없이 컴퓨터 시스템을 전문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한 상황이다. 이 강의에서는 OS를 구성하는데 밑받침이 된 많은 개념과 이론들을 공부한다. 또한 이들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실제적인 OS 경험을 갖을 수 있도록 미국의 University of California at Berkeley에서 개발한 교육용 OS인 Nachos를 가지고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Nachos에 관한 자료와 프로젝트에 관한 상세한 내용은 강의 홈 페이지에 지시될 것이다.전선 / 대학원
이 강의는 다양하게 주어진 목표물의 설계 및 제작 실습을 사물인터넷(IoT)을 응용하여 설계 및 제작에 대한 기본 감각과 창조성을 키우는 데에 목적이 있다. 사물인터넷 응용 및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임베디드 시스템 설계 및 개발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사물인터넷을 위한 응용 개발, 시스템 소프트웨어, 시스템 아키텍처, 마이크로프로세서 설계 및 활용 등을 연습한다. 온도, 습도, 빛, 소리, 동작, 이미지센서 등 다양한 센서를 사용하거나, 혹은 디스플레이 장치, 모터 등의 출력장치를 구동하는 시스템의 설계를 실습한다. 설계된 임베디드 시스템의 동작을 검증하고, 프로젝트 진행 과정에 관하여 설명하는 결과보고서 작성 및 제작품의 특성을 설명하는 구두 발표를 포함한다.전선 / 대학원
전선 / 대학원
본 교과목은 학부 인간컴퓨터상호작용(Introduction to Human-Computer Interaction) 과목의 상위 대학원 교과목으로서, HCI분야 연구 수행에 있어서 필수적인 HCI 모델, 이론, 프레임워크에 대해서 보다 깊이 있게 소개하고, HCI의 다양한 응용분야(Information Visualization, Mobile Interaction, Visual Analytics, Social Computing 등)에서 실제 문제 해결에 적용하는 방법론 및 기술을 숙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